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第二次世界大戰期 인도네시아로 動員된 朝鮮人 女性의 看護婦 編入에 관한 硏究 -留守名簿를 중심으로- = Inclusion of the Korean Women in Nurses by the Japanese Military in Indonesia after the World War I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ere thousands of Koreans in Indonesia when Japan defeated in World War II. Some documents, such as the Rusumeibo(留守名簿 absentees’ list) and Fukuinmeibo(復員名簿, returned people’s list) made by the Japanese military forces and Li...

      There were thousands of Koreans in Indonesia when Japan defeated in World War II. Some documents, such as the Rusumeibo(留守名簿 absentees’ list) and Fukuinmeibo(復員名簿, returned people’s list) made by the Japanese military forces and List of the Korean Society in Palembang(「팔렘방조선인회명부」 in korean) and List of the Korean Society in Balikpapan(「남방조선인회명부」 in korean) made by Koreans, reveal that 361 Korean women were there as temporary nurses and employees in the Ninth and Tenth Nanpo Army Hospital List or as employees in the 102nd fuel arsenal in List of the Korean Society in Balikpapan. In this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s of the women and the reason why the Japanese military forces put their names in the lists as nurses and employees of the military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war.
      The Japanese forces included them in the lists because the headquarters of the Japanese army and navy made an order that any women who had worked in comfort stations in Singapore and Indonesia, regardless of being Koreans, Japanese or Taiwanese, should be transferred into nurses. Of the women in the lists, those who recently reported their cases to the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women listed in the List of Korean Society in Palembang, were all ‘comfort women’ and in a few cases, managers of the ‘comfort stations’. Also, in the memories of Korean men who were mobilized to this area and stayed more than three years, most of the Korean women were ‘comfort women.’ Japanese women were employed in the army and the trading company or ‘comfort women.’ While Japanese forces included Japanese women in the military to protect them and to use their labor forces, they included Korean women because they did not want to show ‘comfort women’ existence to the Allied Forces. This Difference is caused by the colonial discrimination.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第二次世界大戦で日本が敗れた時に、インドネシアには日本が動員した数千人の朝鮮人がいた。かれらの中で一部は、様々な名簿に掲載されているが、日本軍が作った留守名簿と復員名...

      第二次世界大戦で日本が敗れた時に、インドネシアには日本が動員した数千人の朝鮮人がいた。かれらの中で一部は、様々な名簿に掲載されているが、日本軍が作った留守名簿と復員名簿、あるいは帰還の時に朝鮮人が作ったパレムバン朝鮮人名簿、南方朝鮮出身者名簿)には、約361人の朝鮮人女性の名前が登載されていた。日本軍が作成した南方第5、9、10陸軍病院の留守名簿には、朝鮮人女性たちの身分を(臨時)看護婦や傭人として記録し、南方朝鮮出身者名簿には、彼女たちを第102燃料廠の所属として記録した。この論文は、この女性たちが名簿に載るようになった背景、彼女たちの身分、日本軍が彼女たちを軍属に編入した意図など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目的を置いた。日本軍が朝鮮人女性たちを留守名簿などに収録して日本軍に編入させたのは、敗戦直後、インドネシアなどの地を管轄していた日本陸海軍司令部(第7方面軍、第10方面艦隊)が、シンガポールとインドネシアにいた‘邦人’(日本人、朝鮮人、台湾人など旧日本帝国民)の女性と慰安所関連業に従事していた‘邦人’の女性を、病院に臨時看護婦として編入しろという命令のためであっ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ところが、名簿に収録された朝鮮人女性の中で、韓国政府に届け出た被害者たちはいずれも軍慰安被害者であり、パレムバン朝鮮人会に所属している女性たちも慰安所の管理者でない場合は、すべて軍“慰安婦”被害者であった。さらに、この地域に動員され、3~4年以上在留し、この女性たちと一緒に帰還した朝鮮人男性たちの記憶や、日本人の記憶にも朝鮮人の女性は軍慰安婦だった。このような朝鮮人女性に比べて、日本人女性は会社の従業員や、軍政庁などの軍属·軍慰安婦などだった。これは、植民地人に対する差別から始まった。インドネシアにいた日本人女性を看護婦として編入した日本軍の意図は彼女たちの保護と労働力の活用にあったことに対し、朝鮮が解放された時点になってほとんどが軍慰安婦であった朝鮮人女性たちを日本軍に編入した意図は連合軍に軍慰安婦としての存在を隠蔽するためだった。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스모이’, ‘스파-크’에 있어서의 일본군의 槪要, 野宮부대(제102해군연료창)」과 「제102 해군연료창(보르네오)총무부 보관 전후처리 관련 서류철」(방위성 방위연구소 도서관 소장)"

      2 林博史, "林博史, 일본군‘위안부’에 관한 연구자료동향" 2008

      3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한국위원회·한국정신대연구소. In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5" 풀빛 2001

      4 매일신보, "포연탄우의 일선에 반도여성들의 진군, 일적구호간호부로 14명 합격"

      5 매일신보, "천사부대 전선으로, 금일, 적십자 간호부 일행 勇躍 출발"

      6 "조선의 처녀여 빠짐없이 응모하라, 皆川소장 백의천사를 말하다"

      7 강정숙, "일본군 ‘위안부’제의 식민성 연구" 성균관대 2010

      8 강정숙,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조선인 명부를 통해 본 군‘위안부’ 동원" 부경역사연구소 (28) : 277-318, 2011

      9 정영옥, "이외 면담자 목록에 대해서는 보고서" 161-162, 2006

      10 池谷好治, "위안부’ 원호실례에 관한 국회심의" (33) : 2001

      1 "「‘스모이’, ‘스파-크’에 있어서의 일본군의 槪要, 野宮부대(제102해군연료창)」과 「제102 해군연료창(보르네오)총무부 보관 전후처리 관련 서류철」(방위성 방위연구소 도서관 소장)"

      2 林博史, "林博史, 일본군‘위안부’에 관한 연구자료동향" 2008

      3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한국위원회·한국정신대연구소. In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5" 풀빛 2001

      4 매일신보, "포연탄우의 일선에 반도여성들의 진군, 일적구호간호부로 14명 합격"

      5 매일신보, "천사부대 전선으로, 금일, 적십자 간호부 일행 勇躍 출발"

      6 "조선의 처녀여 빠짐없이 응모하라, 皆川소장 백의천사를 말하다"

      7 강정숙, "일본군 ‘위안부’제의 식민성 연구" 성균관대 2010

      8 강정숙,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조선인 명부를 통해 본 군‘위안부’ 동원" 부경역사연구소 (28) : 277-318, 2011

      9 정영옥, "이외 면담자 목록에 대해서는 보고서" 161-162, 2006

      10 池谷好治, "위안부’ 원호실례에 관한 국회심의" (33) : 2001

      1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부설 전쟁과여성인권센터, "역사를 만드는 이야기-증언집 6" 여성과 인권 2004

      12 이득남, "만주, 한구, 그리고 고도라지아를 전전하며. In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1" 208-209,

      13 이후남, "다시 태어나면 난 여자 되기 싫어요. In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5"

      14 장점돌, "느그들이 와서 보상하고 우리한테 와 빌어라(최기자 정리), 역사를 만드는 이야기, 일본군 ‘위안부’ 증언집 6" 여성과인권 251-, 2004

      15 "남방제1육군병원약력, 일본 昭和館 소장"

      16 "남방제10육군병원 약력, 昭和館 소장"

      17 이상문, "김은식 면담(민족문제연구소 소장자료)"

      18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국회 일본군 ‘위안부’문제 연구모임, ‘여성과 인권’ 관련 UN 자료집"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45-, 1998

      19 김복동, "광동, 홍콩, 싱가포르, 인도네시아를 전전하며(정진성 정리),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2"

      20 손판임,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군위안부들 2" 78-,

      2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신대연구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증언집 1" 한울 1993

      22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한국정신대연구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2" 한울 1997

      23 박재실, "강정숙 면담"

      24 오성근, "강정숙 면담"

      25 佐藤サイ, "陸看の戦争体験"

      26 防衛廳, "防衛硏修所 戰史編纂室" 戰史叢書 陸海軍年表 527-,

      27 南方第9陸軍病院, "部隊略歷" 방위성 방위연구소 도서관 소장 1946

      28 內海愛子, "赤道에 지다" 도서출판 국문 211-215, 1982

      29 이로이로 환자요양소, "検黴성적에 관한 件 통보"

      30 江口次郞, "昭和十八年徵集現役兵の記錄" 南五會

      31 坂本正器, "日本海軍編制事典" 芙蓉書房出版 2003

      32 馬來軍政監部, "政規定集" 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3) : 21-43, 1943

      33 池谷好治, "投稿(調査報告) 慰安婦補償に関する一考察-援護実績の示唆するものとは" 鉄道弘済会社会福祉部 鉄道弘済会社会福祉部 編 2003

      34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戰史叢書 陸海軍年表" 朝雲出版社 1980

      35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戰史叢書 南西方面陸軍作戰-馬來蘭印防衛" 朝雲新聞社 1976

      36 防衛廳 防衛硏修所 戰史室, "戰史叢書 南西方面陸軍作戰-馬來蘭印防衛" 防衛廳 防衛硏修所 戰史室 385-,

      37 戦前期官僚制研究会, "戦前期日本官僚制の制度·組織·人事" 東京大学出版会 725-726, 1981

      38 國書刊行會, "寫眞集 陸海軍80年" 國書刊行會 327-, 1978

      39 森松俊夫, "圖設 陸軍史" 建帛社 32-, 1991

      40 古屋五郞, "南方第九陸軍病院" ほるぷ出版 15-, 1989

      41 南五會, "南五戰史" 162-163,

      42 南五會, "南五戰史" ウニスが印刷株式会社 355-357, 1979

      43 林博史, "公文書·天皇關係書類の폐기と‘위안부’隱し" (63) : 2009

      44 十時好子, "スラバヤ海軍病院 ポツダム看護婦の証言" 安信印刷工業株式会社 87-91, 2002

      45 間宮靜子, "ジャワ島南方第五陸軍病院勤務" 日本赤十字社 愛知縣支部편 195-, 1980

      46 作本照子, "やっぱり青春(私の俘虜記)" 1-2, 1986

      47 "http://yokohama.cool.ne.jp/dragons4/iryousi.htm"

      48 "http://yokohama.cool.ne.jp/ dragons4/ jouhou.htm"

      49 "http://neitobi.pinoko.jp/19450815.html"

      50 "George Hicks, The Comf"

      51 강도아, "2005.4.14·15, 2006.12.1. 강정숙·박승미 면담(보고서 80~81쪽, 266~ 352쪽 참고)"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1.46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