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나단 터너, "현대 사회학이론" 나남출판 2001
2 폴 윌리스, "학교와 계급재생산 : 반학교문화, 일상, 저항" 이매진 2004
3 정현백,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4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8
5 이인정,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2) : 1-24, 2019
6 강정훈, "통일을 꿈꾸는 사람들" 넥센미디어 2019
7 존 크레스웰,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8 마르셀 모스, "증여론" 한길사 2002
9 에드문트 후설,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한길사 2007
10 박인철, "상호문화성과 동질성 상호문화성에서 동질성의 의미와 그 철학적 함축" 인문학연구소 82 : 34-69, 2017
1 조나단 터너, "현대 사회학이론" 나남출판 2001
2 폴 윌리스, "학교와 계급재생산 : 반학교문화, 일상, 저항" 이매진 2004
3 정현백,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4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8
5 이인정,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2) : 1-24, 2019
6 강정훈, "통일을 꿈꾸는 사람들" 넥센미디어 2019
7 존 크레스웰,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8 마르셀 모스, "증여론" 한길사 2002
9 에드문트 후설,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한길사 2007
10 박인철, "상호문화성과 동질성 상호문화성에서 동질성의 의미와 그 철학적 함축" 인문학연구소 82 : 34-69, 2017
11 야노쉬 코르나이, "사회주의 체제의 정치경제학1" 나남 2019
12 이근영, "북한의 부패에 관한 연구 : 부패유형 변화와 제도적 원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13 박영자, "북한의 남녀등정책의 형성과 굴절(1945-70) : 북한여성의 정치사회적 지위변화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3 (43): 297-330, 2004
14 차문석, "북한의 공장 및 노동 실태 분석"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2008
15 임수홍, "북한에서의 경제적 규범의 변화와 법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6 안지언, "북한사회 내 한류콘텐츠를 통한 남한사회 인식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18 (18): 107-114, 2018
17 엄현숙, "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In 2020 북한 사회변동과 주민의식: 북한이탈주민을 통해 본 포스트 하노이 북한사회 변화" 2020
18 박정란, "북한 주민의 남한 영상물 시청: ‘하위문화(Subculture)’의 형성과 함의" 북한연구소 36 (36): 75-108, 2011
19 이종석, "북한 사회주의경제의 침체와 대응" 187-216, 1995
20 조동호, "북한 뇌물공여 확산의 게임이론적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 (20): 187-243, 2014
21 이용희, "북한 내 한류가 통일에 미치는 영향" 평화문제연구소 26 (26): 151-191, 2014
22 이윤미,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역사 연구 방법과 교육사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28 (28): 77-92, 1998
23 신연희, "라포에 대한 개념 분석"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4 (24): 187-195, 2017
24 최성희,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통일교육지침서』 비교 분석 :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13 (13): 51-70, 2012
26 김민주, "나는 개성공단으로 출근합니다" 산지니 2019
27 권헌익, "극장국가 북한" 창비 2013
28 민진,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 8 (8): 91-121, 2011
29 문무기, "개성공업지구의 노동규율과 사회권 - 최근 노동규정 개정(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7) : 27-62, 2015
30 김미연, "개성공업지구 갈등원인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0
31 양문수, "개성공단에서의 남북한 접촉이 북한 근로자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남한 주민에 대한 북한 근로자의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7 (17): 131-158, 2013
32 김진향, "개성공단 사람들" 내일을 여는 책 2016
33 정은미,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의 정체성 인식과 행동 양식의 메커니즘" 북한연구학회 18 (18): 123-146, 2014
34 양문수,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에 대한 남한 주민의 태도에 관한 연구" 평화문제연구소 25 (25): 143-180, 2013
35 채형우, "개성공단 남북통합경험교육 사업의 전개와 평가 – 다름의 극복과 상호존중을 중심으로, In 2018년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한국통일교육학회 공동학술회의: 개성공단 남북통합경험과 통일교육" 2018
36 김석향, "“남녀평등”과 “여성의 권리”에 대한 북한당국의 공식담론 변화: 1950년 이전과 1979년 이후 조선녀성기사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0 (10): 25-50, 2006
37 와다 하루키, "[단행본]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돌베개; 서울 2002
38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통일부통일교육원 2019
39 김학재, "2019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