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amined in this article is a multi-layered nature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Goryeo and Khitan in the 11<SUP>th</SUP> century. The role and meaning of the Khitan Eastern Capital(東京) in that context -as it seems to have serv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43791
2018
Korean
거란(契丹) ; 의사소통 ; 동경(東京) ; 첩(牒) ; 서한(書翰) ; Khitan(契丹) ; communication ; Eastern Capital(Dong’gyeong ; 東京) ; communique (牒) ; correspondence(書翰)
900
KCI등재
학술저널
37-78(42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is a multi-layered nature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Goryeo and Khitan in the 11<SUP>th</SUP> century. The role and meaning of the Khitan Eastern Capital(東京) in that context -as it seems to have serve...
Examined in this article is a multi-layered nature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Goryeo and Khitan in the 11<SUP>th</SUP> century. The role and meaning of the Khitan Eastern Capital(東京) in that context -as it seems to have served as sort of a relayer in a three-tiered system- is also examined here.
Goryeo and Khitan had a complicated relationship, but were nonetheless able to maintain a stable diplomatic relation for almost a century, without battling each other in major conflicts. Efforts to commune with each other at various levels through diplomatic entities seem to have contributed to that success, as governmental offices located along the border contacted each other regularly to discuss and resolve issues cropping up between the two dynasties. The Goryeo government and the Khitan Eastern Capital(東京) exchanged annual emissaries every year, to exchange communiques and coordinate efforts as that would have helped them deal with specific issues at hand. The monarchs of both countries also exchanged congratulatory delegates to celebrate each other’s birthdays.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between Goryeo and Khitan can also be seen from the international order itself, which engulfed not only Khitan and Goryeo but Sung and Seoha as well. Several players were operating in East Asia at the time, and pity arguments could always escalate into full scale conflicts. Yet all the dynasties involved maintained a channel and procedure (at many levels) to manage crises and oftentimes resolved issues before it was too lat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劉 一, "遼麗封貢制度硏究" (2) : 2012
2 石艶軍, "遼道宗朝遼與高麗使者往來的初步硏究" 大連大學 2006
3 孫 瑋, "遼朝東京海事問題硏究" 遼寧師範大學 2011
4 王旭東, "遼代五京留守硏究" 吉林大學 2014
5 姜 含, "遼代五京建置硏究" 遼寧大學 2011
6 河上洋, "遼五京の外交的機能" 52 (52): 1993
7 范家全, "兩宋與遼金外交之比較 - 以盟約和國書爲中心" 36 (36): 2008
8 冒志祥, "論宋朝外交文書" 南京師範大學 2007
9 최종석, "현종대 고려-거란 관계와 외교 의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0) : 1-42, 2016
10 정동훈, "특집 : 고려시대 사신 영접 의례의 변동과 국가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98) : 103-140, 2015
1 劉 一, "遼麗封貢制度硏究" (2) : 2012
2 石艶軍, "遼道宗朝遼與高麗使者往來的初步硏究" 大連大學 2006
3 孫 瑋, "遼朝東京海事問題硏究" 遼寧師範大學 2011
4 王旭東, "遼代五京留守硏究" 吉林大學 2014
5 姜 含, "遼代五京建置硏究" 遼寧大學 2011
6 河上洋, "遼五京の外交的機能" 52 (52): 1993
7 范家全, "兩宋與遼金外交之比較 - 以盟約和國書爲中心" 36 (36): 2008
8 冒志祥, "論宋朝外交文書" 南京師範大學 2007
9 최종석, "현종대 고려-거란 관계와 외교 의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0) : 1-42, 2016
10 정동훈, "특집 : 고려시대 사신 영접 의례의 변동과 국가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98) : 103-140, 2015
11 박윤미, "특집 : 고려 전기 외교의례에서 국왕 ‘서면(西面)’의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98) : 69-102, 2015
12 이바른, "특집 : 거란의 ‘고려사신의례(高麗使臣儀禮)’ 구성과 의미 -『요사(遼史)』 예지(禮志)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98) : 33-67, 2015
13 이계지, "정복왕조의 출현 : 요・금의 역사" 신서원 2014
14 채웅석, "고려전기의 다원적 국제관계와 문화인식" 한국중세사학회 (50) : 11-45, 2017
15 이미지, "고려시기 對거란 외교의 전개와 특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6 육정임, "고려·거란 ‘30년 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동북아역사재단 (34) : 11-52, 2011
17 정동훈, "고려-남송 외교 관계에서 商人의 역할" 인문과학연구소 (51) : 7-37, 2016
18 구산우, "고려 현종대의 대거란전쟁과 그 정치 · 외교적 성격" 부산경남사학회 (74) : 85-127, 2010
19 김성규, "고려 외교에서 의례와 국왕의 자세" 한국역사연구회 (94) : 363-394, 2014
20 豊島悠果, "高麗王朝の儀禮と中國" 汲古書院 2017
21 정동훈, "高麗時代 外交文書 硏究" 서울대학교 2016
22 宋容德, "高麗前期 國境地域의 州鎭城編制" 51 : 2005
23 허인욱, "高麗·契丹의 압록강 지역 영토분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4 朴漢男, "阜村申延澈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일월서각 1995
25 杜 鵑, "遼朝邊防研究" 遼寧大學 2014
26 이효형, "興遼國의 성립과 對高麗 구원 요청" 22 : 1998
27 陶晉生, "宋遼關係中的外交文書: 以「牒」爲例" 中央硏究院 2013
28 聶崇岐, "宋史叢考 上" 中華書局 1980
29 金在滿, "契丹・高麗關係史硏究" 國學資料院 1998
30 金渭顯, "契丹・高麗間的女眞" 9 : 1998
31 古松崇志, "契丹・宋間の澶淵體制における國境" 90 (90): 2007
32 古松崇志, "契丹・宋間における外交文書としての牒" 85 : 2010
33 奧村周司, "使臣迎接儀禮より見た高麗の外交姿勢 – 十一, 二世紀における對中關係の一面 -" 110 : 1984
34 Jing-shen Tao, "Two Sons of heaven : Studies in Sung-Liao Relation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88
35 최덕환, "993년 고려−거란 간 갈등 및 여진 문제" 한국역사연구회 (85) : 259-303, 2012
36 金佑澤, "11세기 對契丹 영역 분쟁과 高麗의 대응책" 55 : 2009
37 정동훈, "1140년 외교문서로 본 고려-금 의사소통의 구조" 국학연구원 (182) : 165-195, 2018
38 정동훈, "10세기의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외교문서의 서식-고려-거란 외교문서식의 비교사적 검토-" 한국중세사학회 (49) : 73-108, 2017
39 이승민, "10~12세기 하생신사(賀生辰使) 파견과 고려―거란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89) : 77-111, 201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0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역사와 현실 -> 역사와 현실외국어명 : 미등록 -> YŎKSA WA HYŎNSIL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1 | 0.91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2 | 1.68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