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승희, "한국인의 인식을 통한 색에 대한 재해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 박휘락, "한국미술교육사 연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 예경 1998
3 김화중, "파버비렌의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2008
4 박소영, "총체예술(Gesamtkunstwerk)관점에서 본 바우하우스 미술교육" 한국조형교육학회 (28) : 207-242, 2006
5 남은영, "중학생의 색 인식에 관한 연구 : 중학교 미술 색채 수업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6 장석천, "중학교 미술교사의 미술교과서 활용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7 김정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용주, "중학교 미술" 비상교육 2013
9 김영길, "중학교 미술" ㈜미래엔 2013
10 김인규, "중학교 미술" 미진사 2013
1 이승희, "한국인의 인식을 통한 색에 대한 재해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 박휘락, "한국미술교육사 연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 예경 1998
3 김화중, "파버비렌의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2008
4 박소영, "총체예술(Gesamtkunstwerk)관점에서 본 바우하우스 미술교육" 한국조형교육학회 (28) : 207-242, 2006
5 남은영, "중학생의 색 인식에 관한 연구 : 중학교 미술 색채 수업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6 장석천, "중학교 미술교사의 미술교과서 활용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7 김정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용주, "중학교 미술" 비상교육 2013
9 김영길, "중학교 미술" ㈜미래엔 2013
10 김인규, "중학교 미술" 미진사 2013
11 김선아, "중학교 미술" 천재교육 2013
12 장선화, "중학교 미술" 두산동아 2013
13 엄윤경, "자연색채의 과학시각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개발: 예술과 과학이 융합된 감각 체험 교육" 27-40, 2012
14 김단, "자연색채계(NCS)를 활용한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10학년) 색채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김정희,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32): 125-144, 2012
16 홍승은,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STEAM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오브제 제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7 Herbert, R., "예술의 의미" 에코리브르 2006
18 안정은, "연상을 활용한 공감각적 색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청각자극을 중심으로" 227-230, 2014
19 백원선, "아동의 공감각 개발을 위한 색채교육의 필요성" 23-39, 2009
20 안선영, "소리 이미지 표현을 통한 색채수업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22 Robert,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8
23 김미옥, "색채학습을 통한 정서 함양 지도 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황향숙, "색채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 초등학교 중?고학년의 색채학습을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16 : 249-276, 2003
25 John, G., "색채의 역사" 사회평론 2011
26 이자연, "색채의 공감각에 의한 식기 색채에 대한 연구 : 미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7 유혜영, "색채의 공감각에 의한 색채인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8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예림 2007
29 권영걸, "색채와 디자인 비즈니스" 도서출판 국제 2004
30 윤혜림, "색채심리 마케팅과 배색이론" 도서출판 국제 2008
31 문은배, "색채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1
32 유재림, "색의 공감각적 표현 향상을 위한 색채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촉각의 시각화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3 서민지, "색과 소리의 공감각을 활용한 통합미술교육 : 중학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4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35 김성숙, "미술ㆍ과학교과가 융합된 교수학습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6 Marco, R.,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감정의 비밀" 동아일보사 2008
37 손연석, "기초 색채 교육을 통한 꾸미기와 만들기 지도" 115-147, 1995
38 박소영, "근대 초등미술교과서 다시 읽기* - 도안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61-92, 2012
39 이한나, "공감각적 특성을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후각적 자극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0 유하양, "공감각적 음악(Synesthetic Music)의 음악 교육적 활용 가능성 모색:스크리아빈(A. N. Scriabin)과 메시앙(O. Messiaen)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41 김병옥, "감성 구조화를 통한 브랜드디자인의 공감각적 표현 연구 : 브랜드로고디자인의 소비자 체험적 태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42 권영걸, "色이 만드는 미래" 도서출판 국제 2002
43 임상묵, "色彩敎育의 效果的 指導方案에 關한 硏究:初等 美術敎育을 中心으로" 201-225,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