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상 골격양상을 보이는 젊은 성인여성에서 연조직 안모에 대한 심미적 선호도의 삼차원적 분석 = 3-dimensional study of esthetic preference regarding facial soft tissue appearance of young female adult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778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골격양상을 보이는 젊은 성인 여성에서 안모의 심미도를 평가한 후 삼차원적 좌표 및 두부 계측치를 이용하여 교정의, 일반치과의, 그리고 일반인 세 군 간에 안모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골격양상을 보이는 젊은 성인 여성에서 안모의 심미도를 평가한 후 삼차원적 좌표 및 두부 계측치를 이용하여 교정의, 일반치과의, 그리고 일반인 세 군 간에 안모의 심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후방, 수직 및 수평적으로 정상 골격양상을 보이며 교정 치료를 위해 콘빔전산화단층촬영(CBCT) 영상을 채득한 40명의 젊은 성인 여성(23.9±4.7세)으로 하였다. 이들의 CBCT 영상을 ON3D (3DONS, INC., Seoul, Korea)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리오리엔테이션한 후 삼차원적 두부 계측 및 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섯 장의 삼차원적 안모 영상 (정면, 45도 좌우 측면, 90도 좌우 측면)과 두 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컴퓨터 기반 설문지를 이용하여 세 군으로 구성된 총 124명(교정의 42명, 일반치과의 42명, 일반인 42명)의 평가자가 안모의 심미성을 numeric rating scale(NRS)을 이용하여 1점 (가장 비심미적)에서 10점 (가장 심미적) 사이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심미군 (상위 20%)과 비심미군 (하위 20%)의 삼차원 계측치를 분석하여 세 군간의 심미적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안모 심미성을 평가 시 가장 큰 영향을 준 안면 영상과 영역을 조사 및 비교하였다.
      심미군에서 비심미군에 비해 더 큰 Pog-NB(P < 0.05), 상순의 두께(P < 0.05) 및 비순각(P < 0.001)을 보였고, FH plane에 대하여 더 작은 상순의 경사도(P < 0.001) 및 상악 중절치 치축각(P < 0.001), 더 큰 하악 중절치의 치축각(P < 0.01)을 보였다. 또한 심미선에 비해 상순(P < 0.05)과 하순(P < 0.001)은 더 후방으로 위치하였다.
      각각의 세 군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세 군 간의 안면 심미도 순위도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안모 심미성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친 안면 영상 및 영역은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정의와 일반치과의에서는 90도 측면 영상을 보는 빈도가 각각 59.5%, 57.2%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일반인에서는 정면 영상을 보는 빈도가 40.5%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영상과의 빈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안모의 심미성을 평가 시 주목받는 안면영역을 비교해 본 결과, 교정의와 일반인은 각각 입술(73.8%)과 턱(45.2%)을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주목하였으며, 일반치과의는 턱(38.1%)을 가장 높은 비율로 주목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정상 골격 양상을 보이는 성인 여성의 안모 심미성을 평가 시 교정의, 일반치과의, 일반인의 모든 군에서 전치 및 입술이 더 후방으로 위치 및 경사진 경우에 더 높은 심미적 선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심미성을 평가하는 방식에서는 군 간의 차이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ial attractiveness for young female adult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and then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sthetic perception between orthodontists, general dentists, and laypersons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ial attractiveness for young female adult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and then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sthetic perception between orthodontists, general dentists, and laypersons using 3-dimensional coordinates and cephalometric measurem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40 young female adults (23.9± 4.7 year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who had take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ir CBCT images were reoriented and 3-dimensional cephalometric measurement and analysis were done using ON3D (3DONS, INC., Seoul, Korea) software. A computer-based questionnaire that was comprised of 3-dimensional facial images of 40 subjects (5 images; frontal, 2 oblique, and 2 lateral) and two questions was used for a total of 124 evaluators (42 orthodontists, 42 general dentists, and 42 laypersons) to estimate the facial attractiveness of 40 subjects and to score them between 1 (very unattractive) and 10 (very attractive) using numeric rating scale (NRS). According to the ranking of the facial attractiveness, 40 subjects were divided into attractive group (top 20%) and unattractive group (bottom 20%), and 3D measurements were analyzed and esthetic perception was compared between 3 groups of evaluators. Additionally, most influential facial view and component on evaluating facial esthetics were examined and compared.
      Results: Compared to the unattractive group, the attractive group showed greater Pog-NB (P < 0.05), U lip thickness (P < 0.05), L1SI-FH (P < 0.01), and Nasolabial angle (P < 0.001), and lesser Cant of upper lip (P < 0.001) and U1SI-FH (P < 0.001), and more retruded position of U lip (P < 0.05) and L lip (P < 0.001) relative to esthetic lines. A similar tendency was shown in each group of evaluators an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ranking of facial attractiveness between 3 groups of evaluators. When evaluating facial esthetics, affecting facial views and compon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3 groups. Orthodontists (59.5%) and general dentists (57.2%)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for considering profile view. Laypersons (40.5%) considered frontal view the most but with no significance. When evaluating facial esthetics depending on the facial components, orthodontists and laypersons focused on lips (73.8%) and chin (45.2%) at significantly higher rates, respectively, and general dentists focused on chin (38.1%) at a higher rate but with no significance.
      Conclusions: When evaluating the facial esthetics for young female adult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all 3 groups (orthodontists, general dentists, and laypersons) showed a high esthetic preference for more retroclined and retruded position of the incisors and lips. But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on the way to evaluate facial soft tissue esthe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1
      • II. Material and Methods 3
      • III. Results 16
      • I. Introduction 1
      • II. Material and Methods 3
      • III. Results 16
      • IV. Discussion 23
      • V. Conclusions 2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Downs WB, "Analysis of the dentofacial profile", 26:191-212, 1956

      2 Riedel RA, "An analysis of dentofacial relationships", 43:103-19, 1957

      3 Flanary CM, Barnwell GM, Alexander JM, "Patient perceptions of orthognathic surgery", 88:137-45, 1985

      4 Foster EJ, "Profile preferences among diversified groups", 43:34-40, 1973

      5 Cho HJ, "A 3-Dimensional Cephalometric Analysis System", 43;235-52, 2009

      6 Shaw WC, "Factors influencing the des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3:151-62, 1981

      7 Hier L, Evans CA, BeGole EA, Giddon DB., "Comparison of preferences in lip position using computer animated imaging", 69:231-8., 1999

      8 Najafi HZ Sabouri SAA EbrahimiE , Torkan S., "Esthetic evaluation of lip position in silhouette with respect to profile divergence", 149:863-70, 2016

      9 Soncul M, Bamber MA, "Evaluation of Facial Soft Tissue Changes With Optical Surface Scan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Class III", 62:1331-40, 2004

      10 Maganzini AL, Tseng JYK, Epstein JZ, "Perception of Facial Esthetics by Native Chinese Participants by Using Manipulated Digital Imagery Techniques", 70:393-9, 2000

      1 Downs WB, "Analysis of the dentofacial profile", 26:191-212, 1956

      2 Riedel RA, "An analysis of dentofacial relationships", 43:103-19, 1957

      3 Flanary CM, Barnwell GM, Alexander JM, "Patient perceptions of orthognathic surgery", 88:137-45, 1985

      4 Foster EJ, "Profile preferences among diversified groups", 43:34-40, 1973

      5 Cho HJ, "A 3-Dimensional Cephalometric Analysis System", 43;235-52, 2009

      6 Shaw WC, "Factors influencing the des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3:151-62, 1981

      7 Hier L, Evans CA, BeGole EA, Giddon DB., "Comparison of preferences in lip position using computer animated imaging", 69:231-8., 1999

      8 Najafi HZ Sabouri SAA EbrahimiE , Torkan S., "Esthetic evaluation of lip position in silhouette with respect to profile divergence", 149:863-70, 2016

      9 Soncul M, Bamber MA, "Evaluation of Facial Soft Tissue Changes With Optical Surface Scan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Class III", 62:1331-40, 2004

      10 Maganzini AL, Tseng JYK, Epstein JZ, "Perception of Facial Esthetics by Native Chinese Participants by Using Manipulated Digital Imagery Techniques", 70:393-9,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