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독교상담 모델의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한 관점비교와 통합 방향 = Christian counseling model’s perspective on self & self-pathology and its inte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ompar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introduced by Johnson and Kim and try to find an optional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self psychology via considering main concepts of self psychology, which are self and self-pathology. The five views are Biblical counseling, Christian psychology model, transformational psychology, integration model, and a levels-of-explanation (parallel) model. Dealing some specific topics, we name the three models as integrational models for a convenience.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in the perspectives of self psychology and th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we address that human self is the agent of God and this is the human perspective on which Christian counseling theory shall be established on. Whe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we first scrutinize and translate foundational concep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Christianity, and then correlate its many practical and clinical concepts of self psychology.
      번역하기

      We compar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introduced by Johnson and Kim and try to find an optional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self psychology via considering main concepts of self psychology, which are self and self-pathology....

      We compar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introduced by Johnson and Kim and try to find an optional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self psychology via considering main concepts of self psychology, which are self and self-pathology. The five views are Biblical counseling, Christian psychology model, transformational psychology, integration model, and a levels-of-explanation (parallel) model. Dealing some specific topics, we name the three models as integrational models for a convenience.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in the perspectives of self psychology and th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we address that human self is the agent of God and this is the human perspective on which Christian counseling theory shall be established on. Whe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we first scrutinize and translate foundational concep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Christianity, and then correlate its many practical and clinical concepts of self psych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Johnson과 김용태의 저서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을 비교하면서, 각 기독교상담 모델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중심 주제인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하여 고찰하며 자기심리학과 기독교의 적절한 통합 방향을 찾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미와 일반적인 병리를 각 기독교상담 모델에서 어떻게 이해하며 접근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주로 자기심리학에서 다루는 자기의 개념과 비교하며 고찰한다. 자기병리 중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주로 다루었던 자기애의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모은다. 또한 논점에 따라서 성경심리와 평행심리 모델을 양 극단으로 두고, 기독교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재건심리 모델을 합쳐서 통합적 모델로 취하는 입장을 취하고자 한다. 자기심리학에서 제기되는 자기개념을 기독교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인간의 자기(self)를 하나님의 대행자(agent)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인간관위에서 기독교상담학이 세워져야 함을 피력한다. 자기심리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기독교신학에 비추어 비평하고 검토함은 기독교심리 모델이나 재건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등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통합의 필요 요소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 후, 임상실재나 인간이해에 도움이 되는 제반 개념들은 평행심리 모델의 입장에서 받아들이는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Johnson과 김용태의 저서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을 비교하면서, 각 기독교상담 모델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중심 주제인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하여 고...

      본 연구의 목적은 Johnson과 김용태의 저서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을 비교하면서, 각 기독교상담 모델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중심 주제인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하여 고찰하며 자기심리학과 기독교의 적절한 통합 방향을 찾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미와 일반적인 병리를 각 기독교상담 모델에서 어떻게 이해하며 접근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주로 자기심리학에서 다루는 자기의 개념과 비교하며 고찰한다. 자기병리 중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주로 다루었던 자기애의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모은다. 또한 논점에 따라서 성경심리와 평행심리 모델을 양 극단으로 두고, 기독교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재건심리 모델을 합쳐서 통합적 모델로 취하는 입장을 취하고자 한다. 자기심리학에서 제기되는 자기개념을 기독교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인간의 자기(self)를 하나님의 대행자(agent)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인간관위에서 기독교상담학이 세워져야 함을 피력한다. 자기심리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기독교신학에 비추어 비평하고 검토함은 기독교심리 모델이나 재건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등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통합의 필요 요소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 후, 임상실재나 인간이해에 도움이 되는 제반 개념들은 평행심리 모델의 입장에서 받아들이는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태, 2012

      2 이관직, "현대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대서출판사 2009

      3 홍이화, "한국문화 안에서 목회상담가의 자기대상(selfobject) 기능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의 한국적 적용" 한국기독교학회 62 (62): 315-335, 2009

      4 유영권, "한국교회와 나르시시즘" 6 : 43-63, 2005

      5 유영권, "한국 기독(목회)상담학의 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60 : 93-111, 2010

      6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7 김용태, "통합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학" 학지사 2006

      8 유영권, "칼 로저스(Carl Rogers)의 자기개념에 대한 비판적 연구-목회상담적 관점에서" 7 : 179-198, 2004

      9 김용태, "초월의 현상으로서 범주확장" 7 : 20-44, 2004

      10 김용태, "죄책감에 대한 통합적 이해: 신학적이고 심리학적 관점"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21 : 71-94, 2011

      1 김용태, 2012

      2 이관직, "현대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대서출판사 2009

      3 홍이화, "한국문화 안에서 목회상담가의 자기대상(selfobject) 기능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의 한국적 적용" 한국기독교학회 62 (62): 315-335, 2009

      4 유영권, "한국교회와 나르시시즘" 6 : 43-63, 2005

      5 유영권, "한국 기독(목회)상담학의 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60 : 93-111, 2010

      6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7 김용태, "통합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학" 학지사 2006

      8 유영권, "칼 로저스(Carl Rogers)의 자기개념에 대한 비판적 연구-목회상담적 관점에서" 7 : 179-198, 2004

      9 김용태, "초월의 현상으로서 범주확장" 7 : 20-44, 2004

      10 김용태, "죄책감에 대한 통합적 이해: 신학적이고 심리학적 관점"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21 : 71-94, 2011

      11 이재훈, "정신분석학과 정신건강(I, II)" 1 : 65-91, 1999

      12 김태형, "자기애적 자기와 응집적 자기를 연결시키는 지향적 자기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13 김홍근, "자기심리학의 이론과 목회 영성적 적용에 관한 연구" 7 : 213-237, 2004

      14 김정규, "자기심리학과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대화" 17 : 17-38, 1998

      15 박상희, "자기대상 경험을 통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6 하재성, "자기 심리학의 목회 신학적 의미: 관계 중심성과 일상성" 한국목회상담학회 13 : 7-33, 2009

      17 황영훈, "자기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종교체험과 퇴행"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2 : 180-198, 2006

      18 권명수, "영성적 인간 형성을 위한 자기 심리학적 모색-프로이트와 Kohut의 인간 이해 비교 분석 연구" 43 : 169-208, 2002

      19 Rizzuto, A., "살아있는 신의 탄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20 김병오, "대상관계이론과 목회상담 : 자기 심리학에서 본 중독의 원인과 치유" 4 : 95-119, 2003

      21 유영권, "대상관계 심리학과 목회상담(I)(II)" 40 : 85-115, 1996

      22 반신환, "기독교와 상담의 통합 : 정체성 또는 효율성" 14 : 123-138, 2009

      23 박기영, "기독교상담학의 성향 분류에 따른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 모델 : 성경관, 인간이해, 심리학 개방성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7

      24 최은영, "기독교상담학 연구 : 연구주제 및 연구 방법" 1 : 65-79, 2000

      25 김미숙, "기독교상담에 나타난 통합운동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26 김용태, "기독교 상담의 통합에 관한 모델과 영역에 관한 개요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6 : 13-42, 2008

      27 김병훈, "‘Heinz Kohut’의 정신분석학 입장에서 본 삼위일체론" 11 : 158-177, 2002

      28 Miller, W. R., "What is human nature? Reflections from Judeo-Christian perspectives, In Judeo-Christian perspectives on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29, 2005

      29 Kohut, H., "The restoration of the self"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7

      30 Clinton, T., "The popular encyclopedia of Christian counseling" Harvest House Publishers 2011

      31 Kohut, H., "The analysis of the self"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1

      32 Gorday, P., "The Self Psychology of Heinz Kohut: What’s It All About Theologically?" 48 : 445-467,

      33 Strozier, C., "Self psychology and the humanities" W. W. Norton & Company, Inc 1985

      34 Schlauch, Chris. R., "Rethinking selfobject and self: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Studying Religious Matters" 48 : 57-78, 1999

      35 Browning, D., "Religious thought and the modern psychologies" Fortress Press 1987

      36 Son, A., "Relationality in Kohut’s psychology of the self" 55 : 81-92, 2006

      37 Coe, J. H., "Psychology in the Spirit: Contours of a transformational psychology" IVP Academic 2010

      38 Vitz, P., "Psychology as Religion: The Cult of Self-Worship"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7

      39 Johnson, E., "Psychology & Christianity: Five Views" IVP Academic 2010

      40 Stevenson, D. H., "Psychology & Christianity integration: Seminal works that shaped the moment" Christian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tudies, Inc 2007

      41 정석환, "Kohut의 자기심리학과 목회상담" 27 : 319-348, 1999

      42 최의헌, "Kohut의 자기 이해-자아심리학과 대상관계 이론과의 연계성" 2 : 105-126, 2001

      43 Eck, Brian, "Integrating the Integrators: An Organizing Framework for a Multifaceted Process of Integration" 15 : 101-115, 1996

      44 Kohut, H., "How does analysis cu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45 Coe, J. H., "A Transformational psychology view, In Psychology & Christianity: five views" IVP Academic 199-226, 2012

      46 Roberts, R., "A Christian response, In Psychology & Christianity: four views" IVP Academic 148-177, 2000

      47 김홍근, ""기독교 영성"에 관한 대상관계 이론 및 자기심리학적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48 황헌영, ""Heinz Kohut의 정신분석학 입장에서 본 삼위일체론"에 대한 비평" 11 : 178-18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therapy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5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