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도구로 다문화문학을 제안하고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다문화문학을 정의하며 다문화문학의 내용 분석을 통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80961
서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다문화가정교육 , 2013. 8
2013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원진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도구로 다문화문학을 제안하고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다문화문학을 정의하며 다문화문학의 내용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도구로 다문화문학을 제안하고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다문화문학을 정의하며 다문화문학의 내용 분석을 통해 다문화문학 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다문화문학을 문학적 범주와 문화적 범주로 나누어 내용을 분석하고 두 가지 범주에 따른 선정 기준을 제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논문에서는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도구로 다문화문학을 제안하였다. 다문화문학은 작품이 배경으로 묘사하는 특정 문화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등장인물의 경험과 감정을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자신과 다른 인종적,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을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문화적 사실성이나 정확성이 결여되어 있거나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다문화문학은 특정 집단이나 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심어주기 쉽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의 도구로서 다문화문학은 문학적 가치와 동시에 문화적 가치를 지닌 작품이어야 한다. 다문화문학을 통해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기에 앞서 가치 있는 다문화문학을 선정하는 작업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다문화문학을 정의하고 다문화문학을 문학적 요소로 문화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문학 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다문화문학의 정의에 대해 학자마다 다양한 견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문학이 언어적, 문화적, 인종적으로 주류가 아닌 사람들에 대한 문학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다문화문학을 결혼이민지와 이주노동자, 탈북자의 한국 정착기를 그린 문학, 그들의 민족 집단과 출신 국가를 배경으로 그들의 문화가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문학으로 정의하고 국내에 출판된 다문화문학 중 30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 아동문학 선정 기준 및 아동다문화문학 선정 기준에 대한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문학적 범주의 분석 요소로 인물, 갈등의 양상, 사건의 해결 방식, 주제를 설정하고 문화적 범주의 분석 요소로 소수집단의 문화, 다수자의 편견 및 고정관념을 설정하였다.
다문화문학에 묘사된 등장인물의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은 피부색이 까무잡잡하고 쌍꺼풀이 짙거나 눈이 큰 모습으로 정형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또 성격은 소극적이고 자기방어적인 모습과 함께 폭력적인 말과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은 선악의 양분화된 모습으로 묘사된 작품이 많았다. 갈등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인물 내적 갈등은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이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과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이 다수자로서 경험하는 내적 갈등으로 유형화되어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이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의 경우 그 원인이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의 편견과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묘사된 작품이 많았다. 특히 불법 체류자의 경우 단속과 추방에 대한 두려움에 시달리는 것으로 묘사된 작품이 많았고, 이주노동자 가정이 경험하는 교육, 의료, 복지 제도에서의 소외 현상도 묘사되었다. 인물과 인물간의 갈등은 다문화가정 내에서 가족 구성원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과 다문화가정 등장인물과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인물과 사회와의 갈등은 이주노동자의 인권과 처우에 대한 국내 법과 제도에서 주로 나타났다. 사건의 해결 방식 분석 결과 자력 해결의 경우 등장인물의 의식과잉과 높은 도덕적 사고가 두드러졌으며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이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을 조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양상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견되었다. 다문화문학이 추구하는 주제는 차별과 편견의 제거 및 다양성 존중, 우정, 소수 집단의 긍정적 자아정체성, 가족애, 타문화 이해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문화적 범주에서 소수집단 문화가 묘사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소수집단의 언어는 인사말과 같은 기초적 회화 표현이 주를 이루었으며 북한을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문학의 경우 남북한 언어 차이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문화 요소는 전통 음식이나 전통 의상과 같은 생활 방식이었으나 이러한 전통이 다문화가정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것으로 묘사되기보다는 특별한 날, 특별한 계기에 의해 재현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이주목적에 따라 결혼이주여성과 이주노동자, 탈북자에 대한 다수자의 편견 및 고정관념이 묘사되어 있었고 출신 국가의 경우 일본을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에 대한 다수자의 편견 및 고정관념이 묘사되어 있었다. 이주해 온 국가가 한국에 비해 경제적 발전이 느린 경우 이에 대한 다수자의 편견과 고정관념이 폭력적인 언어와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위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아동 다문화문학 선정 기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학적 측면의 선정 기준은 ‘등장인물의 외모와 성격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