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6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In the field of service-oriented management, an emotional labor is an important matter, and research on this field has become popula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well-being is not accurate.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longitudinal study.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we suggested seven hypothes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we di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data were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diminished job stress and job stress diminishe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stress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deep acting and job satisfaction. The rest of hypotheses are insignificant.
      [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job stress manual and deep acting training programs are very importa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surface acting in order to decrease job stress.
      번역하기

      [Purpose] In the field of service-oriented management, an emotional labor is an important matter, and research on this field has become popula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well-being is not accurate. Hence...

      [Purpose] In the field of service-oriented management, an emotional labor is an important matter, and research on this field has become popula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well-being is not accurate.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longitudinal study.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we suggested seven hypothes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we di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data were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diminished job stress and job stress diminishe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stress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deep acting and job satisfaction. The rest of hypotheses are insignificant.
      [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job stress manual and deep acting training programs are very importa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surface acting in order to decrease job str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감정노동이 사회적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의하위요인인 심층행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가 정확하지 않고, 다음 3가지(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를 동시에 살펴보는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차를 두고 종단연구를 통해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종단연구를 통해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총 7개 가설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심층행위는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심층행위와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나머지 가설은기각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따라서 조직에서 종업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 관리 매뉴얼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심층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종업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표면행위를 최대하게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기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표면행위관리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감정노동이 사회적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의하위요인인 심층행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가 정확하지 않고, 다음 3가지(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연구목적] 감정노동이 사회적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의하위요인인 심층행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가 정확하지 않고, 다음 3가지(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를 동시에 살펴보는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차를 두고 종단연구를 통해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종단연구를 통해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총 7개 가설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심층행위는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심층행위와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나머지 가설은기각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따라서 조직에서 종업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 관리 매뉴얼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심층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종업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표면행위를 최대하게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기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표면행위관리가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윤정,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부산지역 특급호텔 종사원들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179-198, 2016

      2 황용철, "호텔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의 고객지향성,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303-320, 2011

      3 오희균, "호텔 직원의 감정노동이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와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1급 호텔 일선 직원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87-498, 2015

      4 박호현,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서비스제공수준에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 관광경영학회 17 (17): 99-119, 2013

      5 권미경,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원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항행학회 15 (15): 808-822, 2011

      6 김영진, "항공사 종사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감정노동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14 (14): 286-298, 2012

      7 김화연,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1 (21): 259-275, 2012

      8 박영식,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와의 관계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9 손정기, "특급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면환류가설(FFH)을 통한 긍정심리학의 적용 -"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315-337, 2015

      10 정은성, "특급호텔 식음료부서 종사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113-132, 2015

      1 심윤정,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부산지역 특급호텔 종사원들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179-198, 2016

      2 황용철, "호텔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의 고객지향성,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303-320, 2011

      3 오희균, "호텔 직원의 감정노동이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와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1급 호텔 일선 직원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87-498, 2015

      4 박호현,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서비스제공수준에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 관광경영학회 17 (17): 99-119, 2013

      5 권미경,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원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항행학회 15 (15): 808-822, 2011

      6 김영진, "항공사 종사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감정노동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14 (14): 286-298, 2012

      7 김화연,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1 (21): 259-275, 2012

      8 박영식,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와의 관계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9 손정기, "특급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면환류가설(FFH)을 통한 긍정심리학의 적용 -"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315-337, 2015

      10 정은성, "특급호텔 식음료부서 종사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113-132, 2015

      11 복미정,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조직시민행동 및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1 (21): 257-268, 2012

      12 허광무, "카지노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태도간 관계에 관한 연구-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30 : 81-100, 2010

      13 김광수, "카지노 딜러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7 (27): 467-481, 2013

      14 곽묘묘, "중국 통신회사 직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7 (27): 1257-1283, 2014

      15 곽묘묘, "중국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라포르와 감정노동의 비선형 관계 검증" 한국경영교육학회 31 (31): 219-241, 2016

      16 김혜미,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상사의 정서지능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7 전순영,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감정노동의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분석" 대한경영학회 28 (28): 3235-3255, 2015

      18 고영관, "여성 캐디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0) : 167-176, 2012

      19 김태희, "스포츠센터 강사들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와 성취감에미치는 영향: 감정표현규범몰입의 조절효과"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3 (23): 390-403, 2012

      20 김경은,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노동과 감정표현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7 (27): 151-170, 2012

      21 박찬임, "서비스 산업의 감정노동 연구-판매원과 전화상담원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고려문화사 2012

      22 이유우, "상사와 동료의 비공식적 지원, 가족친화제도 이용용이성과 감정노동: 병원근로자의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40 (40): 213-240, 2016

      23 전병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476-515, 2013

      24 추호정, "백화점 판매원의 정서성과 성과압력에 따른 감정노동 연구" 한국의류학회 34 (34): 411-423, 2010

      25 이훈석,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616-626, 2012

      26 강주아,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분석" 복식문화학회 20 (20): 664-678, 2012

      27 지순덕,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조절을 통한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6 (26): 1-26, 2012

      28 홍유진, "고객과의 접촉도가 높은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간의 상호작용 분석 -국내 카지노 딜러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367-387, 2014

      29 이상기,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대학 16 (16): 27-62, 2016

      30 곽묘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조직동일시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 (20): 135-159, 2017

      31 최지형, "감정노동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8) : 21-43, 2015

      32 황재위,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 인과관계에서의 조직애착의 조절효과 : 서울과 부산 카지노 사업장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281-299, 2014

      33 김수지,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직종에 따른 직무특성과 직수스트레스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4 류준열, "감성지능과 감정노동이 적응적 판매행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123-142, 2017

      35 Grandey, A. A,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46 (46): 86-96, 2003

      36 Bhave, D. P, "The role of occupation emotional labor requirements on the surface acting-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42 (42): 722-741, 2016

      37 Morris, J. 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 986-1010, 1996

      38 James, M. D.,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66 (66): 339-357, 2005

      39 Humphrey, R. H., "The bright side of emotional labor" 36 : 749-769, 2015

      40 Hochschild, A. R, "The Management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1 Huang, J. L., "Rising to the challenge:Deep acting is more beneficial when tasks are appraised as challenging" 2015

      42 John, W. N, "Organizational Behavior" McGraw-Hill/Irwin 2007

      43 Burke, R. J, "Occupational, stresses and job satisfaction" 100 : 235-244, 1976

      44 Jacob, K. K,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working women in banks" 16 (16): 29-38, 2012

      45 Fisher C. D, "Mood and Emotions While Working: Missing Pieces of Job Satisfaction?" 21 : 185-202, 2000

      46 Sptctor, P. E,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s and Consequences" Sage Publications, Inc 1997

      47 Hoppock, R, "Job Satisfaction" Harper and Brothers 1935

      48 Becker, W. J., "Good acting requires a good cast: A meso-level model of deep acting in work teams" 36 : 232-249, 2015

      49 Ashforth, B. E,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18): 88-115, 1993

      50 Grandey. A. A, "Emotional labor at a crossroads: Where do we go from here?"

      51 Abraham R, "Emotional dissonance in organization: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oderators" 124 : 229-246, 1998

      52 Grandey, A. A,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5 (5): 95-110, 2000

      53 Richards J. M., "Emotion regulation and memory: The cognitive costs of keeping one’s cool" 74 : 385-393, 2000

      54 Groth, M., "Customer reactions to emotional labor: The roles of employee acting strategies and customer detection Accuracy" 52 : 958-974, 2009

      55 Podsakoff, P. M.,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88 (88): 879-903, 2003

      56 John, D. K. M., "A meta-analytic structural model of dispositional affectivity and emotional labor" 66 : 47-9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