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생명에 관한 의식(생명관련 문제, 생명윤리의식)과 가족건강성을 파악하고,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대학생들의 생명에 관한 의식이 형성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01463
2014
-
2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58(4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생명에 관한 의식(생명관련 문제, 생명윤리의식)과 가족건강성을 파악하고,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대학생들의 생명에 관한 의식이 형성되...
본 연구의 목적은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생명에 관한 의식(생명관련 문제, 생명윤리의식)과 가족건강성을 파악하고, 관련변인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대학생들의 생명에 관한 의식이 형성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충북 지역 소재 11개 대학에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 7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토록 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생명에 관한 의식은 생명윤리에 관한 정보와 지식 습득처,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 정도, 생명윤리교육 경험, 기형아 낙태, 혼전 성관계, 자살, 사형제도, 안락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생명윤리의식과 가족건강성을 측정하였다.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은 3.38점으로 하위요인 중 태아의 생명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족건강성은 3.55점으로 하위요인 중 가족유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윤리의식에 영향 주는 요인으로는 성별, 전공계열, 종교, 학년, 가족건강성의 의사소통, 문제해결력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이 생명윤리의식에 대한 설명력은 29.9%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생명존중에 관한 의식 정립의 방안과 생명교육 활성화 방안 및 생명교재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awareness and family strength of university's students in the area of Chungbuk.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out Chungbuk in 11 different universities among 703 enrolled students who have been as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awareness and family strength of university's students in the area of Chungbuk.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out Chungbuk in 11 different universities among 703 enrolled students who have been asked to fill out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sed according to its study purpose by using SPSS/WIN 18.0 Program for technological statistics, ANOVA, Pe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question about life awarenes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bioethics, the level of interest in bioethics, experience in bioethics education, consciousness about abortion of deformed baby, pre marriage sex, suicide, death penalty and euthanasia. Following the examination the level of consciousness about bioethics and family strength were measured. Average score of consciousness about bioethics were 3.38. Among its subdivisions, right to life of fetus was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family strength were 3.55 and among its subdivisions, family relationship was at the top.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onsciousness about bioethics were sex, major study, religion, school year, communication of family strength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se factors explained 29.9% of consciousness about bioethics. Among them, communication of family strength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e plan for implanting life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vitalizing pro-life education as well as development of its teaching materials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진희, "한국인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가톨릭대학교 2006
2 손애리, "전국 대학생의 성의식, 첫 성경험 및 성행동에 대한 성차" 한국보건사회학회 18 : 62-80, 2005
3 문미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한국생명윤리학회 14 (14): 27-47, 2013
4 고수현, "인간복지 생명윤리학" 양지원 2005
5 김승주, "우리나라 대학생의 혼전 성윤리의식 형성과정 모델화-가톨릭계 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40 : 179-204, 2012
6 김명산,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사형제도에 대한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교 2011
7 변민성,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중학생 의식조사" 한양대학교 2006
8 이강미,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12
9 윤여덕,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 1993
10 이동익, "생명, 인간의 도구인가" 바오로딸 2004
1 권진희, "한국인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가톨릭대학교 2006
2 손애리, "전국 대학생의 성의식, 첫 성경험 및 성행동에 대한 성차" 한국보건사회학회 18 : 62-80, 2005
3 문미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한국생명윤리학회 14 (14): 27-47, 2013
4 고수현, "인간복지 생명윤리학" 양지원 2005
5 김승주, "우리나라 대학생의 혼전 성윤리의식 형성과정 모델화-가톨릭계 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40 : 179-204, 2012
6 김명산,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사형제도에 대한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교 2011
7 변민성,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중학생 의식조사" 한양대학교 2006
8 이강미,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12
9 윤여덕,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 1993
10 이동익, "생명, 인간의 도구인가" 바오로딸 2004
11 김해리, "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 가톨릭대학교 2010
12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생명의 복음』"
13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가정교서』"
14 김미정, "고등학생의 생명공학에 대한 양면가치 태도평가를위한 도구개발" 29 (29): 2001
15 유명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간호윤리교육의 효과" 한국생명윤리학회 12 (12): 61-78, 2011
16 권윤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23 (23): 262-272, 2009
17 권선주,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2003
18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가치를 꿈꾸는 과학-교실에서 함께하는 과학 윤리수업" 도서출판 당대 2001
19 유영주,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9 (9): 119-151, 2004
20 유혜은, "가족 차생활과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21 Otto, H. A, "What is a Strong Family?" 24 : 1962
22 Qin, P, "The impact of parental status on the risk of completed suicide" 60 (60): 2003
23 Beautrais, A. L, "Suicide and serious suicide attempts in youth: A multiple-group comparison study" 160 (160): 2003
24 Linehan, M, "Reasons for staying alive when you thinking of killing yoursel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51 : 1983
25 Reich, W. T, "Encyclopedia of bioethics, 4 vols" Free Press 1978
26 Piquet, M. L, "Coping response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and their relation to suicidal ideation across a 2-year follow-up: A preliminary study" 33 (33):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7-09-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5 | 0.538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