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종사자의 특성이 통합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간인과 공무원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it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 Workers on an Integrated Service: Focusing on the Comparison Analysis of Civil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9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essentially a method proposed to enhance the developmental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s, analysing the influence of various traits of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 workers, a topic that has not yet been a subject of study, which have not been a topic for studies in the past, on integrated services, the purpose of consultative group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civilian work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conduct the analysi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ive sub-factors have been identified, while the traits of group workers have been classifi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job types, work periods, number of internally-financed projects, frequency of training sessions and work experience, frequency of working-level branch meetings, frequency of consultative group meetings, number of externally-financed project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grated service. Based on this result, local governments should reinforce thei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s for the situation of workers, stable working environment support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civilian workers and for government officials, there should be job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vocational understanding and networking to encourage organic activities with working-level branch.
      번역하기

      This study is essentially a method proposed to enhance the developmental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s, analysing the influence of various traits of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 workers, a topic that has not yet ...

      This study is essentially a method proposed to enhance the developmental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s, analysing the influence of various traits of social welfare consultative group workers, a topic that has not yet been a subject of study, which have not been a topic for studies in the past, on integrated services, the purpose of consultative group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civilian work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conduct the analysi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ive sub-factors have been identified, while the traits of group workers have been classifi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job types, work periods, number of internally-financed projects, frequency of training sessions and work experience, frequency of working-level branch meetings, frequency of consultative group meetings, number of externally-financed project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grated service. Based on this result, local governments should reinforce thei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s for the situation of workers, stable working environment support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civilian workers and for government officials, there should be job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vocational understanding and networking to encourage organic activities with working-level bran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안내"

      2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3 강혜규, "한국의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실험의 성과 분석" 5 : 1-36, 1998

      4 김윤재,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감소를 위한 지원체계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4

      5 대통령 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지역주민통합서비스 제공체계 구축방안" 129-151, 2005

      6 권덕철,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현황과 발전과제" 3-13, 2011

      7 최항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통합서비스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성남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1 (11): 367-386, 2011

      8 이경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직무환경이 통합서비스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업무담당자의 신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9 강영숙,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정책심의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연구" 343-352, 2008

      10 초의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와 네트워크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65-290, 2008

      1 보건복지부,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안내"

      2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3 강혜규, "한국의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실험의 성과 분석" 5 : 1-36, 1998

      4 김윤재,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감소를 위한 지원체계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4

      5 대통령 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지역주민통합서비스 제공체계 구축방안" 129-151, 2005

      6 권덕철,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현황과 발전과제" 3-13, 2011

      7 최항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통합서비스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성남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1 (11): 367-386, 2011

      8 이경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직무환경이 통합서비스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업무담당자의 신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9 강영숙,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정책심의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연구" 343-352, 2008

      10 초의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와 네트워크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65-290, 2008

      11 김창기,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Governance구축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9 (9): 262-269, 2009

      12 윤춘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거버넌스와 네트워크요인이 통합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9

      13 안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19-346, 2010

      14 김창기,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형성과정에서의 로컬 거버넌스 연구 : 제천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5

      15 안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평가의 현황과 과제" 111-135, 2011

      16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운영사례" 보건복지부 2009

      17 김승용,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기능의 실태와 과제" 71-100, 2011

      18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조의 현황과 과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17-58, 2011

      19 초의수, "지역사회복지의 로컬 거버넌스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부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4 (24): 1-26, 2008

      20 함철호,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관간 연계의 효과성 평가-‘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업의 참여자와 수혜자의 태도-" 한국사회복지학회 55 : 309-339, 2003

      21 이용돈, "지역사회복지거버넌스의 효과성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공공·민간부문종사자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2 이선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서의 서비스 조정전략" 9 : 127-152, 2000

      23 강창현, "지역복지공동체형성에 있어 다자간 협력이론의 적용: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가능성"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73-94, 2005

      24 이현주, "지역복지 네트웍 구축의 의의와 도입방안" 2000

      25 조애저, "지역단위 사회복지 서비스 연계체계 구축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26 이현주, "지역단위 사회복지 관련 서비스 연계체계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27 전병관,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역량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방안:충남지역 7개시를 중심으로" 168 : 62-79, 2006

      28 안양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 "제2회 안양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연수 자료집"

      29 서동우, "정신장애자의 장애인혜택 수혜와 지역사회정신보건" 2 (2): 44-52, 1997

      30 박미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63-92, 2002

      31 이재완, "정부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어떻게 볼 것인가?" 78 : 38-41, 2005

      32 조은상, "인적자원개발 : 다학문적 접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33 박영란, "여성에 대한 폭력관련 상담소의 서비스 연결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43 : 42-75, 2000

      34 오충순,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역할분담 및 연계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영리학회 8 (8): 167-206, 2010

      35 김경혜, "서울시 지역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36 보건복지부, "생산적 복지 구현을 위한 참여복지체계 구축방안" 보건복지부 1999

      37 윤영선, "상관분석" 교육과학사 2000

      38 박경숙,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보건소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소도시, 농촌의 사회복지전담요원을 중심으로" 30 : 48-76, 1996

      39 임태경,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시스템 분석 -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29-145, 2009

      40 주상현,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연구" 14 (14): 323-343, 2003

      41 박능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상의 분절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0 (10): 57-83, 2008

      42 강혜규, "사회복지서비스 공공 전달체계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43 우정자, "사회복지 조직간 협력관리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7-64, 2006

      44 이준영, "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이론과 과제" 3-34, 2007

      45 이인재, "사회 운동과 우리 사회 : 여성운동, 소비자운동, 환경운동, 지역 복지 운동의 현황과 과제; 지역복지운동의 의의와 지역복지운동단체의 역할" 22 : 207-234, 2002

      46 박강원, "보건복지사무소의 운영방안" 38 (38): 80-86, 1995

      47 김미주, "보건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간의 지역사회 보건·복지 협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48 안혜영, "민관협력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용방안, In 제1기 통합서비스 연계과정 자료집"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63-76, 2010

      49 김석준, "뉴거버넌스 연구" 대영문화사 2000

      50 과천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 "과천시 지역복지발전을 위한 민관 네트워크 활성화" 2011

      51 이현주,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체계분석 및 재편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52 이현주, "공공과 민간의 협치기제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방안" 109 : 51-63, 2005

      53 푸른경기21실천협의회, "경기의제21실천사업" 2008

      54 경기복지재단, "경기도지역사회복지대회 자료집" 2010

      55 이혜원, "결식아동 지원조직간 서비스 연계망(network)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49 : 190-224, 2002

      56 김재엽, "가정폭력 관련 기관들의 서비스 연계 실태와 관련요인" 47 : 107-147, 2001

      57 Porter, L. W., "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80 (80): 151-176, 1973

      58 O’Toole L. J. Jr., "Treating Networks Seriously: Practical and Research-Based Agendas in Public Administration" 57 (57): 45-52, 1997

      59 Herzberg, F., "The Motivation to Work" John Wiley 1959

      60 Njoh, A. J., "The Effective Theory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Explored in The Context of a Developing nation" 59 : 235-250, 1993

      61 Ries R. K., "Serial, parallel, and integrated models of dual-diagnosis treatment" 3 (3): 173-180, 1992

      62 Aldrich, H. E., "Resource dependence and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Local employment service offices and social services sector organizations" 7 : 419-454, 1976

      63 Leichsenring K., "Providing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care for older persons - a European overview, In A European overview of issues at state" Ashgate 9-52, 2004

      64 Kodner, D. L., "Integrated care: meaning, logic,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 a discussion paper" 2 (2): 1-6, 2002

      65 McLean. G. N., "If we can’t define HRD in one country, how can we define it in an international context?" 4 (4): 313-326, 2001

      66 Pynes, J. E., "Human Resources Management for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2004

      67 Kodner, D. L., "Fully integrated care for frail elderly : two American models" 1 (1): 1-19, 2000

      68 Leutz W. N., "Five Laws for integrating medical and social services : Lessons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77-110, 1999

      69 Provan, K. G., "Do networks really work? A framework for evaluating public-sector organizational networks" 61 (61): 414-423, 2001

      70 Pawlak, E. J., "Designing & Planning for Nonprofit & Government Organization" Jossey-Bass 2004

      71 Baker, F., "Coordination of alcohol, drug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72 Aiken, M., "Coordinating human services: New strategies for building service delivery systems" Jossey-Bass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