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의 글쓰기가 춘원 문학의 한 가지 중요한 본질이며 이 양자의 연관성과 그 연관성 속에서의 양자의 변화 과정을 포착하는 것이춘원 문학을 이해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의 글쓰기가 춘원 문학의 한 가지 중요한 본질이며 이 양자의 연관성과 그 연관성 속에서의 양자의 변화 과정을 포착하는 것이춘원 문학을 이해하는 ...
본고에서는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의 글쓰기가 춘원 문학의 한 가지 중요한 본질이며 이 양자의 연관성과 그 연관성 속에서의 양자의 변화 과정을 포착하는 것이춘원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적절한 방법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춘원에게 바로 그변화의 결정적 계기가 되는 것은 도산과의 만남과 이별이었다. 본고는 이 전제 하에춘원의 상해 임시정부 활동 이전과 이후의 그의 글쓰기의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의 연속성과 변화 양상을 아주 잘 보여준다고 생각되는 「농촌계발」과 「민족개조론」 을 살펴본다. 이러한 관점과 방법으로 보면 춘원이 1919년 상해에서 도산을 만나 임시정부 활동과 흥사단 입단을 하기 이전의 작품인 「농촌계발」과 그 이후에 쓴 유명한「민족개조론」 사이에 그 연속성과 차이가 매우 잘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전자에서는오산학교 교사 시절 용동에서의 활동 경험이, 후자에서는 상해에서의 연구와 활동 경험이 여실히 나타난다는 점에서 두 글 모두 춘원 문학의 자전적 성격을 보여준다. 또한 양자 모두 스스로를 민족의 지도자로 자부하는 나르시시즘의 성격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그런데 나르시시즘의 면에서 볼 때, 후자에서는 도산과의 만남과 흥사단 입단으로 얻은 자신감 때문에 조선 민중을 훨씬 더 일방적으로 ‘대상화’한다는 것을 알 수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상래, "李光洙의 自敍傳的 글쓰기에 대한 一 考察:<星條旗>와 <그의 自敍傳>을 中心으로" 동아인문학회 (16) : 119-151, 2009
2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3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7
4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와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민중문화" 아카넷 2001
5 노양환, "춘원 이광수 평전, 이광수 전집 별권" 삼중당 1974
6 "청춘"
7 정홍섭, "채만식 문학과 풍자의 정신" 역락 2004
8 "조선문단"
9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강의(하)" 열린책들 1998
10 미하일 바흐찐,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98
1 노상래, "李光洙의 自敍傳的 글쓰기에 대한 一 考察:<星條旗>와 <그의 自敍傳>을 中心으로" 동아인문학회 (16) : 119-151, 2009
2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3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7
4 미하일 바흐찐, "프랑수와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민중문화" 아카넷 2001
5 노양환, "춘원 이광수 평전, 이광수 전집 별권" 삼중당 1974
6 "청춘"
7 정홍섭, "채만식 문학과 풍자의 정신" 역락 2004
8 "조선문단"
9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강의(하)" 열린책들 1998
10 미하일 바흐찐,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98
11 방민호, "장편소설 『흙』에 이르는 길-안창호의 이상촌 담론과 관련하여" 2018
12 필립 르죈,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사 1997
13 하인즈 코헛, "자기의 분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14 리처드 체식,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 눈 2014
15 하타노 세츠코, "일본 유학생 작가 연구" 소명출판 2011
16 방민호, "일본 사소설과 한국의 자전적 소설의 비교" 한국현대문학회 (31) : 35-84, 2010
17 이광수, "이순신과 안 도산" 1931
18 방민호, "이광수의 자전적 문학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22 : 113-127, 2003
19 최주한,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재고" 인문학연구원 (70) : 257-295, 2013
20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1-3)" 한길사 1986
21 하타노 세츠코, "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푸른역사 2016
22 이광수, "이광수 전집(1-10)" 삼중당 1972
23 서은혜, "이광수 소설의 ‘암시된 저자’ 연구" 서울대 2017
24 "영대"
25 최상천, "알몸 박정희" 사람나라 2001
26 주요한, "안도산 전서" 샘터사 1979
27 이정화, "아버님 춘원" 문선사 1955
28 김산, "아리랑" 동녘 2002
29 황병주, "식민지 시기 ‘공’ 개념의 확산과 재구성" 한국사회사학회 (73) : 5-44, 2007
30 박정희, "새마을 정신으로 내 고장을 개발- 朴正熙대통령 지방순시를 마치고 경북도청에서 하신 말씀" 1972
31 "새농민"
32 "삼천리"
33 이운허, "법화경" 동국대학교 역경원 2004
34 "백조"
35 테리 이글턴, "발터 벤야민 또는 혁명적 비평을 향하여" 이앤비플러스 2012
36 페터 지마, "바흐친과 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1997
37 코지노프, "바흐친과 대화주의" 나남 1990
38 이광수, "민족개조론" 1922
39 "문장"
40 지그문트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책들 1998
41 "매일신보"
42 이문구, "마음의 얼룩" 랜덤하우스중앙 2005
43 "동광"
44 이광수, "도산의 인격과 무대" 1935
45 박만규, "도산 안창호와 춘원 이광수의 관계" 호남사학회 (57) : 159-183, 2015
46 이광수, "도산 안창호 선생에게" 1925
47 이광수, "나의 고백" 춘추사 1948
48 크리스토퍼 라쉬, "나르시시즘의 문화" 문학과지성사 1989
49 제레미 홈즈, "나르시시즘" 이제이북스 2003
50 이광수, "나-스무 살 고개" 생활사 1948
51 이광수, "나-소년편" 생활사 1948
52 김동인, "김동인전집 6" 삼중당 1976
53 김남천, "김남천 전집1" 박이정 2000
54 강헌국, "기억의 연금술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성격 연구-" 한국학연구소 (33) : 209-233, 2010
55 이정화, "그리운 아버님 춘원" 우신사 1993
56 "개벽"
57 이광수, "감사와 사죄" 1922
58 신성환, "≪무정≫의 세 가지 연애담, 이성애와 나르시시즘 - ≪무정≫ 새롭게 다시 읽기의 한 방법" 한국언어문화학회 (62) : 153-190, 2017
59 정홍섭, "1970년대 초 농촌근대화 담론과 그 소설적 굴절 -이병주와 이문구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2) : 375-424, 2010
유동하는 텍스트(fluid text)와 북한 재현 양상-반디의 『고발』과 데보라 스미스(Deborah Smith)의번역 The Accusation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