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양육방식이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2872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83-402(20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양육방식이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양육방식이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1) 4차년도 자료를 사 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월령이 35개월 이상 42개월 이하의 1,754명의 아동을 자녀로 둔 아버지와 어 머니이다. 각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모델의 적합도는 매 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양육특성이 어머니심리특성을 매개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 양육스트레 스에 부적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한 간접효과 역시 부적 영향력을 가진 것 으로 나타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줬다. 아버지 양육특성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부적효과를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역시 부적영향력을 증가시켰다. 매개변인으로 선정한 어머니 심리특성은 본 연구에서 매개변인으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a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hildcare activities of his infant child and his method of childcare affects the childcare stress of the mother, mediated by 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ata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a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hildcare activities of his infant child and his method of childcare affects the childcare stress of the mother, mediated by 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ata used are the fourth year data of the Korea Child Panel from the Institute of Childcare Policy (2011).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1754 parents of infant children aged 35 to 42 months. A structural model is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ir effect. The fitness of the model appears to be high. The findings show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in childcare and their childcare characteristics has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 childcare stress of the mother, mediated by 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in childcar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other’s childcare-related stress.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is also negative. The indirect effect of the father’s childcare characteristics, mediated b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on the mother``s childcare stress is also negative. The variable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ected as a mediating variable, is proven to live up to its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is study.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현주,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91-109, 2012
2 김리진,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연구 :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154 (154): 47-58, 2000
3 서소정, "저출산 가정의 자녀 양육실태 및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집단 내 비교 분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27-136, 2005
4 유우영,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37 : 51-61, 1998
5 이정순, "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183-199, 2003
6 최효식,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사회 환경 변인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하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3 (83): 51-75, 2013
7 이지원,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 7 (7): 7-216, 2003
8 임현주, "영아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부부특성, 경제특성, 심리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51-470, 2012
9 오정순,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생애학회 2 (2): 51-65, 2012
10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1 임현주,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91-109, 2012
2 김리진,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연구 :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154 (154): 47-58, 2000
3 서소정, "저출산 가정의 자녀 양육실태 및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집단 내 비교 분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27-136, 2005
4 유우영,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37 : 51-61, 1998
5 이정순, "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183-199, 2003
6 최효식,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사회 환경 변인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하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3 (83): 51-75, 2013
7 이지원,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 7 (7): 7-216, 2003
8 임현주, "영아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부부특성, 경제특성, 심리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51-470, 2012
9 오정순,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생애학회 2 (2): 51-65, 2012
10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11 김진경, "어머니의 특성 및 자아인식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129-144, 2012
12 최승애,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요인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3 이유진,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14 김미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와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5 이윤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임순화,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51-278, 2010
17 김정,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18 김정,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45-262, 2005
19 임희수,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3 (23): 37-54, 2002
20 송연숙,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교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81-203, 2008
21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5 (35): 141-150, 1997
22 유호용,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3 김수연, "아버지의 영아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4 (64): 119-153, 2010
24 서석원,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57-178, 2014
25 안재진, "부의 양육참여가 출산 후 초기 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부관계의 질을 매개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1 (31): 127-158, 2011
26 이정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7 정승원, "부모의 사회서 및 양육방식과 아동의 수줍음" 18 (18): 149-161, 1997
28 권희경, "부모 양육방식 및 아동의 심리적 제반 변인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경로분석모형" 14 (14): 87-105, 2001
29 부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1
30 Abidin, R., "The Determinants of Parentering Behavior" 21 (21): 407-412, 1992
31 Bornstein, M. H., "Solitary and collaborative pretense play in early childhood : Sources of individual variation in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ona compentence" 67 (67): 2910-2929, 1996
32 Rosenberg, M., "Soci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Wesleyan University Press 1979
33 Jackson, A. P., "Single Mothers in Low-Wage Jobs : Financila Strain, Parenting, and Preschoolers' Outcomes" 71 (71): 1409-1423, 2000
34 Kessler, R. C.,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32 (32): 959-976, 2002
35 Park, K. A., "Security of attachment and preschool friendships" 1076-1081, 1989
36 Nugent, R. P., "Reliability of diagnosing bacterial vaginosis is improved by a standardized method of gram stain interpretation" 29 (29): 297-301, 1991
37 Abidin, R. R.,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5
38 Chen, X., "Parental warmth, control, and indulgence and therir relations to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 : A Longitudinal study" 14 (14): 401-419, 2000
39 Crnic, K. A.,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61 : 1628-1637, 1990
40 Simon, L. G., "Linking mother-father differences in parenting to a typology of family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 outcomes" 28 (28): 212-241, 2007
41 Mann, M. B.,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roddlers in day care" 27 : 451-464, 1987
42 Fendrich M., "Family risk factors, parental depression, and psy chopathology in offspring" 26 (26): 40-, 1990
43 Mash, E. J., "Determinants of parenting stess : Illustrations from families of hyveractive children and families of physcially abused children" 19 (19): 313-328, 1990
44 Kahn, "Depression and marital diagreement : The social construction of despair" 2 (2): 447-461, 1985
45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1986
46 康喜慶, "3歲以下 子女를 둔 專門·事務職 就業母의 養育스트레스 : 어머니 役割觀과 支援體系를 中心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47 洪性禮, "30대 남편의 가족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48 권미경, "2011년 연구과제 요약집" 육아정책연구소 2011
유아교사를 위한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시안 개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