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60년대 라디오 연속극의 매체 전이 경향 = The Media transition Trends of a serial radio drama in the 1950~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1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50~60년대 라디오 연속극의 영화화 현상의 문화적 기반 배경과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라디오, 영화 각 매체간의 입장과 관점들을 고찰함으로써 라디오 연속극의 ...

      이 글은 1950~60년대 라디오 연속극의 영화화 현상의 문화적 기반 배경과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라디오, 영화 각 매체간의 입장과 관점들을 고찰함으로써 라디오 연속극의 영화화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는 당시 전성기를 누렸던 라디오, 영화의 대중 문화적 위치를가늠할 수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라디오 연속극의 영화화는 1950년대 후반부터 활발히 진행되었다.
      라디오 연속극은 시나리오 부족 현상을 겪었던 영화계에 원작을 제공함으로써 영화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 라디오 연속극의 영화화는 대중에게 라디오 드라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며 대중문화에서의 라디오 드라마의 입지를 세웠다는 점에서 방송계에도 긍정적 결과를 가져다주었다.
      한편 라디오 연속극의 영화화는 라디오 연속극 방송 편수가 증가함에따라 멜로 위주의 매체 전환 경향이 심해지며 저속논란이 시작되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상업 방송국 개국으로 연속극 제작이 넘쳐나면서저속 논란은 가중된다. 이는 문예영화 시대로의 이동, 텔레비전 수신기보급 등의 문화적 변화가 작용하여 발생된 결과라 볼 수 있다.
      라디오 연속극이 영화로 매체 전이되는 경향은 1950~60년대 라디오,영화 두 매체가 대중문화의 중심에서 상호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음을보여주는 하나의 예라고 볼 수 있다. 라디오 연속극의 영화화는 표면화된 현상으로만 쉽게 판단 내릴 수 없는 지점들을 간직하고 있다. 깊이있는 분석과 구체적인 접근 방법들이 이 시기 숨겨진 라디오 연속극의영화로의 매체 전이의 의미를 보다 흥미롭게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미, "한운사 시나리오 연구" 비교문화연구소 12 (12): 265-298, 2008

      2 "한국일보"

      3 백미숙,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2007

      4 백미숙,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2007

      5 임종수, "한국방송의 기원 : 초기 라디오 방송에서 제도, 편성, 장르의 형성과 진화" 한국언론학회 48 (48): 370-396, 2004

      6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사" 대한공론사 1977

      7 이범경, "한국방송사" 범우사 1994

      8 박선영, "한국 코미디영화 형성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1

      9 변재란, "한국 영화사에서 여성 관객의 영화 관람 경험 연구 : 1950년대 중반에서 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10 조항제, "한국 방송의 역사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5

      1 오영미, "한운사 시나리오 연구" 비교문화연구소 12 (12): 265-298, 2008

      2 "한국일보"

      3 백미숙,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2007

      4 백미숙,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2007

      5 임종수, "한국방송의 기원 : 초기 라디오 방송에서 제도, 편성, 장르의 형성과 진화" 한국언론학회 48 (48): 370-396, 2004

      6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사" 대한공론사 1977

      7 이범경, "한국방송사" 범우사 1994

      8 박선영, "한국 코미디영화 형성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1

      9 변재란, "한국 영화사에서 여성 관객의 영화 관람 경험 연구 : 1950년대 중반에서 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10 조항제, "한국 방송의 역사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5

      11 윤석진, "한국 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 푸른사상 2004

      12 최미진, "한국 라디오서사의 갈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168-194, 2008

      13 문선영, "한국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과 장르 특성" 고려대학교 2012

      14 서재길, "한국 근대 방송문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5 "조선일보"

      16 김보형, "전후 라디오연속극의 생산과 성별질서의 재현 : 여성 주체 서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7 "방송1956~1965"

      18 "동아일보"

      19 "경향신문"

      20 주창윤, "1960년대 전후 라디오 문화의 형성과정, In 한국방송의 사회문화사" 한울 2011

      21 박유희,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 전환의 구조와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32) : 167-192, 2006

      22 고선희, "1960년대 매체 전환의 한 양상" 대중서사학회 (19) : 57-94, 2008

      23 이길성, "1960년대 가족 드라마의 형성과정과 제 양상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6

      24 임종수, "1960~70년대 텔레비전 붐 현상과 텔레비전 도입의 맥락" 한국언론학회 48 (48): 79-107, 2004

      25 최미진, "1950년대 후반 라디오연속극의 영화화 경향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119-141, 2010

      26 백문임, "1950년대 후반 ‘문예’로서 시나리오의 의미, In 매혹과 혼돈의 시대" 소도 2003

      27 이영미, "1950년대 방송극" 대중서사학회 (17) : 105-148, 2007

      28 이영미, "1950년대 대중적 극예술에서의 신파성의 재생산과 해체" 한국문학연구소 34 (34): 83-117, 2008

      29 문선영, "1950~60년대 라디오 방송극과 청취자의 위상" 한국극예술학회 (35) : 189-219,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0-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Popular Narrativ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4 1.6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