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문화정책 주체의 운영실태 분석 -전국 광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Operation Status of Local Cultural Policy Subject -Focusing on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2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enact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s an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main actors of cultural policy enforceme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but the research on the operation and system of them is not active yet. In particular, the central government-wide uniform support system, whi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local administrative conditions or circumstances, is acting as a cause of making it difficult to promote cultural polici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system, workforce, budget structure, and project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16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that are the main actors of regional cultural poli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have different positions in terms of organization, workforce status, budget, and projec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o support the artistic creation of the central unit considering regional gaps, accumulate actual data through regular surveys by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and strengthen the role of coordinator of the Korea Regional Cultural Support Council.
      번역하기

      Since the enact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s an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plays an ...

      Since the enact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s an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main actors of cultural policy enforceme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but the research on the operation and system of them is not active yet. In particular, the central government-wide uniform support system, whi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local administrative conditions or circumstances, is acting as a cause of making it difficult to promote cultural polici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system, workforce, budget structure, and project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16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that are the main actors of regional cultural poli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have different positions in terms of organization, workforce status, budget, and projec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o support the artistic creation of the central unit considering regional gaps, accumulate actual data through regular surveys by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and strengthen the role of coordinator of the Korea Regional Cultural Support Counci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지역문화재단 설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광역문화재단은 지방분권화 시대에 문화정책 집행의 운영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중앙정부와 기초문화재단의 문화정책의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어 지역문화정책의 중요한 주체로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이들에 대한 운영이나 체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현재처럼 지역의 행정적 여건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중앙정부 중심의 일률적 지원체계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문화정책 추진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문화정책의 주체인 16개 광역문화재단의 여건을 분석하기 위해 조직 체계, 인력 현황, 예산 구조 및 사업 측면에서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 인력, 예산 및 사업에 있어서 지역문화재단 간 편차가 나타나고 여건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 간 격차를 고려한 중앙단위의 예술창작 지원, 광역문화재단의 정기조사를 통한 실태자료 축적, 한국지역문화지원협의회의 조정자 역할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지역문화재단 설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광역문화재단은 지방분권화 시대에 문화정책 집행의 운영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지역문화재단 설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광역문화재단은 지방분권화 시대에 문화정책 집행의 운영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중앙정부와 기초문화재단의 문화정책의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어 지역문화정책의 중요한 주체로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이들에 대한 운영이나 체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현재처럼 지역의 행정적 여건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중앙정부 중심의 일률적 지원체계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문화정책 추진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문화정책의 주체인 16개 광역문화재단의 여건을 분석하기 위해 조직 체계, 인력 현황, 예산 구조 및 사업 측면에서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 인력, 예산 및 사업에 있어서 지역문화재단 간 편차가 나타나고 여건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 간 격차를 고려한 중앙단위의 예술창작 지원, 광역문화재단의 정기조사를 통한 실태자료 축적, 한국지역문화지원협의회의 조정자 역할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준구, "프랑스의 지역발전 추진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7 (7): 93-114, 2003

      2 "충북문화재단"

      3 "충남문화재단"

      4 조태권, "창조적 문화융성을 위한 한국형 복합문화공간 설립 방안 연구" 성북문화원 2015

      5 김윤환, "창작공간 10년+10년+10년 and" 2018

      6 이기우,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 성과와 과제를 중심으로" 197-228, 2007

      7 김세훈, "지역문화진흥조례 제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739-761, 2015

      8 김세훈,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법제 정비 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86-198, 2013

      9 전훈, "지역문화진흥과 문화분권"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43-67, 2016

      10 채경진, "지역문화재단의 재원 확보 방안. 부천을 바라본 6가지시선" 부천문화재단 2016

      1 배준구, "프랑스의 지역발전 추진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7 (7): 93-114, 2003

      2 "충북문화재단"

      3 "충남문화재단"

      4 조태권, "창조적 문화융성을 위한 한국형 복합문화공간 설립 방안 연구" 성북문화원 2015

      5 김윤환, "창작공간 10년+10년+10년 and" 2018

      6 이기우,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 성과와 과제를 중심으로" 197-228, 2007

      7 김세훈, "지역문화진흥조례 제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739-761, 2015

      8 김세훈,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법제 정비 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86-198, 2013

      9 전훈, "지역문화진흥과 문화분권"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43-67, 2016

      10 채경진, "지역문화재단의 재원 확보 방안. 부천을 바라본 6가지시선" 부천문화재단 2016

      11 송경희, "지역문화재단의 운영역할 인식차이에 대한 분석 연구" 4 (4): 56-84, 2011

      1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역문화재단의 운영성과 분석 및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2011

      13 금성희, "지역문화재단 책임성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20 (20): 211-236, 2018

      14 박상언, "지역문화재단 리더십의 구성요인과 모형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15 한국지역문화지원협의회, "지역문화예술지원 중기전략 지역 2.0 연구" 2013

      16 백옥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문화재단간 거버넌스 실태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1 (31): 130-157, 2017

      17 "제주문화예술재단"

      18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19 "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

      20 임학순, "자치분권시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지역문화재단의 예술협치방향과 과제" 2019

      21 구견서, "일본의 지역문화정책" 대명프린팅 2018

      22 "인천문화재단"

      23 "울산문화재단"

      24 김홍환, "역대정부 지방분권과제와 성과에 대한 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2 (32): 3-34, 2018

      25 김해보,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으로 파악하는 지역문화재단의 현재와 미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29): 26-53, 2015

      26 "세종시문화재단"

      27 민웅기, "성찰적 여가활동으로서의 문화관광의 의미 - 욕구의 개인화와 생활문화적 시민권 개념을 중심으로 -" 관광연구소 24 (24): 123-143, 2012

      28 "서울문화재단"

      29 "부산문화재단"

      30 이주영, "문화재단의 연극 지원 사업 연구 - 서울・부산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18): 77-93, 2017

      31 주상현, "문화와 지방자치" 2285-2296, 2018

      32 정경미, "문화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지역문화재단 효율적 운영 방안 - 서울문화재단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321-332, 2019

      33 "대전문화재단"

      34 "대구문화재단"

      35 "국가통계포털 kosis"

      36 "국가법령정보센터"

      37 "광주문화재단"

      38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광역자치단체, 자체 지역균형발전정책 추진시스템이필요하다" 65 : 2019

      39 박은경, "공공문화재단의 메세나 지원사업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4

      40 "경상북도"

      41 "경남문화예술진흥원"

      42 "경기문화재단"

      43 "강원문화재단"

      44 문화체육관광부, "2018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문화체육관광부 2018

      45 지역문화진흥원, "2018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사업 성과평가 연구결과보고서" 2019

      46 문화체육관광부, "2018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8

      47 조정윤, ""지역문화재정과 지역문화재단의 자율성 확대 방안,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37-5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6 0.6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