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유아의 실내놀이행동 군집에 따른 예측변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54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indoor play behaviors using cluster analyses. Methods: Data from 963 children (age 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phas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indoor play behaviors using cluster analyses. Methods: Data from 963 children (age 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phas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es, F-test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clustering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ive profiles: positive-theme oriented, general-exploratory/manipulative, and negative-exploratory/manipulative groups. Child characteristics, including cognition, language, and social level, and teachers’ 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roups in a different way; the clusters were partially different in the gender and creativity of children, interaction level of teachers`` interaction, classroom environment, and program types that children attended. Conclusion: Findings revealed three clusters of play behaviors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ecological variables that determined the clust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길효정,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의 특징"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225-251, 2013

      2 위수경, "유치원 놀이 규칙에 대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교사 전략과 유아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 16 (16): 1169-1184, 2007

      3 정대현, "유아의 인적변인과 유아교육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관계,또래관계 및 다중지능 특성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9-42, 2005

      4 성지현,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29-253, 2012

      5 이경미,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하루일과"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71-193, 2009

      6 임현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 집단 간 유아의 성별과 기질, 어머니의 심리특성, 가정 내·외적 지원 차이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65-183, 2015

      7 이현경,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 군집별유아, 교사 및 학급 변인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5-73, 2014

      8 황윤세,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력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45-166, 2007

      9 金明子,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10 박창현,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99-125, 2012

      1 길효정,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의 특징"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225-251, 2013

      2 위수경, "유치원 놀이 규칙에 대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교사 전략과 유아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 16 (16): 1169-1184, 2007

      3 정대현, "유아의 인적변인과 유아교육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관계,또래관계 및 다중지능 특성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9-42, 2005

      4 성지현,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29-253, 2012

      5 이경미,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하루일과"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71-193, 2009

      6 임현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 집단 간 유아의 성별과 기질, 어머니의 심리특성, 가정 내·외적 지원 차이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65-183, 2015

      7 이현경,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 군집별유아, 교사 및 학급 변인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5-73, 2014

      8 황윤세,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력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45-166, 2007

      9 金明子,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10 박창현,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99-125, 2012

      11 이종숙, "영ㆍ유아 언어, 인지, 사회ㆍ정서 발달 평가도구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69-290, 2009

      12 윤현숙,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389-405, 2007

      13 권연희,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아동의 정서성 및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01-216, 2005

      14 최태산, "아동의 놀이성 관련 연구 경향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1994년~2008년)" 한국놀이치료학회 12 (12): 75-96, 2009

      15 최혜영,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303-318, 2008

      16 이경순, "쌓기놀이에 대한 여아들의 인식과 여아들의 선호도 증가를 위한 교사의 전략" 한국아동학회 28 (28): 95-113, 2007

      17 권미나, "실내⋅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과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2 (42): 137-156, 2011

      18 이정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양옥승, "물리적 환경구성과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1-40, 2005

      20 김명순, "동일연령반에서 유아의 자유선택놀이에 관한 연구: 놀이행동, 흥미영역, 놀이상대 및 놀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75-98, 2010

      21 권연희,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9-48, 2012

      22 정계숙, "기관 유형별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유아 또래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25-449, 2015

      23 박은영,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수 행동 및 유아 놀이행동의 차이"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4 김난실,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 형태"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59-184, 2008

      25 Judy Dunn, "Understanding Othe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Friendship Interactions in Young Children" Wiley-Blackwell 8 (8): 201-219, 1999

      26 Carollee Howes, "Thresholds of Quality: Implication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Wiley-Blackwell 63 (63): 449-460, 1992

      27 Bergen, D., "The role of pretend play i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4 (4): 1-13, 2002

      28 Susan D. Holloway,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lsevier BV 3 (3): 39-53, 1988

      29 Robyn M. Holm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ocial play,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Informa UK Limited 185 (185): 1180-1197, 2014

      30 Kim, S.,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er acceptance,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and play categories" 20 (20): 47-65, 2000

      31 Ellen Cameron, "The relations between sex-typed play and preschoolers' social behavior" Springer Nature 12 (12): 601-615, 1985

      32 Kenneth H. Rubin, "The many faces of social isolation in childhoo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56 (56): 916-924, 1988

      33 Choi, J. H., "The effects of toddlers’characteristics and child care environments on toddlers’behaviors in child care center" 1 (1): 103-124, 2005

      34 Hinke M. Endedijk, "The Role of Child Characteristics and Peer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Peer Cooperation" Wiley-Blackwell 24 (24): 521-540, 2015

      35 Do, N. H.,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3"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6 Kim, E.,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2"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7 Shin, 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08"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8 Buss, A. H.,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Erlbaum 1984

      39 Kathleen Moritz Rudasill, "Temperament in early childhood and peer interactions in third grade: The rol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early elementary grades" Elsevier BV 51 (51): 701-716, 2013

      40 Dan, H. K., "Study on the play choice and performance of free choice activities" 14 (14): 5-33, 2012

      41 Stan Maria Magdalena, "Study on the Temperament as a Predictor of Peer Interactions at Preschool Ages" Elsevier BV 187 : 663-667, 2015

      42 ALEXANDER VON EYE, "Research strategies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imensional identity and the person-oriented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5 (15): 553-580, 2003

      43 Jan N. Hughes, "Reciprocal effects of student–teacher and student–peer relatedness: Effects on academic self efficacy" Elsevier BV 32 (32): 278-287, 2011

      44 Russ, S. W., "Pretend play and creative processes" 6 (6): 136-148, 2013

      45 Mathieson, K., "Preschool peer play : The beginnings of social competence" 27 (27): 9-20, 2010

      46 Eberle, S. G., "Playing with the multiple intelligences : How play helps them grow" 4 (4): 19-51, 2011

      47 Bjorklund, D. F., "Oxford handbook of play" Oxford University Press 153-171, 2011

      48 Jeon, K. W., "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 K-FCTYC" Hakjisa 2001

      49 Pellis, S. M., "How play makes for a more adaptable brain : A comparative and neural perspective" 7 (7): 73-98, 2014

      50 Stuart Reifel, "From category to context: Reconsidering classroom play" Elsevier BV 8 (8): 347-367, 1993

      51 Seo, M., "Developing facility/equipment standards for kindergartens and childcare facilities"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2 Miller, E., "Crisis in the kindergarten:Why children need to play in school" Alliance for Childhood

      53 Chi, S. A., "Children’s social-cognitive play :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activity centers" 16 (16): 83-102, 1996

      54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Child Car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Wiley-Blackwell 72 (72): 1478-1500, 2001

      55 Burns, R. B., "Busines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s using SPSS" SAGE 2008

      56 김연하,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69-191, 2008

      57 John Fantuzzo,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lsevier BV 10 (10): 105-120, 1995

      58 Hwang, I. J., "An analysis of free choice activities reflected in daily lesson plan" 17 : 45-61, 2014

      59 Sandra Doctoroff, "Adap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o meet the needs of all young children for play" Springer Nature 29 (29): 105-109, 2001

      60 Kim, E., "A survey research of ECCE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A comparison of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1 Rhee, S. S., "A study on the number of clusters in cluster analysis" 6 (6): 217-229, 1997

      62 Lee, Y., "A study on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37 (37): 103-115, 1999

      63 Moon, H. Y., "A study on children’s play preference in their interest centers" Chungang National University 2003

      64 Seefeldt, C., "A curriculum for preschool" Bell & Howell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1.77 2.21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