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성공단 근무 경험자가 인식한 북한 근로자의 특성과 그에 따른 관계형성 전략 =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Perceived by South Korean Workers at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ir Relationship Building Strateg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North Korean studie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perceived by South Korean workers at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GIC) and their corresponding strategies for relationship building. To that end, I hel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former GIC workers who built a rapport with North Korean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at North Korean workers would follow the guidelines as the citizens in a “Regular Military State” based on Juche ideology, but would also violate laws to survive and have high self-esteem. Moreover, they held much interest in the South, and exhibited more changes in appearance, culture, language, and economic concepts the longer they worked in the GIC.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South Korean workers utilized the strategies of ‘patience’, ‘understanding’, ‘gift giving’, ‘confronting’ and ‘trust earning’ to form a rapport with them. Such trust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workers is a national asset from the perspective that views inter-Korean relation as one that requires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observed by South Korean workers at the GIC can be used as valuable contents for the the North Korean studies and the relationship-building strategies they took can provide tips on communicating with North Korean people on their first encounter.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North Korean studie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perceived by South Korean w...

      This study aims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North Korean studie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perceived by South Korean workers at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GIC) and their corresponding strategies for relationship building. To that end, I hel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former GIC workers who built a rapport with North Korean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at North Korean workers would follow the guidelines as the citizens in a “Regular Military State” based on Juche ideology, but would also violate laws to survive and have high self-esteem. Moreover, they held much interest in the South, and exhibited more changes in appearance, culture, language, and economic concepts the longer they worked in the GIC.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South Korean workers utilized the strategies of ‘patience’, ‘understanding’, ‘gift giving’, ‘confronting’ and ‘trust earning’ to form a rapport with them. Such trust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workers is a national asset from the perspective that views inter-Korean relation as one that requires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kers observed by South Korean workers at the GIC can be used as valuable contents for the the North Korean studies and the relationship-building strategies they took can provide tips on communicating with North Korean people on their first encoun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나단 터너, "현대 사회학이론" 나남출판 2001

      2 폴 윌리스, "학교와 계급재생산 : 반학교문화, 일상, 저항" 이매진 2004

      3 정현백,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4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8

      5 이인정,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2) : 1-24, 2019

      6 강정훈, "통일을 꿈꾸는 사람들" 넥센미디어 2019

      7 존 크레스웰,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8 마르셀 모스, "증여론" 한길사 2002

      9 에드문트 후설,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한길사 2007

      10 박인철, "상호문화성과 동질성 상호문화성에서 동질성의 의미와 그 철학적 함축" 인문학연구소 82 : 34-69, 2017

      1 조나단 터너, "현대 사회학이론" 나남출판 2001

      2 폴 윌리스, "학교와 계급재생산 : 반학교문화, 일상, 저항" 이매진 2004

      3 정현백,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4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8

      5 이인정,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2) : 1-24, 2019

      6 강정훈, "통일을 꿈꾸는 사람들" 넥센미디어 2019

      7 존 크레스웰,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8 마르셀 모스, "증여론" 한길사 2002

      9 에드문트 후설,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한길사 2007

      10 박인철, "상호문화성과 동질성 상호문화성에서 동질성의 의미와 그 철학적 함축" 인문학연구소 82 : 34-69, 2017

      11 야노쉬 코르나이, "사회주의 체제의 정치경제학1" 나남 2019

      12 이근영, "북한의 부패에 관한 연구 : 부패유형 변화와 제도적 원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13 박영자, "북한의 남녀등정책의 형성과 굴절(1945-70) : 북한여성의 정치사회적 지위변화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3 (43): 297-330, 2004

      14 차문석, "북한의 공장 및 노동 실태 분석"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2008

      15 임수홍, "북한에서의 경제적 규범의 변화와 법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6 안지언, "북한사회 내 한류콘텐츠를 통한 남한사회 인식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18 (18): 107-114, 2018

      17 엄현숙, "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In 2020 북한 사회변동과 주민의식: 북한이탈주민을 통해 본 포스트 하노이 북한사회 변화" 2020

      18 박정란, "북한 주민의 남한 영상물 시청: ‘하위문화(Subculture)’의 형성과 함의" 북한연구소 36 (36): 75-108, 2011

      19 이종석, "북한 사회주의경제의 침체와 대응" 187-216, 1995

      20 조동호, "북한 뇌물공여 확산의 게임이론적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 (20): 187-243, 2014

      21 이용희, "북한 내 한류가 통일에 미치는 영향" 평화문제연구소 26 (26): 151-191, 2014

      22 이윤미,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역사 연구 방법과 교육사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28 (28): 77-92, 1998

      23 신연희, "라포에 대한 개념 분석"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4 (24): 187-195, 2017

      24 최성희,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통일교육지침서』 비교 분석 :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13 (13): 51-70, 2012

      26 김민주, "나는 개성공단으로 출근합니다" 산지니 2019

      27 권헌익, "극장국가 북한" 창비 2013

      28 민진,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 8 (8): 91-121, 2011

      29 문무기, "개성공업지구의 노동규율과 사회권 - 최근 노동규정 개정(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7) : 27-62, 2015

      30 김미연, "개성공업지구 갈등원인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0

      31 양문수, "개성공단에서의 남북한 접촉이 북한 근로자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남한 주민에 대한 북한 근로자의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7 (17): 131-158, 2013

      32 김진향, "개성공단 사람들" 내일을 여는 책 2016

      33 정은미,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의 정체성 인식과 행동 양식의 메커니즘" 북한연구학회 18 (18): 123-146, 2014

      34 양문수,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에 대한 남한 주민의 태도에 관한 연구" 평화문제연구소 25 (25): 143-180, 2013

      35 채형우, "개성공단 남북통합경험교육 사업의 전개와 평가 – 다름의 극복과 상호존중을 중심으로, In 2018년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한국통일교육학회 공동학술회의: 개성공단 남북통합경험과 통일교육" 2018

      36 김석향, "“남녀평등”과 “여성의 권리”에 대한 북한당국의 공식담론 변화: 1950년 이전과 1979년 이후 조선녀성기사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0 (10): 25-50, 2006

      37 와다 하루키, "[단행본]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돌베개; 서울 2002

      38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통일부통일교육원 2019

      39 김학재, "2019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과평화 -> 통일과 평화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3-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일평화연구소 -> 통일평화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