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t the Post-Soviet Times : Case study on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erg, Rus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2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South-Korean culture and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was started from the Post-Soviettimes. Furthermore, when they contact and accept South-Korean culture, they can reproduce new korean culture. In this process, the glocalizaton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has occurred. This phenomenon can regard as one of the global model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o vitalize studies on Korean dance activities in the Korean diaspora’s cultur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mbers of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urg, Russia, who learn South-Korean culture(Korean, Korean traditional dance, Samulnori etc.). Including 9 adult dancers, who learn and perform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1 year to 10 years at the dance company <SOUN>, which was founded in 2003.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literature research, 2 questionnaire polls(2008, 2011) and 2 semi-structured interviews(2008, 2011).
      번역하기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South-Korean culture and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was started from the Post-Soviettimes. Furthermore, when they contact and accept South-Korean culture, they can reproduce new korean culture. In this process, the glocalizaton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has occurred. This phenomenon can regard as one of the global model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o vitalize studies on Korean dance activities in the Korean diaspora’s cultur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mbers of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urg, Russia, who learn South-Korean culture(Korean, Korean traditional dance, Samulnori etc.). Including 9 adult dancers, who learn and perform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1 year to 10 years at the dance company <SOUN>, which was founded in 2003.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literature research, 2 questionnaire polls(2008, 2011) and 2 semi-structured interviews(2008, 2011).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한인들의 러시아로의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그리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의 특징을 통해 한국문화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한국문화 향유방식을 센터 <난>에서 한국문화(한국어, 전통무용, 사물놀이 등)를 배우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2회(2008, 2011)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2003년에 창단된 한국전통무용단 소운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한인 및 러시아인들과의 반 구조화된 면담 2회(2008, 2011)를 통해 한국 전통춤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 전통춤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그들만의 문화로 재생산 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전통춤 활동의 현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 현지화 모델의 한예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 전통춤의 중요성을 되집어 보고, 한국문화 연구에 있어서 재외한인들의 전통춤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한인들의 러시아로의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그리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의 특징을 통해 한국문화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한국문화 향유방식을 센터 <난>에서 한국문화(한국어, 전통무용, 사물놀이 등)를 배우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2회(2008, 2011)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2003년에 창단된 한국전통무용단 소운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한인 및 러시아인들과의 반 구조화된 면담 2회(2008, 2011)를 통해 한국 전통춤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 전통춤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그들만의 문화로 재생산 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전통춤 활동의 현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 현지화 모델의 한예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 전통춤의 중요성을 되집어 보고, 한국문화 연구에 있어서 재외한인들의 전통춤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Ⅰ. 서론 2
      • Ⅱ. 러시아의 한인들과 한인문화 6
      • 1. 한인들의 러시아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6
      • 2.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 11
      • 국문초록 1
      • Ⅰ. 서론 2
      • Ⅱ. 러시아의 한인들과 한인문화 6
      • 1. 한인들의 러시아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6
      • 2.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 11
      • 3.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 12
      • Ⅲ.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과 한국 전통춤 14
      • 1.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한국문화의 현황(설문조사) 14
      • 2. 한국 전통춤을 통한 내적변화(면담 결과) 17
      • Ⅳ. 결론 및 제언 러시아 22
      • Abstract 3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해리, "현행되는 연변 조선민족무용의 종류와 특징" 한국무용기록학회 6 : 143-163, 2004

      2 장윤수,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문화 네트워크" 북코리아 2010

      3 양민아,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 속의 한국 전통 춤의 사회적 역할 –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15 : 1-31, 2008

      4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5 이애리아,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고려극장" (2) : 226-233, 2002

      6 유미희, "중국 조선족 무용특징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7 (27): 197-220, 2013

      7 김해금,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문화사적 변모 양상" 중앙대학교 2008

      8 한영혜, "재일조선인 사회 민족무용의 전승과 아이덴티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1) : 318-351, 2009

      9 김채원, "재일조선인 무용 연구-금강산가극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3 (53): 39-54, 2007

      10 임채완, "재외한인 문화예술 네트워크" 북코리아 2008

      1 최해리, "현행되는 연변 조선민족무용의 종류와 특징" 한국무용기록학회 6 : 143-163, 2004

      2 장윤수,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문화 네트워크" 북코리아 2010

      3 양민아,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 속의 한국 전통 춤의 사회적 역할 –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15 : 1-31, 2008

      4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5 이애리아,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고려극장" (2) : 226-233, 2002

      6 유미희, "중국 조선족 무용특징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7 (27): 197-220, 2013

      7 김해금,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문화사적 변모 양상" 중앙대학교 2008

      8 한영혜, "재일조선인 사회 민족무용의 전승과 아이덴티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1) : 318-351, 2009

      9 김채원, "재일조선인 무용 연구-금강산가극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3 (53): 39-54, 2007

      10 임채완, "재외한인 문화예술 네트워크" 북코리아 2008

      11 "재외동포 현황"

      12 이광규, "재소한인:인류학적 접근" 집문당 1993

      13 이광규, "재소원동 한인의 문화와 생활" 2 (2): 1-23, 1992

      14 임율리아, "우즈베키스탄 민족정책과 고려인 민족정체성에 대한 연구 : 고려인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7

      15 "소비에트 대백과사전(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78

      16 임영상,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한국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17 방일권,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 3-4세대의 의식과 생활문화" (13) : 85-133, 2001

      18 현주, "베를린 한인무용단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1

      19 황영삼, "모스크바 고려인 3-4세대의 의식과 생활문화" (13) : 53-83, 2001

      20 김발레리아, "러시아 고려인들의 민족예술단-아리랑예술단" (2) : 223-225, 2002

      21 반병률, "韓國史市民講座 28" 일조각 65-89, 2001

      22 Бурнаев А.Г., "Культура этноса, воплощенная в танце" 2002

      23 Петров А.И., "Корейская диаспора в России 1897-1917 гг" 2001

      24 Ким Г.Н., "История иммиграции корейцевю Книга первая.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IXв.-1945г" 1999

      25 엄혜진,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26 양민아, "1920년대 러시아한인예술단 내한공연의 무용사적 의미: 디아스포라 문화연구의 관점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4 : 35-59, 2014

      27 Пак Б.Д., "140 лет в России" ИВ РАН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73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