1. “도산법”, 오수근, 한국사법행정학회, 서울: 한국사법행정학회, , 2012
2. 「신탁법」, 최수정, 서울: 박영사, , 2016
3. 「상법강의」, 김홍기, 홍문사, 서울: 박영사, , 2016
4. 힘의 원천이론, 백정웅(Joeng-Woong Baik), 한국비교사법학회, 「비교사법」, 제12권 제4호, , 2005
5. 「국제금융론」, 이영섭, 김인준, 율곡, 서울: 율곡출판사, , 2013
6. 「금융기관론」, 권재중, 청람, 서울: 박영사, , 2016
7. 「금융시장론」, 서정호, 김석동, 강병호, 서울: 박영사, , 2014
8. 「은행법원론」, 김용재, 박영사, 서울: 박영사, , 2012
9. 「자본시장법」, 임재연, 박영사, 서울: 박영사, , 2016
10. 「행정법특강」, 홍정선, 박영사, 서울: 박영사, , 2016
11. 「회사법강의」, 홍복기, 박영사, 서울: 박영사, , 2016
12. 『한국헌법론』, 허영, 집현재, 서울: 박영사, , 2017
13. 「한국보험업법」, 성대규, 안종민, 두남, 서울: 두남, , 2015
14. 「금융규제와 법」, 고동원, 서울: 박영사, , 2008
15. 「화폐와 금융시장」, 정운찬, 김홍범, 율곡, 서울: 율곡출판사, , 2012
16. 「새로 쓴 자본시장법」, 정순섭, 김건식, 서울: 두성사, , 2013
17. 금융감독원의 법적 성격, 康鉉浩,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제31집 제3호, , 2003
18. 「회사법: 사례와 이론」, 박세화, 심영, 김성탁, 홍복기, 김병연, 서울: 박영사, , 2017
19. 「신용파생금융거래법론」, 이금호, 탐진, 서울: 탐진, , 2007
20. “금융감독체계 개편방안”, 김동원, 한국금융연구원-한국국제경제학회 공동 심포지엄, , http://www.kif.re.kr/kif2/publication/redirectviewpage.aspx?isresult=1&nodeid=463&co ntrolno=167934 에서 이용가능, , 2014
21. 「에고니스트의 중앙은행론」, 차현진, 서울: 율곡출판사, , 2007
22. “금산분리 강화방안의 쟁점”, 민세진, 「한국경제포럼」, 제5권 제4호, 한 국경제학회, , 2012
23. 「현장에서 본 한국경제 30년」, 강만수,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2005
24. “펀드런 논란 1년에 대한 단상”, 김재칠, 「자본시장 Weekly」, -12호, 자본시장연구원, 2009, , 2009
25. “영국의 금융개혁과 그 시사점”, 심영, 한국비교사법학회, 「비교사법」, 제16권 제3호, , 2009
26. “년 증권산업 전망 및 주요이슈”, 조성훈, 자본시장연구원 2017년 자본시장 동향과 정책방향 세미나, 2017. 1. 25., http://www.kcmi.re.kr/common/downloaddata.asp?fid=541&fgu=0 02003007&fty=004006 에서 이용가능, , 2017
27. 금산분리 관련 제도의 현황과 논점,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연구」, 제20권 별책, , 2006
28. “금융규제 감독체계의 개선방향”, 함준호, 김병덕, 한국금융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특별 정책심포지엄, , http://www.kmfa.or.kr/paper/annual/2009/2009_03_s.pdf 에서 이용 가능, , 2009
29. “시스템 리스크와 금융정책과제”, 채희율, 한국금융연구원, 「KIF Working Paper 10-02」, 금융연구원, , 2010
30. “최근 신용위기와 신용파생상품”, 김기원, 한국상사판례학회, 「상사판례연구」, 제21집 제4 권, , 2008
31. 「바젤3와 글로벌 금융규제의 개혁」, 정신동, 서울: 선, , 2011
32. “금융안정을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 박창균, 정지만, 신관호,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한국경제 의 분석」, 제15권 제3호, , 2009
33. “동양그룹 사례의 함의와 정책과제”, 박상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주최 동양 그룹 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토론회, , http://ccej.or.kr/wp-admin/admin-ajax.php?action=file_download &file_path=/wp-content/uploads/files/attach/binaries/259/016/3 82/40ed1dd980eba35359b6ae101333b2f0&file_ori=131111_동양그룹 토론회 자료집.pdf 에서 이용가능, , 2013
34. “신흥시장 N-SIFI의 식별 및 감독방향”, 최공필, 예금보험공사, 「금융안정연구」, 제13권 제1호, , 2012
35. 출자전환시 채무의 소멸성에 관한 연구, 박승두,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제21권 제4호, , 2013
36. “유인부합적 금융감독체계 구축방안”, 전성인, 국회입법조사처, 「SIRFE Occasional Paper 09-P07」, 서울대학교 금융경제연구원, , 2009
37. 「지급결제기능과 금융시스템의 안정」, 김자봉, 한국금융연구원, 「KIF 금융리포트 10-06」, 한국금융연구원, , 2010
38. “금융그룹 감독 법적제도적 고려사항”, 홍민영, 한국금융연구원 금 융 그 룹 감 독 개 선 방 안 세 미 나 , 2 0 1 5 . 1 1 . 2 5 . , http://www.kif.re.kr/kif2/publication/viewer.aspx?filetype=1&c ontrolno=187925 에서 이용가능,
39. “도산실효조항에 관한 비교법적 분석”, 김효선,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 학교, , 2014
40. “보험사의 시스템리스크 관련성 검토”,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KIF 금융리포트 -0 5」, 한국금융연구원, 2011, , 2011
41. “시스템 리스크와 금융개혁의 시사점”, 정지만, 「금융리스크리뷰」 제6권 제3호, , 2009
42. 「투자신탁의 역사와 미국 투자회사법」, 오성근, 법원사, 서울: 법원사, , 2014
43. 「한국의 외환위기 : 발생 극복 그이후」, 이규성, 박영사, 서울: 박영사, , 2015
44.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구조평가와 시사점,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KIF 금융리포트 -02」, 한국금융연구원, 2015, , 2015
45. 편, 「보험법의 현대적 과제」, BFL 총서 7, 한기정, 서울: 소화, , 2013
46. “금융안정체제와 예금보험기구의 역할”, 박창균, 「금융리스크리뷰」, 제13 권 제2호, , 2016
47. “시스템리스크와 거시건전성 정책체계”, 윤석헌, 정지만, 한국금융학회, 「금융연구」, 제 24권 제2호, , 2010
48. 한국파생상품시장의 현황진단과 발전방향, 남길남, 이효섭, 전창민,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연 구총서 15-01」, , 2015
49.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을 위한 법제연구”, 한정미, 「연구보고 -01」, 한국법제연구원, 2010, , 2010
50. “비은행권 금산분리 규율체계의 재설계”, 김상조,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제51 호, 한국사회경제학회, , 2016
51. 금융회사 회생,정리계획 국제논의와 시사점, 임형석,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 「KIF 정책보고서 -03」, 한국금융연구원, 2014, , 2014
52. “금산분리 완화: 논리적 근거와 정책방향”, 이인실, 남주하, 한국금융학회 정책심 포지엄, , http://www.kmfa.or.kr/paper/annual/2008/1.pdf 에서 이용가능, , 2008
53. “금융회사 지배구조 선진화에 관한 연 구”, 김우찬, 전성인, 송옥렬, 김유니스, 서울대학교 금융경제연구원 연구용역 보고서, , http://www.sirfe.com/?module=file&act=procFileDownload&file_sr l=2463&sid=a00b587d8f2af26610ff24f05d64afd9 에서 이용가능, , 2013
54. “독립행정기구의 설치 관리에 관 한 연구”, 윤혜선, 이상경, 홍정현, 서보국, 한동훈, 「현안분석 -13」, 한국법제연구원, 2012, , 2012
55. “볼커룰(Volcker Rule)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서병호, 「금융VIP시리즈 -06」, 한국금융연구원, 2010, , 2010
56. 「미국에서의 독립규제위원회와 권력분립」, 姜勝植, 한양법학회, 「한양법학」, 제13집, , 2002
57. “글로벌 금융위기와 예금보험제도의 역할”, 송태원, 「금융리스크리뷰」, 제12권 제1호, , 2015
58. “금융발전과 제도-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오상근, 한국제도경제학회, 「제도와 경제」, 제3 권 제2호, , 2009
59. “보험회사의 파생상품 보유현황 및 시사점”, 조영현, 「KiRi Weekly」, 제 268호, 보험연구원, , 2014
60. “산업자본의 은행소유와 관련한 법적 쟁점”, 김용재, 한국증권법학회, 「증권법연구」, 제2 권 제2호, , 2001
61. “조건부자본증권의 도입과 발행 사례 분석”, 장정모, 「금융리스크리뷰」, 제11권 제3호, , 2014
62. 편, 「새로운 금융법 체제의 모색」, BFL 총서 2, 김건식, 정순섭, 서울: 소화, , 2006
63. “금융기관 정리체계의 국제 동향 및 시사점”, 권세훈, 정지만, 예금보험공사, 「금융안정 연구」, 제15권 제1호, , 2014
64. “최근 증권산업 구조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장병훈, 「금융리스크리뷰」, 제13권 제3호, , 2016
65. 편, 「국제금융법의 현상과 과제 1」, BFL 총서 4, 정순섭, 석광현, 서울: 소 화, , 2009
66. 편, 「자산유동화의 현상과 과제 1」, BFL 총서 5, 박준, 정순섭, 서울: 소화, , 2014
67. “시스템리스크와 금융감독체계의 개편 방향”, 원승연, 년도 한국 금융학회 춘계 공동 정책심포지엄, 2011. 5. 12., http://www.kmfa.or.kr/paper/annual/2011/20110512_03.pdf 에서 이용가능, , 2011
68. “중간(금융)지주회사 제도 도입의 효과 분석”, 이은정, 경제개혁연구소, 「ERRI 경제개혁리 포트 -05」, 경제개혁연구소, 2013, , 2013
69. “금융감독상의 제재와 적법절차에 관한 고찰”, 윤광균, 한국법학원, 「저스티스」, 제 104호, 한국법학원, , 2008
70. “금융회사 지배구조 리스크관리에 관한 연구”, 박경서, 「금융리스크리 뷰」, 제11권 제3호, , 2014
71. “주택저당대출자산 유동화 시스템 개선 방안”, 유윤주, 한국증권연구원, 「조사보고서 05-0 1」, 자본시장연구원, , 2005
72. “서브프라임 위기와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과제”, 함준호, 「상장협연구」, 제59호, , 2009
7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금융겸업 논의와 시사점”, 송상진, 「BOK 이슈노 트」, -5호, 한국은행, 2012, , 2012
74. “대형 복합금융회사의 정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이민환, 서대교, 「금 융안정연구」, 제12권 제1호, , 2011
75. 손실보상의 사유로서의 재산권 내용규정에 관한 고찰, 김해룡(Kim, Hae-Ryoung),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토지공 법연구」, 제72집, , 2015
76.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영미 금융감독 체제의 변화”, 박기영, 박단비, 성태윤,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한국경제의 분석」, 제18권 제1호, , 2012
77. "위기 이후 금융개혁: 영국,독일,호주의 경험과 시사점", 김홍범 ( Hong Bum Kim ), 한국금융학회, 「금 융연구」, 제29권 제4호, , 2015
78. “금융회사 정리체계에 관한 주요 논의 및 국제 동향”, 정지만, 금융위원 회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한국은행 공동 금융회사 회생 정 리제도 도입 관련 공청회, , 2016
79. “대형금융기관(SIFI)의 규제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 이준호, 「현안분석 -07」, 한국법제연구원, 2012, , 2012
80. “국가재정과 주택금융제도I – 미국의 주택금융법제”, 곽관훈, 정대, 한국법제연구원, 「재정 법제 연구 07-01」, , 2007
81. “복합 금융그룹의 리스크 요인과 통합감독체계 방향”, 정현재, 「금융리스 크리뷰」, 제12권 제1호, , 2015
82. “생명보험회사 금리역마진 리스크 분석 및 대응방안”, 조영현, 「금융리스 크리뷰」, 제11권 제3호, , 2014
83. “금융기관 특별정리체계에 대한 국제 논의 및 시사점”, 김기원, 이창순, 「BOK 이슈노트」, -14호, 한국은행, 2012, , 2012
84. “모델 금 융감독법의 구조 - 기본 내용과 법안의 제안”, 김상조, 전성인, 고동원, 정지만, Eunice K. Kim, 원승연, 윤석헌, 은행법학회, 「은행법연구」 제9권 제1호, , 2016
85. “볼커 룰(Volcker Rule)의 기본구조, 최종규칙 및 그 영향”, 오성근, 은행법학회, 「은 행법연구」, 제8권 제2호, , 2015
86. “은행업무 범위에 관한 연구 – 부수업무를 중심으로”, 고동원, 「상사법연 구」, 제26권 제3호, , 2007
87. “도드-프랭크법상 보수규제법리와 우리 법에의 시사점”, 문상일, 한국경제법학회, 「경제법 연구」, 제9권 제2호, , 2010
8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기자본 규제의 국제적인 변화”, 한상범, 장정모, 송홍선, 「조사보고서 12-05」, 자본시장연구원, , 2012
89. “금산분리제도의 발전 방향-경제민주화 논의와 관련하여”, 김효연, 「NARS 정책보고서 제25호」, 국회입법조사처, , 2013
90. “미국의 장외파생상품 규제 : 도드-프랭크 법을 중심으로”,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조사 보고서 10-05」, , 2010
91. “우리나라 은행의 소유 지배구조와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이성만, 박사 학위논문, 인천대학교, , 2002
92. “FSB 권고안에 따른 금융회사 회생 정리제도 국내 도입방향”, 임형석, 금 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한국은행 공동 금융회사 회 생 정리제도 도입 관련 공청회, , 2016
93. “리스크 규제에 있어 사전예방의 원칙이 가지는 법적 의미”, 김은주,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행 정법연구」 제20호,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2008
94. 동양그룹 사태를 계기로 본 금융소비자 보호 및 신용의 중요성, 박도현 ( Do Hyun Pak ), 빈기범 ( Ki Beom Binh ), 조홍종 ( Hong Chong Cho ), 전초란 ( Cho Ran Je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사단 법인 아시아 유럽미래학회, 「유라시아연구」, 제12권 제4호, , 2015
95. “은행의 CIB 겸업에 대한 국제 논의 및 국내은행의 향후 진로”, 정윤미, 「조사연구 Review」, 제29호, 금융감독원, , 2009
96. 「위기를 쏘다 : 이헌재가 전하는 대한민국 위기 극복 매뉴얼」, 이헌재, 중앙북스, 서 울: 중앙북스, , 2012
97. “금융행정영역에서의 법률유보 및 위임입법 법리에 관한 고찰”, 석종현,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17집, , 2003
98. “우리나라 대형 복합금융회사 정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오승곤, 이재연, 예금보험공사, 「금융안정연구」, 제15권 제1호, , 2014
99.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금융회사의 건전성 감독 논의와 전망”, 김병덕, 함준호, 한국금융연구원, 「KIF 금융리포트 10-07」, 한국금융연구원, , 2010
100. “영국 Vickers 보고서를 통해 본 울타리은행제도의 개요와 시사 점”, 이용우, 자본시장연구원, 「이슈페이퍼 12-02」, 자본시장연구원, , 2012
101. “채권자 손실분담(Bail-in) 국제논의와 국내도입 시 고려요 인 분석”, 이재연, 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KIF 정책보고서 -07」, 한국금융연구원, 2015, , 2015
102. “글로벌 금융규제 흐름과 우리나 라 금융규제개혁의 바람직한 방향”, 천창민, 신보성, 이효섭, 권재현, 김종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총서 15-02」, 자본시 장연구원, , 2015
103. “우리나라 은행 규제 감독의 목적에 대한 법적 해석 및 그 개선방향”, 심영, 연세법학회, 「연세법학연구」, 제6집 제2권, , 1999
104. 편, “금융산업과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 「연구보 고서 -03」, 연태훈, 허석균, 한국개발연구원, 2010, , 2010
105. “장외파생금융상품거래의 도산절차상 취급에 관한 법제도 정비방 안”, 정순섭, 한국법제연구원, 「현안분석 -07」, 한국법제연구원, 2003, , 2003
106. “금융규제체계개편론-은행의 업무범위에 대한 국제적 논의를 중심으로-”, 정순섭, 한국상사판례학회, 「상사판례연구」, 제24집 제4권, , 2011
107. 「금융경제학 사용설명서 - 금융의 탄생에서 현재의 세계 금융 지형 까지」, 이찬근, 서울: 부키, , 2011
108. “금산분리 관련 주요현안에 대한 법적 고찰 : 경제민주화 추진과 관련하여”, 원동욱, 한국상사판례학회, 「상사판례연구」, 제26집 제3권, , 2013
109. “국내 금융회사 정리체계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 핵심원칙 (KA)을 중심으로”, 고영호, 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KIF 정책보고서 -04」, 한국금융연구원, 2015, , 2015
110.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보험회사의 자기자본규제에 관한 법적연구”, 정은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2014
111. “은산분리에 대한 몇 가지 논점 – 미국의 경험과 감독기구 기능을 중심으로”, 박기영, 성태윤, 한국금융연구원, 「한국경제의 분석」, 제16권 제2호, , 2010
112. 「현장에서 본 경제위기 대응실록 : 아시아금융위기에서 글로벌경제 위기까지」, 강만수, 삼성경제연구소,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2015
113. “미국 금융규제제도의 개혁방향 – 월가 개혁 및 소비자보호법안을 중 심으로”, 심영, 한국비교사법학회, 「비교사법」, 제17권 제1호, , 2010
114. “시스템리스크 측면에서 본 글로벌 금융위기의 특성과 금융 감독상의 시 사점”, 장웅수, 년도 한국금융학회 추계 공동 정책심포지엄, 2008. 11. 11., http://www.kmfa.or.kr/paper/annual/2008/2008_11_11_2.pdf 에 서 이용가능, , 2008
115. “이중상환청구권부 채권 발행에 관한 법률의 제정 과 커버드본드의 법률 관계”, 김용호, 최용호, 윤수진, 「BFL」, 제65호, , 2014
116. “금융회사의 조직규제 –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금융규제법상 의미를 중심으로”, 정순섭, 한국상사판례학회, 「상사판례연구」, 제24집 제2권, , 2011
117. “법률유보원칙의 실제와 개선방안 – 자유 재산의 침해에서 법률의 규율밀도로”, 유진식, 「공법연구」, 제44집 제2호, , 2015
118.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 금융회사 선정 기준의 금융권역별 차 이와 시사점”, 이승준, 보험연구원, 「KiRi Weekly」, 제352호, 보험연구원, , 2015
119. “독립규제기관의 사건처리절차의 개선방안 – 미국 FTC의 사건처리절 차를 중심으로”, 조성국, 「행정법연구」, 제16호, , 2006
120.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SIFI)에 대한국제적 정리체계-FSB의 개선권고를 중심으로-, 한민 ( Min Han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논집」, 제19권 제1호, , 2014
121. 존슨 곽유신,「위험한 은행 : 대형 은행이 야기한 경제재앙의 참담한 실체」, 김선희 역, 사이먼, 서울: 로그인, , 2011
122. “대형금융기관(금융지주회사)의 도산처리 방향 – 금융안정위원회의 권고안을 중심으로”, 박민우, 「비교사법」, 제18권 제4호, , 2011
123. 「파생금융 사용설명서 - 선물 옵션에서 구조화금융까지 쉽게 설명한 파생금융의 모든 것」, 권오상, 서울: 부키, , 2013
124. “금융규제행정의 공법적 해석-금융행정법의 정립을 위한 은행법상 쟁점 제기를 중심으로”, 최승필,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 제17권 제1호, 한국비교 공법학회, , 2016
125. “자금조달기능으로서의 PEF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자금조달기능 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박종철, 한국상사판례학회, 「상사판례연구」, 제27집 제4권, , 2014
126. “건전한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원칙과 운용방안 - 금융회사의 지배구 조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김홍기, 한국상사판례학회, 「상사판례연구」, 제28집 제3권, , 2015
127. “금융회사 보수규제의 논점과 개선과제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 한 법률의 분석을 중심으로”, 최문희, 「BFL」, 제79호, , 2016
128. 금융지주회사와 그 자회사들에 대한 실체적 병합이론의 적용여부에 관한 연구-대형금융기관의 도산처리 방향Ⅱ, 박민우, 한국비교사법학회, 「비교사법」, 제20권 제4호, , 2013
129. “통합도산법상 금융거래의 특칙에 관한 연구-채무자회생및파산에관 한법률 제120조 제3항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정순섭, 「증권법연구」, 제6 권 제2호, , 2005
130. “방송통신위원회의 법집행절차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행정절차에 대한 對審主義접목의 의의와 방식을 중심으로”, 이희정, 「경제규제와 법」, 제3권 제1호, , 2010
131. 프랍 트레이딩 규제에 관한 고찰 - 미국 볼커룰 최종 시행규칙의 문제점 및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 규제방안을 중심으로 -, 김희철 ( Heecheol Kim ), 한국금융법학회, 「금융 법연구」, 제11권 제4호, , 2014
132.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의 ‘중간금융지주회사’도입방 안에 관한 소고 – 미국의 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상의 중간금융지주회사와의 비교를 중심으 로”, 김희철, 「경영법률」, 제21권 제1호,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