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농간 교육격차에 관한 가정 및 학교배경의 효과 분석 = The Analysis of Family and School Effect on Educational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7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home and school effect on educational gal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EDI'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1~3」were analyzed. As for data analysis, SPSS for Windows 18.0 program and HLM 6.0 for Windows program were used to conduct analyses of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complishment gap of students is mostly based on the family background, especially the educational expectation of parents an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educational accomplishment of students is depended on what the students experience in school even if having same family background however the size or financial condition of school influenced not much as expec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identified that education achieve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caused due to difference of family backgr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imary phenomenon based on above result, and to consider some support policies on the preferential basis. Second, the size or financial condition of school has a little effect on education achievement. Therefore, it would be useful to suggest support policies regarding that school in the rural absorbs some functions which could not meet family in the area compared to urban area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home and school effect on educational gal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EDI'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1~3」were analyzed. As for data analysis, SPSS for Windows 18.0 program and HLM 6.0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home and school effect on educational gal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EDI'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1~3」were analyzed. As for data analysis, SPSS for Windows 18.0 program and HLM 6.0 for Windows program were used to conduct analyses of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complishment gap of students is mostly based on the family background, especially the educational expectation of parents an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educational accomplishment of students is depended on what the students experience in school even if having same family background however the size or financial condition of school influenced not much as expec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identified that education achieve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caused due to difference of family backgr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imary phenomenon based on above result, and to consider some support policies on the preferential basis. Second, the size or financial condition of school has a little effect on education achievement. Therefore, it would be useful to suggest support policies regarding that school in the rural absorbs some functions which could not meet family in the area compared to urban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도·농간 교육격차와 관련하여 가정배경 효과와 학교배경 효과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1, 2, 3차년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for Windows 18.0 프로그램과 HLM 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위계적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성취에서 나타나는 도·농간의 격차는 도·농이라는 지역수준에서 발생하는 격차라기보다는 상당부분 가정배경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의 교육기대 및 사교육투자 여부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수준의 가정배경을 가진 학생일지라도 학교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느냐에 따라서 교육성취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다만 학교의 규모 및 예산 규모가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대되는 것만큼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간에 발생하는 교육성취의 차이가 가정배경의 차이에서 가장 많이 기인하는 만큼, 가정배경의 차이가 교육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지원해주는 형식의 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의 규모나 재정 상태가 학생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생각보다 크지 않으며, 따라서 도시지역의 가정과 비교하여 농촌지역의 가정에서 상대적으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능들을 농촌지역의 학교에서 흡수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도·농간 교육격차와 관련하여 가정배경 효과와 학교배경 효과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1, 2, 3차년...

      이 연구는 도·농간 교육격차와 관련하여 가정배경 효과와 학교배경 효과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1, 2, 3차년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for Windows 18.0 프로그램과 HLM 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위계적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성취에서 나타나는 도·농간의 격차는 도·농이라는 지역수준에서 발생하는 격차라기보다는 상당부분 가정배경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의 교육기대 및 사교육투자 여부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수준의 가정배경을 가진 학생일지라도 학교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느냐에 따라서 교육성취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다만 학교의 규모 및 예산 규모가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대되는 것만큼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간에 발생하는 교육성취의 차이가 가정배경의 차이에서 가장 많이 기인하는 만큼, 가정배경의 차이가 교육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지원해주는 형식의 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의 규모나 재정 상태가 학생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생각보다 크지 않으며, 따라서 도시지역의 가정과 비교하여 농촌지역의 가정에서 상대적으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능들을 농촌지역의 학교에서 흡수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하남, "한국사회의 교육계층화 연령코호트간 변화와 학력단계별 차이" 한국사회학회 37 (37): 2-65, 2003

      2 김경근,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7, 2006

      3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4 김양분, "한국 교육 현황 분석:지역 간 학교 간 교육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5 김양분, "학교 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중학교"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04

      6 신혜련, "평준화 지역 중학교의 교육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2006

      7 김재흥, "지역간·계층간 교육여건 및 학력격차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2006

      8 유정진,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한국아동학회 27 (27): 169-187, 2006

      9 강영혜,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 분야 대책수립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05

      10 오호영, "소득계층과 학업성취도" 2006

      1 방하남, "한국사회의 교육계층화 연령코호트간 변화와 학력단계별 차이" 한국사회학회 37 (37): 2-65, 2003

      2 김경근,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7, 2006

      3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4 김양분, "한국 교육 현황 분석:지역 간 학교 간 교육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5 김양분, "학교 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중학교"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04

      6 신혜련, "평준화 지역 중학교의 교육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2006

      7 김재흥, "지역간·계층간 교육여건 및 학력격차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2006

      8 유정진,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한국아동학회 27 (27): 169-187, 2006

      9 강영혜,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 분야 대책수립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05

      10 오호영, "소득계층과 학업성취도" 2006

      11 배성의, "성별 · 지역간 사회교육 기회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6 (16): 37-47, 2005

      12 이정선, "사회자본 구축을 통한 농어촌 학생의 학업격차 개선방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31-150, 2005

      13 김미란, "사교육 의존도가 낮은 학교특성 분석 연구: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8

      14 김미숙, "사교육 실태 조사 및 사교육비 경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5 최상근,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03

      16 방하남, "변화와 세습:한국 사회의 세대간 지위세습 및 성취구조" 35 (35): 1-30, 2001

      17 국민경제자문회의, "동반성장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전략" 국민경제자문회의사무처 2006

      18 오성배, "도시와 시골지역 사이의 학업 성취도 격차 연구:목포시와 인근 지역의 자료 분석" 중앙대학교 2004

      19 김지종, "도서지역과 도시지역의 교육격차에 대한 연구" 창원대학교 2008

      20 민병성, "도농간 학교교육 격차의 근본 원인과 해소 방안 탐색" 20 : 77-97, 2006

      21 나승일,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35-57, 2007

      22 나승일,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교육혁신모형 개발" 농림수산식품부 2005

      23 김기헌, "단선형 학제 도입이 사회계층간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일본의 경우"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53-76, 2007

      24 김준엽, "능력모수 추정치를 이용한 학교효과성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위계적 선형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0

      25 최경환, "농촌학교의 활성화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26 성기선, "농산어촌 교육 실태 분석 및 교육복지 방안 연구:고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09

      27 강상진, "교육학의 미래와 다층모형" 30 (30): 437-456, 2003

      28 안우환, "교육소외 계층의 교육격차 극복을 위한 교육복지 정책의 발전방안 모색" 28 (28): 67-84, 2007

      29 여유진, "교육불평등과 빈곤의 대물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30 장상수, "교육기회의 불평등:가족 배경이 학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34 : 671-708, 2000

      31 김성식, "교육기회 획득에 대한 가정배경과 학교경험의 영향" 2006

      32 오욱환, "교육격차의 원인에 대한 직시: 학교를 넘어서 가족과 사회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11-133, 2008

      33 류방란, "교육격차: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34 강계의, "교육격차 해소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정의에 미친 영향:서울시 교육청 교육격차 해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2008

      35 임현정, "교사 및 교수·학습활동의 학업성취수준 결정변인 탐색" 2009

      36 김일혁,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와 가정배경 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2 (32): 193-221, 2005

      37 김기헌,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 한국과 일본의 경우" 한국사회학회 39 (39): 119-151, 2005

      38 류방란, "계층간 교육격차의 양상" 22 : 52-66, 2007

      39 박미나, "계층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6

      40 구인회,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5-32, 2003

      41 김기헌, "가족 배경이 교육단계별 진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38 (38): 109-142, 2004

      42 Haveman,R., "The determinants of children's attainments" 33 (33): 1829-1878, 1995

      43 Mare,R.D, "Social background and school continuation decisions" 75 (75): 295-305, 1980

      44 Duncan, G, "How much does childhood poverty affect the life chances of children" 63 : 406-423, 1998

      45 Raudenbush,S.W.,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2nd ed.)" Sage 2002

      46 Coleman,J.S, "Equality and achievement in education" Westview Press 1990

      47 Stolzenberg, "Educational continuation by college graduates" 99 : 1042-1077, 1994

      48 Wu,X, "Economic transition, school expansion, and educational inequality in China, 1999-2000" Population Studies Center 2007

      49 농촌진흥청, "2008 농촌지표"

      50 통계청, "2007년 사교육비실태조사 결과"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