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 환자의 하악골 단독 교정수술후의 기도공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안면비대칭의 수술은 좌우의 후퇴양이 달라 후방움직임에 비해 회전 움직임이 더 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55482
대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2020
영어
617.69 판사항(23)
대한민국
i, 36p : ill. ; 26 cm.
Thesis Advisor: 김진욱.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I804:22001-00000009780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 환자의 하악골 단독 교정수술후의 기도공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안면비대칭의 수술은 좌우의 후퇴양이 달라 후방움직임에 비해 회전 움직임이 더 주...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 환자의 하악골 단독 교정수술후의 기도공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안면비대칭의 수술은 좌우의 후퇴양이 달라 후방움직임에 비해 회전 움직임이 더 주된 변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따라 안면비대칭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도공간의 변화가 적을 것으로 사료되며 보다 복잡한 보상기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악골 단독 악교정 수술환자 31명을 선정하였고 이중 비대칭 유무에 따라 2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술전, 술후 6개월 이후로 나누어 CBCT 촬영하였으며, 기도 부피 변화 및 기도 협소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그룹 모두 기도공간의 감소를 보였고 그룹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기도공간의 감소는 두 그룹 모두에서 설골의 후하방 이동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og(pogonion)의 후방 변화량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술후 기도 단면적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인면 비대칭이 없는 그룹에서 좀더 두드러졌다. 술후 기도공간의 변화와 관련한 인자를 찾기 위하여 조사된 인자들과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술후 기도공간 부피를 예측하기 위한 회귀분석 모델을 얻었으며, 술후 기도 부피 예측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기도 단면적 형태의 변화 등 연조직관련 측정요소들은 체질량지수의 변화와 같은 수술 외적 요인들에 의한 보상되고, 전산화 단층 촬영 당시 두부 위치 변화 등에 의해 왜곡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