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의 동향과 제언 :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 The Trends of Emotion Regulation Research in Schoolage Children in Korea: An Analysis of Domestic Jour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0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5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아동 대상 정서조절 연구 115편의 게재 연도와 학술지,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정서조절에 대한 학술지 연구는 1999년 발표된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게재된 학술지는 주로 가정학, 교육학, 심리학, 유아교육 분야였지만 그밖에 다양한 학술지에서도 발표되고 있었으며 이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보여준다. 연구 대상은 주로 고학년 학생이고 적응 수준에 문제가 없는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별로 살펴보면 변인 간 영향력을 보는 관계 연구가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및 사례연구, 이론연구, 척도연구 순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관계 연구에서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정서조절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서행동문제와 사회성 및 적응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프로그램 연구는 놀이, 미술, 문학, 상담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가장 다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혼합연구, 질적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5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아동 대상 정서조절 연구 115편의 게재 연도와 학술지, 연구 주제, 대상, 방...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5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아동 대상 정서조절 연구 115편의 게재 연도와 학술지,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정서조절에 대한 학술지 연구는 1999년 발표된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게재된 학술지는 주로 가정학, 교육학, 심리학, 유아교육 분야였지만 그밖에 다양한 학술지에서도 발표되고 있었으며 이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보여준다. 연구 대상은 주로 고학년 학생이고 적응 수준에 문제가 없는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별로 살펴보면 변인 간 영향력을 보는 관계 연구가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및 사례연구, 이론연구, 척도연구 순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관계 연구에서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정서조절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서행동문제와 사회성 및 적응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프로그램 연구는 놀이, 미술, 문학, 상담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가장 다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혼합연구, 질적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 on emotion regulation in Schoolage children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es on emotion regul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were analyzed with the criteria: the year of publication, the field of journals, the subjects, participants, the themes and the methods from 115 papers published until May 2018.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research on Emotion regulation in Schoolage children is increasing steadily. The journals were published mainly in the fiel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sycholog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mainly students in upper grades. The most common theme was relational research, followed by program and case studies, theoretical research, and scal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was mostly quant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relatively fe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on emotional regulation in Korean children are suggested and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regulation research based on them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 on emotion regulation in Schoolage children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es on emotion regulation for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 on emotion regulation in Schoolage children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es on emotion regul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were analyzed with the criteria: the year of publication, the field of journals, the subjects, participants, the themes and the methods from 115 papers published until May 2018.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research on Emotion regulation in Schoolage children is increasing steadily. The journals were published mainly in the fiel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sycholog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mainly students in upper grades. The most common theme was relational research, followed by program and case studies, theoretical research, and scal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was mostly quant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relatively fe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on emotional regulation in Korean children are suggested and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regulation research based on them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서울] 2013

      2 홍상황, "한국판 아동용 거부민감성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1 (11): 351-370, 2012

      3 이선형, "학령기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정서조절, 기본심리욕구, 부모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6 (26): 199-212, 2017

      4 김은희, "초등학생의 주요타인 기대지각, 정서조절, 실패내성 및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39-56, 2015

      5 소연희,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스트레스와 인식론적 신념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4학년과 6학년 비교"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39-154, 2013

      6 선혜연, "초등학생 학업스트레스 연구동향" 34 : 71-89, 2014

      7 유은애,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적응의 관계" 1 : 82-103, 2008

      8 박승민,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3-14, 2005

      9 천성문,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7

      10 선혜연,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동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7 (37): 5-27, 2016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서울] 2013

      2 홍상황, "한국판 아동용 거부민감성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1 (11): 351-370, 2012

      3 이선형, "학령기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정서조절, 기본심리욕구, 부모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6 (26): 199-212, 2017

      4 김은희, "초등학생의 주요타인 기대지각, 정서조절, 실패내성 및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39-56, 2015

      5 소연희,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스트레스와 인식론적 신념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4학년과 6학년 비교"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39-154, 2013

      6 선혜연, "초등학생 학업스트레스 연구동향" 34 : 71-89, 2014

      7 유은애,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적응의 관계" 1 : 82-103, 2008

      8 박승민,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3-14, 2005

      9 천성문,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7

      10 선혜연,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동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7 (37): 5-27, 2016

      11 김민희, "주의력, 실행 기능, 정서 조절 능력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있는 아동, 청소년의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537-551, 2015

      12 하선혜,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461-485, 2013

      13 송재홍, "정서유능성 증진을 위한 은유 활용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5 (15): 299-328, 2016

      14 조한익, "정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313-324, 2013

      15 김미영,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1990년에서 2010년까지의 국내외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91-312, 2010

      16 김지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2 (32): 13-28, 2011

      17 교육부,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 교육부 2016

      18 임희수,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3 (23): 37-54, 2002

      19 김두규, "어머니 애착과 학교폭력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51-772, 2017

      20 Gilmore K. J., "아동청소년 정신발달" 학지사 2018

      21 조수현,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8 (48): 61-72, 2010

      22 김성희,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69-92, 2011

      23 이혜련, "아동의 정서반응 유형,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 탐색: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4 (44): 99-111, 2006

      24 임수진,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학교적응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331-345, 2012

      25 전숙영,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외·내현적 자기애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9 (9): 90-106, 2014

      26 김순이,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18 : 93-120, 2016

      27 오지현,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6 (36): 17-37, 2015

      28 정옥분,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사회적 능력, 정서적 능력과 우정관계의 질" 한국인간발달학회 15 (15): 17-52, 2008

      29 김소영, "아동용 정서조절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2 (12): 1097-1108, 2011

      30 김미진, "아동미술치료 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87-109, 2014

      31 이혜숙, "아동·청소년대상의 사회·정서발달프로그램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9) : 233-255, 2011

      32 이선경, "아동 정서발달에 대한 고찰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4 (4): 79-97, 2014

      33 Young, J. E., "심리도식치료" 학지사 2005

      34 박서연, "성취정서의 국내외 연구동향"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35-58, 2017

      35 고홍월, "상담연구방법론" 학지사 2013

      36 김계원,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521-542, 2011

      37 우채영,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의의"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63-185, 2016

      38 김윤경, "사회정서학습(SEL)을 적용한 학교인성교육 정책방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9 이은정, "부모기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의 중다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93-312, 2016

      40 박지선, "발달적 관점에서 본 아동·청소년의 정서조절"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1-21, 2014

      41 우희정,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정서조절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6 (26): 551-563, 2015

      42 하미숙, "글쓰기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5 : 43-61, 2013

      43 김은실, "국내 아동 대상 중독 연구의 동향과 제언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85-516, 2017

      44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45 김은진, "교육이론과 실천: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정서조절능력과 유머감각의 조절효과" 23 : 103-123, 2013

      46 정소희, "갈등적인 부부관계와 한부모가족, 어느 것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더 해로운가?"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165-186, 2011

      47 Morris, A. S., "The role of the family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16 (16): 361-388, 2007

      48 Cole, P. M.,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59 (59): 73-100, 1994

      49 Frick, P. J., "Temperament and developmental pathways to conduct problems" 33 (33): 54-68, 2004

      50 Calkins, S. D., "Origins and outcom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59 (59): 53-72, 1994

      51 Penza-Clyve, S., "Initial validation of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EESC)" 31 (31): 540-547, 2002

      52 Gross, J. J., "Emotion regulation: Past, present, future" 13 (13): 551-573, 1999

      53 Thompson, R. A.,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59 (59): 25-52, 1994

      54 Garner, P. W., "Emotion regulation in low‐income preschoolers" 9 (9): 246-264, 2000

      55 Walden, T. A., "Emotion regulation" 21 (21): 7-25, 1997

      56 Fredrickson, B. L., "Cultivated emotions : Parental socialization of positive emotions and self-conscious emotions" 9 (9): 279-281, 1998

      57 Cortez, V. L., "Children's visual avoidance of threat : A strategy associated with low social control" 40 (40): 82-97, 1994

      58 장우영, "ADHD 아동의 정서조절 특성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547-569, 2015

      59 이지연, "5세 아동의 정서조절과 공감의 예언변인들: 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85-102, 2010

      60 신진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정서교육 분석-총론과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017 (2017): 40-71, 2017

      6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