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감각(共感覺)적 체험을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 A Study of Colo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using Synesthesia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3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arning diversity and sensitivity by art education is chance to cultivate self-expression skill, as well as build knowledge. In particular color education using synesthesia vitalizes human brain, which consequentially improves perceptional ability, integrated thinking and artistic abilities. As the latest education curriculum is focused on develop comprehensive thinking and creativity connected to diverse field, cognition and imagination are required for flexible thinking in diverse fields. In other word, color education that teaches synesthesia related to brain science and color education with psychological effect is way to understand connectivity with one’s surrounding and nurture one’s ability to handle colors in reality, as well as integrating other fields. Hence, using synesthesia, this research is aimed to propose color education program tha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and utilize senses and colors, with practice of integrating 4 senses except for sense of sights, targeting junior high students who are said to conduct abstract thinking and combinatorial reasoning.
      번역하기

      Learning diversity and sensitivity by art education is chance to cultivate self-expression skill, as well as build knowledge. In particular color education using synesthesia vitalizes human brain, which consequentially improves perceptional ability, i...

      Learning diversity and sensitivity by art education is chance to cultivate self-expression skill, as well as build knowledge. In particular color education using synesthesia vitalizes human brain, which consequentially improves perceptional ability, integrated thinking and artistic abilities. As the latest education curriculum is focused on develop comprehensive thinking and creativity connected to diverse field, cognition and imagination are required for flexible thinking in diverse fields. In other word, color education that teaches synesthesia related to brain science and color education with psychological effect is way to understand connectivity with one’s surrounding and nurture one’s ability to handle colors in reality, as well as integrating other fields. Hence, using synesthesia, this research is aimed to propose color education program tha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and utilize senses and colors, with practice of integrating 4 senses except for sense of sights, targeting junior high students who are said to conduct abstract thinking and combinatorial reaso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교육을 통해 배우는 다양성과 감수성은 학문적 소양을 쌓는 것 이외에도 자기를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공감각을 활용한 색채교육은 우리의 뇌를 활성화시켜 지각 능력뿐만 아니라 융합적 사고능력과 조형능력을 길러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색채교육에 있어서 공감각 활용의 교육적 가치와 그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분야와 융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사고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양성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다양한 측면에서 사고할 수 있는 인지능력과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즉, 뇌 과학과 관련된 공감각과 심리적 효과를 지니고 있는 색(色)을 함께 교육하는 것은 다른 분야와의 융합뿐만 아니라 자신과 주변과의 관련성을이해하고, 실제 생활 속에서 색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상적 사고와 종합적 추리가 가능하게 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시각적활동을 전제로 한 가운데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들을 서로 통합하여 학생들이 감각과색의 기능을 이해하고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감각을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미술교육을 통해 배우는 다양성과 감수성은 학문적 소양을 쌓는 것 이외에도 자기를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공감각을 활용한 색채교육은 우리의 뇌를 활...

      미술교육을 통해 배우는 다양성과 감수성은 학문적 소양을 쌓는 것 이외에도 자기를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공감각을 활용한 색채교육은 우리의 뇌를 활성화시켜 지각 능력뿐만 아니라 융합적 사고능력과 조형능력을 길러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색채교육에 있어서 공감각 활용의 교육적 가치와 그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분야와 융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사고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양성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다양한 측면에서 사고할 수 있는 인지능력과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즉, 뇌 과학과 관련된 공감각과 심리적 효과를 지니고 있는 색(色)을 함께 교육하는 것은 다른 분야와의 융합뿐만 아니라 자신과 주변과의 관련성을이해하고, 실제 생활 속에서 색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상적 사고와 종합적 추리가 가능하게 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시각적활동을 전제로 한 가운데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들을 서로 통합하여 학생들이 감각과색의 기능을 이해하고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감각을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희, "한국인의 인식을 통한 색에 대한 재해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 박휘락, "한국미술교육사 연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 예경 1998

      3 김화중, "파버비렌의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2008

      4 박소영, "총체예술(Gesamtkunstwerk)관점에서 본 바우하우스 미술교육" 한국조형교육학회 (28) : 207-242, 2006

      5 남은영, "중학생의 색 인식에 관한 연구 : 중학교 미술 색채 수업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6 장석천, "중학교 미술교사의 미술교과서 활용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7 김정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용주, "중학교 미술" 비상교육 2013

      9 김영길, "중학교 미술" ㈜미래엔 2013

      10 김인규, "중학교 미술" 미진사 2013

      1 이승희, "한국인의 인식을 통한 색에 대한 재해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 박휘락, "한국미술교육사 연구: 미술교육 100년의 흐름(1895-1995)" 예경 1998

      3 김화중, "파버비렌의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2008

      4 박소영, "총체예술(Gesamtkunstwerk)관점에서 본 바우하우스 미술교육" 한국조형교육학회 (28) : 207-242, 2006

      5 남은영, "중학생의 색 인식에 관한 연구 : 중학교 미술 색채 수업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6 장석천, "중학교 미술교사의 미술교과서 활용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7 김정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용주, "중학교 미술" 비상교육 2013

      9 김영길, "중학교 미술" ㈜미래엔 2013

      10 김인규, "중학교 미술" 미진사 2013

      11 김선아, "중학교 미술" 천재교육 2013

      12 장선화, "중학교 미술" 두산동아 2013

      13 엄윤경, "자연색채의 과학시각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개발: 예술과 과학이 융합된 감각 체험 교육" 27-40, 2012

      14 김단, "자연색채계(NCS)를 활용한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10학년) 색채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김정희,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32): 125-144, 2012

      16 홍승은,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STEAM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오브제 제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7 Herbert, R., "예술의 의미" 에코리브르 2006

      18 안정은, "연상을 활용한 공감각적 색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청각자극을 중심으로" 227-230, 2014

      19 백원선, "아동의 공감각 개발을 위한 색채교육의 필요성" 23-39, 2009

      20 안선영, "소리 이미지 표현을 통한 색채수업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22 Robert,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8

      23 김미옥, "색채학습을 통한 정서 함양 지도 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황향숙, "색채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 초등학교 중?고학년의 색채학습을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16 : 249-276, 2003

      25 John, G., "색채의 역사" 사회평론 2011

      26 이자연, "색채의 공감각에 의한 식기 색채에 대한 연구 : 미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7 유혜영, "색채의 공감각에 의한 색채인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8 박연선, "색채용어사전" 예림 2007

      29 권영걸, "색채와 디자인 비즈니스" 도서출판 국제 2004

      30 윤혜림, "색채심리 마케팅과 배색이론" 도서출판 국제 2008

      31 문은배, "색채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1

      32 유재림, "색의 공감각적 표현 향상을 위한 색채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촉각의 시각화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3 서민지, "색과 소리의 공감각을 활용한 통합미술교육 : 중학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4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35 김성숙, "미술ㆍ과학교과가 융합된 교수학습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6 Marco, R.,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감정의 비밀" 동아일보사 2008

      37 손연석, "기초 색채 교육을 통한 꾸미기와 만들기 지도" 115-147, 1995

      38 박소영, "근대 초등미술교과서 다시 읽기* - 도안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61-92, 2012

      39 이한나, "공감각적 특성을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후각적 자극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0 유하양, "공감각적 음악(Synesthetic Music)의 음악 교육적 활용 가능성 모색:스크리아빈(A. N. Scriabin)과 메시앙(O. Messiaen)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41 김병옥, "감성 구조화를 통한 브랜드디자인의 공감각적 표현 연구 : 브랜드로고디자인의 소비자 체험적 태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42 권영걸, "色이 만드는 미래" 도서출판 국제 2002

      43 임상묵, "色彩敎育의 效果的 指導方案에 關한 硏究:初等 美術敎育을 中心으로" 201-225,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