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수준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mpowerment Percep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01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basic data to provide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dental field.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percep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work achievement in the system of dental clinic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s some randomly chosen at dental clinics located in Seoul City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2 to April 30, 2010, and the sample of 256 female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the field were recruited as the analysis object group.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empowerment level of the subjects was 3.63. It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at the longer working career or higher annual salary, the higher empowerment level (p<0.05). 2. Dental hygienists who are in charge of education·counsel(p<0.01) and who have a permanent job(p<0.05) have higher empowerment level than others. 3.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as 3.18.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at the increaser age(p<0.05) or in the journal subscription group, the higher job satisfaction (p<0.001). 4. In regression analysis, meaningfulness, self-determination were proved as a significant factors that is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p<0.05). This finding shows high job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who hold high level of empowerment perception.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 of dental clinic needs to improve its capability and efficiency with the efficient manpower management. Particularly,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 need exists to develop various kinds of leadership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 empowerment of dental hygienists as professionals through independent decision making and role execu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basic data to provide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dental field.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percep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basic data to provide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dental field.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percep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work achievement in the system of dental clinic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s some randomly chosen at dental clinics located in Seoul City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2 to April 30, 2010, and the sample of 256 female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the field were recruited as the analysis object group.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empowerment level of the subjects was 3.63. It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at the longer working career or higher annual salary, the higher empowerment level (p<0.05). 2. Dental hygienists who are in charge of education·counsel(p<0.01) and who have a permanent job(p<0.05) have higher empowerment level than others. 3.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as 3.18.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at the increaser age(p<0.05) or in the journal subscription group, the higher job satisfaction (p<0.001). 4. In regression analysis, meaningfulness, self-determination were proved as a significant factors that is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p<0.05). This finding shows high job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who hold high level of empowerment perception.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 of dental clinic needs to improve its capability and efficiency with the efficient manpower management. Particularly,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 need exists to develop various kinds of leadership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 empowerment of dental hygienists as professionals through independent decision making and role execu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순화, "혈액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관 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1

      2 신유근, "한국 기업윤리 교육의 과제와 방향" 경영연구소 34 (34): 119-139, 1997

      3 최은영,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애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4 김양균, "치과위생사의 임파워면트와 직무몰입?조직몰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8 (8): 76-110, 2003

      5 신선정, "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 요인들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 34 (34): 525-533, 2010

      6 박향숙, "치과위생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에 관한 연구" 7 (7): 67-76, 2003

      7 박준회, "조직분위기 유형과 임파워먼트가 조직내 혁신행동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1997

      8 최현미, "조직구성원이 느끼는 상호의존성과 임파워먼트 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9

      9 정해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10 김금수, "임파워먼트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1999

      1 정순화, "혈액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관 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1

      2 신유근, "한국 기업윤리 교육의 과제와 방향" 경영연구소 34 (34): 119-139, 1997

      3 최은영,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애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4 김양균, "치과위생사의 임파워면트와 직무몰입?조직몰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8 (8): 76-110, 2003

      5 신선정, "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 요인들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 34 (34): 525-533, 2010

      6 박향숙, "치과위생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에 관한 연구" 7 (7): 67-76, 2003

      7 박준회, "조직분위기 유형과 임파워먼트가 조직내 혁신행동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1997

      8 최현미, "조직구성원이 느끼는 상호의존성과 임파워먼트 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9

      9 정해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10 김금수, "임파워먼트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1999

      11 박원우, "임파워먼트:개념정립 및 실천방향모색" 26 (26): 115-138, 1997

      12 김영선, "임상치과위생사들의직무소진과대처행동" 한국치위생과학회 7 (7): 225-233, 2007

      13 심형순,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 10 (10): 555-565, 2010

      14 김현경, "수술실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수준과 직무만족" 6 (6): 121-128, 2002

      15 이혜연,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만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8

      16 손영아,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관련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2009

      17 차윤석, "비전 적합성,임파워먼트,그리고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6

      18 송영화, "보건(지)소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2002

      19 심재훈, "물리치료사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임파워먼트,직무만 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09

      20 황심미, "교직원의 임파워먼트,팔로워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2009

      21 남경희,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조직몰입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2001

      22 양길모,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업무관련 개인적 특성,업무성과 관계" 5 (5): 39-61, 1999

      23 이상금, "간호사가 지각한 자율성,그룹 결속력과 직무만족도,조 직몰입,직무동기,재직의 도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1996

      24 Shawler C, "The empowerment of older mothers and daughters: Rehabilitation strategies following a hip fracture" 27 (27): 371-377, 2006

      25 Wilson B, "Staff nurse perception of job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A test of Kanter's theory of structural power in organizations" 24 (24): 39-47, 1994

      26 Miller WB, "Staff nurse perception of job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4 (24): 39-47, 1994

      27 Laschinger Havens DS, "Staff Nurse work empowerment and perceived control over nursing practice.Conditions for work effectiveness" 26 (26): 27-35, 1996

      28 Kuo H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nursing assistant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17 (17): 3059-3066, 2008

      29 Spreitzer GM,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38 (38): 1442-1465, 1995

      30 이현옥, "J 지역치과위생사의직무스트레스요인분석" 한국치위생과학회 7 (7): 65-72, 2007

      31 주온주, "J 지역치과위생사의직무만족과이직의상관관계분석" 한국치위생과학회 7 (7): 251-256, 2007

      32 McComick,E.J., "Industrial psychology" Prentice-Hall 1980

      33 Hitchman SC, "Gender empowerment and femaleto-male smoking prevalence ratios" 89 (89): 195-202, 2011

      34 Thomas KW,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An"interpretive"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15 (15): 666-681, 1990

      35 Viklund G, "Assessment of an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me" 24 (24): 550-55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2 1.307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