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mpowerment Process of Immigrant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7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men for more than 3 years. This study employ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generated 136 concepts, 27 sub categories, and 14 categories. In the axi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empowerment process of immigrant women was that of ‘Overcoming the Limits’. The causal conditions were ‘Unprepared for Marriage’, and ‘Perceiving the Problems’.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Active Personality’, ‘Child Giving Power’, and ‘Frustra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Effort by Oneself’, ‘Accepting Suppor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Living our Dream’, and ‘Maintaining a Positive Outlook’. The consequences were ‘Pride’, ‘Living as a Korean’ and ‘Expectations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To Live Independently by Overcoming my Limits as a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core category, three types and four stages of the empowerment process of the immigrant women were discerned. These three se were the ‘Actively Achieving Type’, ‘Moderately Trying Type’, and the ‘Sincerely Living Type’. The four stages were the ‘Confused Stage’, the ‘Trying Stage’, the ‘Stable Stage’, and the ‘Exhibiting Stage’. The empowerment process of these Immigrant women resulted in greater promise in the future,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life in Korea, and dreams of grater self development and adventure. This study has reinforced the need for a synthetic and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an individual's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have increased our collectiv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the empowerment process of immigrant women, as well as elucidating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and theories about immigrant women.
      번역하기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men for more than 3 years. This study employ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generated 136 concepts, 2...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men for more than 3 years. This study employ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generated 136 concepts, 27 sub categories, and 14 categories. In the axi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empowerment process of immigrant women was that of ‘Overcoming the Limits’. The causal conditions were ‘Unprepared for Marriage’, and ‘Perceiving the Problems’.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Active Personality’, ‘Child Giving Power’, and ‘Frustra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Effort by Oneself’, ‘Accepting Suppor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Living our Dream’, and ‘Maintaining a Positive Outlook’. The consequences were ‘Pride’, ‘Living as a Korean’ and ‘Expectations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To Live Independently by Overcoming my Limits as a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core category, three types and four stages of the empowerment process of the immigrant women were discerned. These three se were the ‘Actively Achieving Type’, ‘Moderately Trying Type’, and the ‘Sincerely Living Type’. The four stages were the ‘Confused Stage’, the ‘Trying Stage’, the ‘Stable Stage’, and the ‘Exhibiting Stage’. The empowerment process of these Immigrant women resulted in greater promise in the future,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life in Korea, and dreams of grater self development and adventure. This study has reinforced the need for a synthetic and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an individual's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have increased our collectiv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the empowerment process of immigrant women, as well as elucidating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and theories about immigrant wom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빈, "혈액투석 환자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2 최연실, "한중 국제결혼에서의 갈등과 적응:‘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251-299, 2007

      3 안현주, "한국남성과 국제결혼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경험과 대응-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 최윤정, "치매 노인 여성의 체험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13-128, 2003

      5 제니스, "질적간호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6 홍기혜,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최금해,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1): 141-186, 2007

      8 전라남도, "전남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복지사례조사 보고회 자료집"

      9 김미옥, "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관한 연구-성인기 이전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31-60, 2005

      10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 김효빈, "혈액투석 환자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2 최연실, "한중 국제결혼에서의 갈등과 적응:‘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251-299, 2007

      3 안현주, "한국남성과 국제결혼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경험과 대응-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 최윤정, "치매 노인 여성의 체험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13-128, 2003

      5 제니스, "질적간호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6 홍기혜,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최금해,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1): 141-186, 2007

      8 전라남도, "전남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복지사례조사 보고회 자료집"

      9 김미옥, "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관한 연구-성인기 이전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31-60, 2005

      10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1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4

      12 김연수,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 217-252, 2007

      13 양옥경,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37-168, 2009

      14 양선화, "상담사례에서 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 광주전남지역 국제 결혼한 이주여성 실태보고 및 토론회"

      15 Shera, W., "사회복지실천에의 역량강화실천" 양서원 2002

      16 서홍란,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21-143, 2008

      17 채옥희,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1-74, 2007

      18 김동수, "동남아 이주여성의 결혼의 동기와 결혼만족에 대한 질적 연구" 178-179, 2008

      19 박재규,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이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농촌사회학회 17 (17): 75-105, 2007

      20 최연실, "농촌거주 결혼이민여성의 발달과 적응" 한국인간발달학회 15 (15): 225-248, 2008

      21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22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행복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사회학회 17 (17): 5-39, 2007

      23 차옥숭, "국제혼인 이주여성 피해실태의 원인분석과 해결방안 모색"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139-169, 2008

      24 정천석,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5-23, 2008

      25 신경희,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한국남성과 필리핀 여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26 박주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395-432, 2007

      27 박정숙,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59-70, 2007

      28 보건복지부,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29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30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 : 319-360, 2007

      31 Gutierrez, L. M., "Understanding empowerment practice: Building on practioner-based knowledge" 76 : 534-542, 1995

      32 Szuki,N, "Transgressing ‘victims’-Reading narratives of ‘Filipina Brides’ in Japan" 35 (35): 399-420, 2003

      33 Khamphakdy-Brown, S., "The empowerment program: An application of an outreach program for refugee and immigrant woman" 28 (28): 38-47, 2006

      34 Conger, A. J.,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 (13): 471-482, 1988

      35 Rappaport,J, "Studies in empowerment: Introduction to the issue. In Studies in empowerment: Steps toward understanding and action" Haworth 1984

      36 Gutheil, I. A., "Resiliency in older people: A paradigm for practice. in Resiliency enhancem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40-52, 2000

      37 Tapiru,R, "Migrant women empowerment. in Migrants, women and their empowerment" 79-85, 2005

      38 Szuki,N, "Inside the home: Power and negotiation in Filipina-Japanese marriage" 33 : 481-506, 2004

      39 Rolls, C, "From east to west: Nepalese women's experiences" 51 (51): 176-185, 2004

      40 Williams, L, "Empowerment for migrant communities: Paradoxes for practioners" 17 (17): 365-379, 2007

      41 Hsia, Hsiao-Chuan, "Empowering “Foreign Brides” and community through action research. in Migrants, women and their empowerment" 54-78, 2005

      42 Cottrell,A.B, "Cross-national marriag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1 : 151-169, 1990

      43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8

      44 Bernard,B, "Applications of resilience: possibilities and promise. in Reseilience and development" KA/PP 269-280, 1999

      45 Garba,K.P, "An endogenous empowerment strategy: a case-study of Nigerian women" 9 (9): 130-141, 1999

      46 통계청, "2008년 통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