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설계 연구 : 초인지를 활용한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65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동국대학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2023. 8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為了研究生院留學生的學術閱讀教學大綱設計研究 : 以活用元認知的論文閱讀為中心

      • 형태사항

        101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민정호
        참고문헌: p. 95-99

      • UCI식별코드

        I804:11020-000000086427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초인지를 활용한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하는 학술적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초인지 능력과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의 대학 부속 어학원이나 학습자 모국의 한국어교육 기관에서는 학술적 논문과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지만 학습자의 현실 요구에 맞는 적절한 학술적 읽기 교육은 마련되지 않았다. 중국 학부의 한국어 과정과 한국어학원의 과정은 의사소통에 초점을 둔 한국어교육 모델을 만들어냈고, 대학원 유학생들의 학술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들의 초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인지를 활용하여 선수과정으로서의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였다. 또한 텍스트 중심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논문 중심의 읽기 후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과목, 교수법, 활용한 읽기 텍스트 세 가지 내용을 통하여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에서 존재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목 배치는 학생들의 읽기 전략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다. 둘째, 교사 중심의 교수법을 채택하는 것은 학습자의 적극성을 높일 수 없다. 셋째, 교재에서 특정 장르에 대한 텍스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중요한 장르에 대한 학생들의 읽기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어서 교수요목과 논문의 특징을 검토하여 그 검토 결과를 기반으로 텍스트(장르) 중심 교수요목이 본 연구에서 채택한 교수요목 유형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선수 강의의 의미를 살펴보고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선수 강의로 설계하는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읽기 전략의 유형과 의의를 탐구함으로써 후속 수업내용의 배치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 이어서 읽기 교육에 대한 초인지 능력의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하고 ‘관찰 학습 이론’을 검토하여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의 틀과 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설계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학습자들의 학습 요구에 더 부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선수과정으로서의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분별 수업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업 순서를 안배하였다. 또한 설계한 교수요목을 교육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국어교육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개발 원리와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에는 교육 목적, 목표, 학습자 요구 적합성, 교사 요구 적합성과 세부 교육 내용을 배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의 단원 구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관심이 있는 논문의 주제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토의 활동을 할 때 연구 주제가 비슷한 학생들을 같은 팀으로 나누었다. 또한 수업 활동을 ‘팀 내 토의하기, 팀 단위로 발표하기, 교사가 피드백하기’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팀 내 토의하기’는 비슷한 연구 주제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한 읽기 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팀 단위로 발표하기’는 각 팀이 다른 팀의 읽기 방법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가 피드백하기’는 학생들의 읽기 방법의 단점을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설계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를 보여주기 위하여 16주차 중 3주차의 ‘읽기 전략에 대한 이론 지식 교육’을 선택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수업 지도안 및 지도안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 교수요목을 한국어교육 전공의 읽기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의 장·단점과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대학원에서 학습자들이 자주 하는 과제는 논문 읽기를 기반으로 하므로 학생들이 논문을 제대로 읽지 못하면 학업을 제대로 마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여 대학원 유학생들의 논문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논문 읽기 능력을 높임으로써 대학원 유학생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대부분의 교육 방안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학술적 읽기 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교수요목을 마련하여 표준화된 읽기 교육과정의 수행과 학술적 읽기 교육의 질적인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본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읽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다른 학술적 읽기 교육 과정 개발하는 데에도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는 학습자가 초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초인지 능력은 학습자 자신의 인지 활동에 대한 점검과 통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능력의 향상은 학술적 읽기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교육의 다른 분야에서도 지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수업 활동에 관찰학습 이론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교사는 교육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관찰학습 대상으로서 높은 교육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어떻게 교사가 교육 활동에서 느끼는 부담감을 줄일 것인가는 앞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번역하기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초인지를 활용한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하는 학술적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초인지 능력과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의...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초인지를 활용한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하는 학술적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초인지 능력과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의 대학 부속 어학원이나 학습자 모국의 한국어교육 기관에서는 학술적 논문과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지만 학습자의 현실 요구에 맞는 적절한 학술적 읽기 교육은 마련되지 않았다. 중국 학부의 한국어 과정과 한국어학원의 과정은 의사소통에 초점을 둔 한국어교육 모델을 만들어냈고, 대학원 유학생들의 학술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들의 초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인지를 활용하여 선수과정으로서의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였다. 또한 텍스트 중심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논문 중심의 읽기 후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과목, 교수법, 활용한 읽기 텍스트 세 가지 내용을 통하여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에서 존재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목 배치는 학생들의 읽기 전략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다. 둘째, 교사 중심의 교수법을 채택하는 것은 학습자의 적극성을 높일 수 없다. 셋째, 교재에서 특정 장르에 대한 텍스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중요한 장르에 대한 학생들의 읽기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어서 교수요목과 논문의 특징을 검토하여 그 검토 결과를 기반으로 텍스트(장르) 중심 교수요목이 본 연구에서 채택한 교수요목 유형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선수 강의의 의미를 살펴보고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선수 강의로 설계하는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읽기 전략의 유형과 의의를 탐구함으로써 후속 수업내용의 배치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 이어서 읽기 교육에 대한 초인지 능력의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하고 ‘관찰 학습 이론’을 검토하여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의 틀과 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설계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학습자들의 학습 요구에 더 부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선수과정으로서의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분별 수업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업 순서를 안배하였다. 또한 설계한 교수요목을 교육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국어교육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개발 원리와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에는 교육 목적, 목표, 학습자 요구 적합성, 교사 요구 적합성과 세부 교육 내용을 배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의 단원 구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관심이 있는 논문의 주제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토의 활동을 할 때 연구 주제가 비슷한 학생들을 같은 팀으로 나누었다. 또한 수업 활동을 ‘팀 내 토의하기, 팀 단위로 발표하기, 교사가 피드백하기’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팀 내 토의하기’는 비슷한 연구 주제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한 읽기 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팀 단위로 발표하기’는 각 팀이 다른 팀의 읽기 방법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가 피드백하기’는 학생들의 읽기 방법의 단점을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설계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를 보여주기 위하여 16주차 중 3주차의 ‘읽기 전략에 대한 이론 지식 교육’을 선택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수업 지도안 및 지도안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 교수요목을 한국어교육 전공의 읽기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의 장·단점과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대학원에서 학습자들이 자주 하는 과제는 논문 읽기를 기반으로 하므로 학생들이 논문을 제대로 읽지 못하면 학업을 제대로 마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을 마련하여 대학원 유학생들의 논문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논문 읽기 능력을 높임으로써 대학원 유학생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대부분의 교육 방안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학술적 읽기 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교수요목을 마련하여 표준화된 읽기 교육과정의 수행과 학술적 읽기 교육의 질적인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본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읽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다른 학술적 읽기 교육 과정 개발하는 데에도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는 학습자가 초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초인지 능력은 학습자 자신의 인지 활동에 대한 점검과 통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능력의 향상은 학술적 읽기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교육의 다른 분야에서도 지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수업 활동에 관찰학습 이론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교사는 교육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관찰학습 대상으로서 높은 교육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어떻게 교사가 교육 활동에서 느끼는 부담감을 줄일 것인가는 앞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以韓國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學科留學生(以下簡稱為研究生院留學生)為對象進行的利用元認知的,以論文閱讀為中心的學術性閱讀教育,其目的在於提高學習者的元認知能力和閱讀能力。目前,韓國的大學附屬語學院或學習者本國的韓國語教育機構對學術論文相關教育的必要性錶示認同,但尚未制定符合學習者現實要求的學術閱讀教育模式。中國大學的韓國語課程和韓國語學院的課程創造了以意識溝通為焦點的韓國語教育模式,幾乎沒有有助於提高研究生院留學生學術閱讀能力的教育課程及教學大綱。因此,本研究為了提高韓國國內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繫留學生的元認知能力,以論文閱讀為中心,制定了作為先修課程的學術閱讀教學大綱。另外,課程將以“以文本為中心的教學大綱”為基礎,以“論文閱讀後活動”為中心進行。 為了實現上述目標,首先對相關研究進行了探討,通過中國大學韓國語教育專業的課程、教學方法、活用的閱讀文本三方面的內容,分析了韓國語教育專業的閱讀教學現狀。以此為基礎,提出了韓國語教育專業閱讀教育中存在的問題。首先是課程佈局不利於提高學生的閱讀策略使用能力。其次,採用以教師為中心的教學方法不能提高學習者的積極性。最後,由於教材中缺乏特定類型的文本,難以滿足學生對於重要文本的閱讀需求。 隨後對教學大綱和論文特征進行綜述,根據綜述結果,確定文本中心教學大綱為本研究採用的教學大綱類型。另外,探究了先修課程的意義,確認了將“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設計為先修課程的妥當性。接下來通過探究閱讀策略的類型和意義,為後續教學內容的部署提供依據。隨後詳細闡述了元認知能力對閱讀教育的重要性,併對“觀察學習理論”進行了綜述,為學術閱讀教學大綱的設計提供理論依據。最後,根據前面得出的分析結果,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的框架和設計程序 為了使設計的學術閱讀教學大綱更符合學習者的學習需求,以韓國國內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繫留學生為對象進行了問卷調查。通過問卷調查,確認有必要開發作為先修課程的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以調查結果為基礎,安排了各部分的授
      課內容所佔的比重和授課順序。另外,為了提高教學大綱在教育現場應用的實用性,以韓國語教育經驗豐富的3名教師為對象進行了採訪,併以他們的意見為基礎,設計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 接下來,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教學大綱的開發原理和模型。模型中提出了教學目的、目標、適應學習者需求的要點、適應教師需求的要點和詳細的教學內容。以此為基礎,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的單元構成。另外,為了展示設計的學術閱讀教學大綱如何在實際教育現場使用,選擇了16周中第3周的“閱讀戰略理論知識教育”,說明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授課指導案及指導案的實施過程。另外,為了探究將該教學大綱適用於韓國語教育專業的閱讀課程時的優點、缺點和教育效果,以3名教師為對象進行了採訪。 本研究的意義可以總結如下。第一,在研究生院,研究生院留學生經常做的課題是以論文閱讀為基礎的,如果研究生院留學生不能正確閱讀論文,就很難順利完成學業。本研究考慮到這種情況,設計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教學大綱,有助於提高研究生院留學生閱讀論文的能力。通過提升論文閱讀能力,可以提高研究生院留學生的“生存率”。第二,目前針對研究生院留學生的教育方案研究大多以學術寫作為研究對象。為解決學術閱讀教育關註度不足的問題,本研究將制定繫統性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這將有助於開展規範性的閱讀教育課程,提高學術閱讀的教學質量。第三,本學術閱讀教學大綱有助於研究生院留學生提高閱讀效率,同時也可以為開發其他學術閱讀教育課程提供基礎資料。第四,本研究有助於研究生院留學生提高元認知能力。由於元認知能力包括對學習者自身認知活動的檢查和控制,因此這種能力的提高不僅
      在學術閱讀教育方面,在韓語教育的其他領域也可以起到指導作用。 但是,由於本研究在教學活動中採用了觀察學習理論,教師作為教學活動中最重要的觀察學習對象,應具備較高的教學能力。如何減輕教師在教育活動中感受到的負擔是
      今後需要考慮的問題。
      번역하기

      以韓國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學科留學生(以下簡稱為研究生院留學生)為對象進行的利用元認知的,以論文閱讀為中心的學術性閱讀教育,其目的在於提高學習者的元認知能力和閱讀能力...

      以韓國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學科留學生(以下簡稱為研究生院留學生)為對象進行的利用元認知的,以論文閱讀為中心的學術性閱讀教育,其目的在於提高學習者的元認知能力和閱讀能力。目前,韓國的大學附屬語學院或學習者本國的韓國語教育機構對學術論文相關教育的必要性錶示認同,但尚未制定符合學習者現實要求的學術閱讀教育模式。中國大學的韓國語課程和韓國語學院的課程創造了以意識溝通為焦點的韓國語教育模式,幾乎沒有有助於提高研究生院留學生學術閱讀能力的教育課程及教學大綱。因此,本研究為了提高韓國國內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繫留學生的元認知能力,以論文閱讀為中心,制定了作為先修課程的學術閱讀教學大綱。另外,課程將以“以文本為中心的教學大綱”為基礎,以“論文閱讀後活動”為中心進行。 為了實現上述目標,首先對相關研究進行了探討,通過中國大學韓國語教育專業的課程、教學方法、活用的閱讀文本三方面的內容,分析了韓國語教育專業的閱讀教學現狀。以此為基礎,提出了韓國語教育專業閱讀教育中存在的問題。首先是課程佈局不利於提高學生的閱讀策略使用能力。其次,採用以教師為中心的教學方法不能提高學習者的積極性。最後,由於教材中缺乏特定類型的文本,難以滿足學生對於重要文本的閱讀需求。 隨後對教學大綱和論文特征進行綜述,根據綜述結果,確定文本中心教學大綱為本研究採用的教學大綱類型。另外,探究了先修課程的意義,確認了將“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設計為先修課程的妥當性。接下來通過探究閱讀策略的類型和意義,為後續教學內容的部署提供依據。隨後詳細闡述了元認知能力對閱讀教育的重要性,併對“觀察學習理論”進行了綜述,為學術閱讀教學大綱的設計提供理論依據。最後,根據前面得出的分析結果,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的框架和設計程序 為了使設計的學術閱讀教學大綱更符合學習者的學習需求,以韓國國內普通研究生院國語國文繫留學生為對象進行了問卷調查。通過問卷調查,確認有必要開發作為先修課程的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以調查結果為基礎,安排了各部分的授
      課內容所佔的比重和授課順序。另外,為了提高教學大綱在教育現場應用的實用性,以韓國語教育經驗豐富的3名教師為對象進行了採訪,併以他們的意見為基礎,設計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 接下來,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教學大綱的開發原理和模型。模型中提出了教學目的、目標、適應學習者需求的要點、適應教師需求的要點和詳細的教學內容。以此為基礎,提出了利用元認知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的單元構成。另外,為了展示設計的學術閱讀教學大綱如何在實際教育現場使用,選擇了16周中第3周的“閱讀戰略理論知識教育”,說明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授課指導案及指導案的實施過程。另外,為了探究將該教學大綱適用於韓國語教育專業的閱讀課程時的優點、缺點和教育效果,以3名教師為對象進行了採訪。 本研究的意義可以總結如下。第一,在研究生院,研究生院留學生經常做的課題是以論文閱讀為基礎的,如果研究生院留學生不能正確閱讀論文,就很難順利完成學業。本研究考慮到這種情況,設計了利用元認知的學術閱讀教學大綱,有助於提高研究生院留學生閱讀論文的能力。通過提升論文閱讀能力,可以提高研究生院留學生的“生存率”。第二,目前針對研究生院留學生的教育方案研究大多以學術寫作為研究對象。為解決學術閱讀教育關註度不足的問題,本研究將制定繫統性的學術性閱讀教學大綱,這將有助於開展規範性的閱讀教育課程,提高學術閱讀的教學質量。第三,本學術閱讀教學大綱有助於研究生院留學生提高閱讀效率,同時也可以為開發其他學術閱讀教育課程提供基礎資料。第四,本研究有助於研究生院留學生提高元認知能力。由於元認知能力包括對學習者自身認知活動的檢查和控制,因此這種能力的提高不僅
      在學術閱讀教育方面,在韓語教育的其他領域也可以起到指導作用。 但是,由於本研究在教學活動中採用了觀察學習理論,教師作為教學活動中最重要的觀察學習對象,應具備較高的教學能力。如何減輕教師在教育活動中感受到的負擔是
      今後需要考慮的問題。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4
      • 1.2.1.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5
      • 1.2.2.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관련 연구 9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4
      • 1.2.1.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5
      • 1.2.2.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관련 연구 9
      • 1.2.3. 한국어 읽기 전략 관련 연구 12
      • 1.3. 연구 대상 및 방법 15
      • 2. 이론적 배경 18
      • 2.1.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 현황과 특징 18
      • 2.1.1.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 현황 18
      • 2.1.2. 한국어교육 전공 읽기 교육 특징 22
      • 2.2. 교수요목의 개념과 선수 강의의 의미 23
      • 2.2.1. 교수요목과 논문의 특징 24
      • 2.2.2. 선수 강의의 의미 29
      • 2.3. 읽기 전략의 의미와 읽기 교수요목 설계 31
      • 2.3.1. 읽기 전략의 유형과 의미 31
      • 2.3.2. 읽기 교수요목의 설계 35
      • 3. 설문지와 인터뷰 분석 40
      • 3.1. 설문지 구성과 인터뷰 내용 40
      • 3.1.1. 설문지 구성과 내용 40
      • 3.1.2. 인터뷰 내용 설정 46
      • 3.2. 설문지 결과 분석과 교사 인터뷰 내용 48
      • 3.2.1. 설문지 결과 분석 48
      • 3.2.2. 교사 인터뷰 내용 59
      • 4. 초인지를 활용한 학술적 읽기 교수요목 설계 68
      • 4.1. 교수요목 설계 원리와 모형 68
      • 4.1.1. 초인지를 활용한 교수요목 설계 원리 68
      • 4.1.2. 초인지를 활용한 교수요목 설계 모형 71
      • 4.2. 교수요목 설계와 수업 실제 74
      • 4.2.1. 초인지를 활용한 교수요목 설계와 특징 74
      • 4.2.2. 초인지를 활용한 수업의 실제 79
      • 4.3. 교수요목의 활용과 평가 83
      • 4.3.1. 초인지를 활용한 교수요목의 활용 83
      • 4.3.2. 초인지를 활용한 교수요목의 평가 86
      • 5. 결론 92
      • 참고문헌 95
      • 중문요약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