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활동참여 여부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Integration to Whether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3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that affec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by taking 1,115 persons in baby boom generation (born in 1955-1963). To this end, first, 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that affec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by taking 1,115 persons in baby boom generation (born in 1955-1963). To this end, first,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state of social particip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was grasped;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property of baby boom generation was analyzed; third,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that affects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was identifi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general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is found to be 3.437 points, the common level. The state of social particip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is found to be 77.7% in economic activity, 27.0% in volunteer activity, 79.3% in leisure and group activity and 28.2% in education (learning) activity, implying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volunteer activity is lowest. Second, checking the difference in the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as per the socio-demographic property,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is high if gender is female, schooling is higher, religion is there, job is office clerk/specialist, residence is in county and health is better and life level is higher. Third,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y is found to be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which mostly affects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of baby boom generation. Nex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is found to be higher when participating in education (learning) activity and leisure and group ac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new welfare policy for the aged of baby boom gen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 1,115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감 수준과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 변인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베이비붐 세...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 1,115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감 수준과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 변인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과 사회참여 실태를 파악하였고, 둘째, 베이비붐세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통합감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주는 사회참여 영향변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전반적인 사회통합감 수준은 3.437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 실태는 소득활동은 77.7%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단체활동 79.3%, 교육(배움)활동 28.2%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통합감의 차이를 보면, 성별은 여성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직업은 사무관리/전문직인 경우, 거주지는 군 지역에 거주할 경우,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생활수준은 높을수록 사회통합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변인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으로, 교육(배움)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여가단체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사회통합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신노인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혜, "한국의 베이비 부머 연구" 서울대학교 노화․고령 사회연구소 2011

      2 이남복, "체계이론과 사회통합" 32 (32): 143-163, 2010

      3 한덕웅, "집단행동이론" 시그마프레스 2002

      4 황보옥, "중증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5 (15): 289-315, 2011

      5 정은경, "중도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14 (14): 63-100, 2008

      6 이강훈, "장애인협회 회원들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8

      7 이익섭, "장애인 사회통합의 지수개발과 측정에 관한 연구" 38 : 206-233, 2010

      8 변소현, "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9 강우진, "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10 국무총리실, "장년세대(베이비붐 세대) 퇴직 대비 고령사회 대책 보완 방안"

      1 한경혜, "한국의 베이비 부머 연구" 서울대학교 노화․고령 사회연구소 2011

      2 이남복, "체계이론과 사회통합" 32 (32): 143-163, 2010

      3 한덕웅, "집단행동이론" 시그마프레스 2002

      4 황보옥, "중증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5 (15): 289-315, 2011

      5 정은경, "중도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14 (14): 63-100, 2008

      6 이강훈, "장애인협회 회원들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8

      7 이익섭, "장애인 사회통합의 지수개발과 측정에 관한 연구" 38 : 206-233, 2010

      8 변소현, "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9 강우진, "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10 국무총리실, "장년세대(베이비붐 세대) 퇴직 대비 고령사회 대책 보완 방안"

      11 박영근, "인본적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개발"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2007

      12 김은정,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13 최미영, "사회적 낙인이 화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14 최재성,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21 : 309-341, 2009

      1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6 한성민, "노인의 만성질환 보유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17 김동배, "노인 여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연구" 25 : 137-160, 2000

      18 김수영, "노년사회학" 학지사 2009

      19 김윤정, "노년기 사회적 관계와 정신건강" 한국학술정보원 2008

      20 김병학, "교회의 노인교육과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21 최성재, "고령화 사회의 노인 사회참여 필요성과 과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9

      22 오영희, "고령사회의 사회통합적 여가활성화 방안" 13 : 31-38, 2006

      23 Barker, R. L, "The social work dictionary(3rd ed)" NASW Press 1995

      24 Tajfel, H,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behavior" 13 : 65-69, 1974

      25 Hooyman, N. R., "Social Gerontology;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8th edition" Allyn and Bacon 2008

      26 Taylor, S, "Quality of life and the individual's perspective. In R.L.Schalock(ed), Quality of life: Perspectives and issues" American Associaltion on Mental Retardation 1990

      27 Powers, C. H, "Power and principles of Social Integration"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81

      28 Neugarten, B. L.,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Successful aging" Random House 1998

      29 Leitner, M. J, "Leisure in later life" Haworth Press 1996

      30 Rohr, M. K., "Aging Well Together-A Mini-Review" 55 : 333-34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