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해리, "현행되는 연변 조선민족무용의 종류와 특징" 한국무용기록학회 6 : 143-163, 2004
2 장윤수,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문화 네트워크" 북코리아 2010
3 양민아,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 속의 한국 전통 춤의 사회적 역할 –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15 : 1-31, 2008
4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5 이애리아,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고려극장" (2) : 226-233, 2002
6 유미희, "중국 조선족 무용특징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7 (27): 197-220, 2013
7 김해금,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문화사적 변모 양상" 중앙대학교 2008
8 한영혜, "재일조선인 사회 민족무용의 전승과 아이덴티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1) : 318-351, 2009
9 김채원, "재일조선인 무용 연구-금강산가극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3 (53): 39-54, 2007
10 임채완, "재외한인 문화예술 네트워크" 북코리아 2008
1 최해리, "현행되는 연변 조선민족무용의 종류와 특징" 한국무용기록학회 6 : 143-163, 2004
2 장윤수,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문화 네트워크" 북코리아 2010
3 양민아,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 속의 한국 전통 춤의 사회적 역할 –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15 : 1-31, 2008
4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5 이애리아,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고려극장" (2) : 226-233, 2002
6 유미희, "중국 조선족 무용특징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7 (27): 197-220, 2013
7 김해금,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문화사적 변모 양상" 중앙대학교 2008
8 한영혜, "재일조선인 사회 민족무용의 전승과 아이덴티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1) : 318-351, 2009
9 김채원, "재일조선인 무용 연구-금강산가극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3 (53): 39-54, 2007
10 임채완, "재외한인 문화예술 네트워크" 북코리아 2008
11 "재외동포 현황"
12 이광규, "재소한인:인류학적 접근" 집문당 1993
13 이광규, "재소원동 한인의 문화와 생활" 2 (2): 1-23, 1992
14 임율리아, "우즈베키스탄 민족정책과 고려인 민족정체성에 대한 연구 : 고려인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7
15 "소비에트 대백과사전(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78
16 임영상,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한국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17 방일권,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 3-4세대의 의식과 생활문화" (13) : 85-133, 2001
18 현주, "베를린 한인무용단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1
19 황영삼, "모스크바 고려인 3-4세대의 의식과 생활문화" (13) : 53-83, 2001
20 김발레리아, "러시아 고려인들의 민족예술단-아리랑예술단" (2) : 223-225, 2002
21 반병률, "韓國史市民講座 28" 일조각 65-89, 2001
22 Бурнаев А.Г., "Культура этноса, воплощенная в танце" 2002
23 Петров А.И., "Корейская диаспора в России 1897-1917 гг" 2001
24 Ким Г.Н., "История иммиграции корейцевю Книга первая.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IXв.-1945г" 1999
25 엄혜진,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26 양민아, "1920년대 러시아한인예술단 내한공연의 무용사적 의미: 디아스포라 문화연구의 관점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4 : 35-59, 2014
27 Пак Б.Д., "140 лет в России" ИВ РАН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