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eonggisin (精氣神) theory of Huangdi neijing (黃帝內經) was continued and completed by Dongui bogam (東醫寶鑑), which consistently viewed the jeonggisin structure as what fundamentally constituted the human body. In this system, jeong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92292
김만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Korean
황제내경(黃帝內經 ; Huangdi Neijing) ; 동의보감(東醫寶鑑 ; Dongui Bogam) ; 정기신(精氣神 ; Jeonggisin) ; 명리학(命理學 ; Myeongli Science) ; 육신(六神 ; Six Gods) ; 십성(十星 ; Ten Stars) ; 사주명리(四柱命理 ; Saju Myeongli)
KCI등재
학술저널
109-148(4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eonggisin (精氣神) theory of Huangdi neijing (黃帝內經) was continued and completed by Dongui bogam (東醫寶鑑), which consistently viewed the jeonggisin structure as what fundamentally constituted the human body. In this system, jeong ...
The jeonggisin (精氣神) theory of Huangdi neijing (黃帝內經) was continued and completed by Dongui bogam (東醫寶鑑), which consistently viewed the jeonggisin structure as what fundamentally constituted the human body. In this system, jeong (精), the source of life, gi (氣), the driving force that maintained life, and sin (神), the manifestation of life, are seen as close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Given the relationship among jeong, gi, and sin—i.e., gi comes from jeong, sin comes from gi, and sin again becomes the premise of jeong, while at the same time they organically interact (相應) with one another—the relationship among the jeonggisin of the human life (body) is similar in concept and structure with that among the Six Gods (六神) of abisikjaegwanin (我比食財官印), the elements of divination in Myeongli science.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jeonggisin system of Huangdi neijing and Dongui bogam together with the Six Gods system of Myeongli Science and considers the application of the former theor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is new method of referring to the jeonggisin theory of oriental medicine in the interpretation of abisikjaegwanin in Myeongli Science may prove to be a more correct, systematic, and reasonable way of inferring the various elements influencing human destiny, such as social status and honor, human relationships, knowledge and technology, food, clothing, shelter, and property, rights and duties, life and health, as well as familial and blood relations including parents, siblings, spouses, and children.
국문 초록 (Abstract)
황제내경의 정기신(精氣神) 관점을 계승한 동의보감은 사람 몸을 이루는 근본을 일관되게 ‘ 정기신’ 구조로 파악하고 이를 완성하였다. 정(精)은 사람 생명의 근원이고, 기(氣)는 생명을 ...
황제내경의 정기신(精氣神) 관점을 계승한 동의보감은 사람 몸을 이루는 근본을 일관되게 ‘ 정기신’ 구조로 파악하고 이를 완성하였다. 정(精)은 사람 생명의 근원이고, 기(氣)는 생명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며, 신(神)은 생명이 발현되는 작용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관된다.
정에서 기가 나오고 기에서 신이 나오고 신은 다시 정의 전제가 되며 유기적으로 상응(相應)한다는 점에서 사람 생명[몸]의 ‘ 정기신’ 관계는 명리학에서 사람 운명 길흉의 해석 요소인 ‘ 아비식재관인(我比食財官印)’의 육신(六神) 관계와 매우 유사한 개념과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황제내경과 동의보감의 정기신과 명리학에서 육신 계통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정기신론을 명리학의 육신 해석에 적용하는 문제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명리학의 ‘ 아비식재관인’ 육신을 동양의학의 ‘ 정기신’ 관점과 연관해서 해석할 경우 부모・형제・배우자・자식과 같은 가족・혈연관계를 비롯하여 사회적 지위・명예, 인간관계, 지식・기술, 의식주・재산, 권리・의무, 수명・건강 등사람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이며 올바 르게 추론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진, "황제내경의 정기신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2
2 장치청,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 판미동 2017
3 김완희, "한의학원론" 성보사 2003
4 이재승, "사주 십성(十星)의 계량화(計量化)와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887-924, 2019
5 김만태, "명리학의 한국적 수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5
6 박석준, "동의보감, 과학을 논하다" 바오 2015
7 유희, "동양 최고의 수학서, 구장산술" 서해문집 1998
8 윤찬원, "도교철학의 이해" 돌베개 1998
9 "黃帝內經靈樞"
10 "黃帝內經素問"
1 박기진, "황제내경의 정기신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2
2 장치청,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 판미동 2017
3 김완희, "한의학원론" 성보사 2003
4 이재승, "사주 십성(十星)의 계량화(計量化)와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887-924, 2019
5 김만태, "명리학의 한국적 수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5
6 박석준, "동의보감, 과학을 논하다" 바오 2015
7 유희, "동양 최고의 수학서, 구장산술" 서해문집 1998
8 윤찬원, "도교철학의 이해" 돌베개 1998
9 "黃帝內經靈樞"
10 "黃帝內經素問"
11 "袁天綱五星三命指南"
12 김필수, "管子" 소나무 2010
13 劉伯溫, "滴天髓闡微" 武陵出版有限公司 1997
14 徐升, "淵海子平評註" 武陵出版有限公司 1996
15 홍원식, "校勘直譯 黃帝內經靈樞" 전통문화연구회 2010
16 홍원식, "校勘直譯 黃帝內經素問" 전통문화연구회 1994
17 鞠淳鎬, "東醫寶鑑의 精氣神에 關한 文獻的 考察" 大田大學校 大學院 1998
18 김종민, "命理學 六親論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2008
19 고희상, "『동의보감』의 생명관 연구 : 정·기·신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3
20 송기수, "『黃帝內經』의 精・氣・神에 관한 小考" 3 (3): 23-29, 2014
21 이상천, "『適天髓闡微』 「六親論」에 관한 硏究"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6
22 "『漢書』 「藝文志」"
23 김중권, "『東醫寶鑑』의 文獻的 硏究: 引用文獻을 중심으로" 11 : 207-243, 1995
24 "『周易』 「繫辭上傳」"
25 허준, "(對譯)東醫寶鑑" 동의보감출판사 2010
언어적, 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 드라마 제목의 터키어 번역 양상 및 특징
체코 찰스(Charles) 대학의 한국학 운영 현황과 과제: 인문대학(Filozofická Fakulta[Faculty of Arts]) 한국학 전공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2 | 1.26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