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 The Roles of Teachers for Children's Art Education based on Aoki's Curriculum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71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many perspectives to describe roles of a teacher and these perspectives also have many things to do with curriculum discourses. As it is, teachers for Children's Art Education are required more complex roles not only in teaching related with...

      There are many perspectives to describe roles of a teacher and these perspectives also have many things to do with curriculum discourses. As it is, teachers for Children's Art Education are required more complex roles not only in teaching related with curriculum but also in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is study brought Aoki's curriculum theory which recognized as overcoming instrumental approach to curriculum, up to highlight on art teachers' role in teaching curriculum. Aoki's voice for both curriculum and roles of teachers are fresh, vital and aesthetic which ever described complicated teaching phenomena in heartbreaking poetic nuance.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 role of art teachers from Aoki's theory, which are 1) dwelling in the zone of between, 2) inspiriting the curriculum, 3) interpreting and reflecting curriculum, 4) improvising curriculum, 5) and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en this study reinterpreted those five ideas into roles of art teachers, particularly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finally suggest that role of teachers particularly related to teaching art for children should always be awake, live and love 'arts' as existence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이 주체로서 존재론적 향유에 초점을 둔다면 미술교사는 '가르침'의 의미와 '예술적 향유' 모두를 고민해야 하며, 동시에 '교육과정'적 담론과 무관할 수 없는 복잡한 역할을 요구받고 ...

      미술이 주체로서 존재론적 향유에 초점을 둔다면 미술교사는 '가르침'의 의미와 '예술적 향유' 모두를 고민해야 하며, 동시에 '교육과정'적 담론과 무관할 수 없는 복잡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 교육과정이 가졌던 다소 경직된 구조주의적 담론을 벗어나서, 교사와 교육의 비인간화 현상에 주목하고 생명적 존재로서 교사와 교사의 삶, 그리고 살아있는 교육을 지향한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반하여 아동미술교사의 역할을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생명성의 관점에서 아동미술을 담당하는 교육적 존재(pedagogic being)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미술교사, 미술을 '듣고·보는' 교사, 미술에 생명을 불어넣는 교사, 미술의 세계를 즉흥연주하는 교사, 예술적 삶을 사는 교사 등 5가지로 추출하여 이를 아동미술과 관련된 맥락 안에서의 논의를 통해 아동미술교육에서 '예술'적 가치를 놓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교육과정의 심미적, 철학적 본성에 충실한 미술교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역할
      • Ⅲ.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 Ⅳ.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역할
      • Ⅲ.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윤정, "정보화 사회의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홍익대학교 2004

      2 노은호, "재개념주의의 교육과정에 관한 미학적 접근의 의의" 35 (35): 63-, 1992

      3 이병래, "유아기 생명존중교육의 의미와 방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43-163, 2004

      4 양옥승, "유아교육과정의 패러다임 분석에 따른 교사교육과정의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253-279, 2002

      5 임부연,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71-396, 2009

      6 김영천,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 담론: 그 다섯 가지 비평과 시사점" 중등교육연구소 55 (55): 113-150, 2007

      7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 2006

      8 이혜원, "생명의 거미줄: 현대시와 에코페미니즘" 2007

      9 정연희,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7

      10 김춘일, "미술과 교육론" 갑을 출판사 1988

      1 양윤정, "정보화 사회의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홍익대학교 2004

      2 노은호, "재개념주의의 교육과정에 관한 미학적 접근의 의의" 35 (35): 63-, 1992

      3 이병래, "유아기 생명존중교육의 의미와 방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43-163, 2004

      4 양옥승, "유아교육과정의 패러다임 분석에 따른 교사교육과정의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253-279, 2002

      5 임부연,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71-396, 2009

      6 김영천,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 담론: 그 다섯 가지 비평과 시사점" 중등교육연구소 55 (55): 113-150, 2007

      7 손민호,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 2006

      8 이혜원, "생명의 거미줄: 현대시와 에코페미니즘" 2007

      9 정연희,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7

      10 김춘일, "미술과 교육론" 갑을 출판사 1988

      11 한혜정, "미국 교육과정연구 패러다임의 변화가 한국 교육과정연구에 주는 시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251-265, 2004

      12 임철규, "눈의 역사 눈의 미학" 한길사 2006

      13 이은교, "내러티브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 조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부산대학교 2011

      14 허숙, "교육현상의 재개념화-현상학, 해석학, 탈현대주의적 이해" 교육과학사 1997

      15 허숙,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탐색 -실존적 접근과 구조적 접근" 33 (33): 217-242, 1995

      16 김경배, "교육과정 연구의 회고와 전망" 18 (18): 533-547, 1994

      17 허숙, "교수활동과 인간교육의 과정" 24 (24): 229-256, 1990

      18 윤선영, "“교육예술”로서의 교육과 “예술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고찰-발도르프유아교육 관점에서" 11 (11): 117-142, 2006

      19 Aoki,T, "The sound of pedagogy in the silence of the morning calm in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389-401, 1991

      20 Bobbitt,F, "The curriculum" Joughton Mifflin 1924

      21 한명희, "The Sound of Pedagogy in the Silence of the Morning Calm: From Story to Three Theme에 대한 논평" 706-710, 1991

      22 김성훈, "Ted Aoki의 교사론 ― 교사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인간학연구소 (15) : 236-255, 2008

      23 Aoki,T, "Teaching as indwelling between two curriculum worlds in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59-165, 1991

      24 Aoki,T, "Sonare and videre: a story, three echoes and a lingering note in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367-376, 1990

      25 Aoki,T, "Locating living pedagogy in teacher “research”: five metonymic moments in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25-432, 2003

      26 Aoki,T, "Inspiriting the curriculum in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57-365, 1987

      27 김용식, "Heidegger 철학에서 본 가르침의 예술적 의미" 28 (28): 341-353, 1994

      28 Pinar, W. F,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5

      29 Aoki,T, "Curriculum implementation as instrumental action and as situational praxis in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1-123, 1983

      30 Tyler,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4 0.91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