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Competency Model for CEO in S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7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chief executive officer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To effectively accomplish this goal, the Starting from Scratch Method(Lucia & Lepsinger, 1999) was applied and 7 steps of procedure were designed.
      First, the outstanding CEOs based on their performance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nd the BEI(Behavior Event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interview. Second, the various behavioral cases of the CEOs were collected through the BEI method. Third, the potential competencies were derived by Lucia and Lepsinger's the 3-steps-analysis method,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etency was written. Then the competencies were structured and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Fourth,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verified by subject-matter experts. Fifth,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revised based on the subject-matter experts' advise. Sixth, the survey of importance level was conducted with the CEOs who were the awardees of the Quality Competition Excellent Enterprises (QECC). Seventh, the competency model for CEO in SMEs was finalized based on the survey.
      The finalized 43 competencies were structured by 3 competency areas and 7 competency groups. The 3 competency areas consist of fundamental competency, job competency, and leader compentecy. And the 7 competency groups consist of individual effectiveness, opportunity recognition, expert knowledge, relation building, business management, leadership,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the 18 competencies include crisis management, influence, passion for business, ethics, communication, positive mind-set, specific goals and vision and etc. were shown as over 6.0(important) in importance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chief executive officer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To effectively accomplish this goal, the Starting from Scratch Method(Lucia & Lepsinger, 1999) was applied and 7 steps of p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chief executive officer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To effectively accomplish this goal, the Starting from Scratch Method(Lucia & Lepsinger, 1999) was applied and 7 steps of procedure were designed.
      First, the outstanding CEOs based on their performance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nd the BEI(Behavior Event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interview. Second, the various behavioral cases of the CEOs were collected through the BEI method. Third, the potential competencies were derived by Lucia and Lepsinger's the 3-steps-analysis method,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etency was written. Then the competencies were structured and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Fourth,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verified by subject-matter experts. Fifth,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revised based on the subject-matter experts' advise. Sixth, the survey of importance level was conducted with the CEOs who were the awardees of the Quality Competition Excellent Enterprises (QECC). Seventh, the competency model for CEO in SMEs was finalized based on the survey.
      The finalized 43 competencies were structured by 3 competency areas and 7 competency groups. The 3 competency areas consist of fundamental competency, job competency, and leader compentecy. And the 7 competency groups consist of individual effectiveness, opportunity recognition, expert knowledge, relation building, business management, leadership,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the 18 competencies include crisis management, influence, passion for business, ethics, communication, positive mind-set, specific goals and vision and etc. were shown as over 6.0(important) in importance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Lucia와 Lepsinger(1999)의‘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Starting from Scratch)’를 활용하여 7단계로 연구절차를 설계하였고 단계 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이 되는 고성과자의 기준을 선정하여 이에 준하여 연구대상을 제한하고 행동사건인터뷰 기법을 이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행동사건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양한 행동사례를 수집하였고 셋째, 인터뷰 결과를 전사하여 Lucia와 Lepsinger가 제시한 ①역량요소 도출, ②잠정역량과 인용문 제시, ③잠정역량도출의 3단계 분석기법에 따라 잠정역량을 도출한 후, 역량정의문을 작성하고 역량을 구조화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이 연구의 주제와 관련한 내용전문가를 섭외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검증하였으며, 다섯째, 내용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역량을 수정·보완하였고 여섯째,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중요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곱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함으로써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도출된 43개 역량은 타당성 검증을 통해『기본역량』,『직무역량』,『리더역량』등 3개의 역량 영역과 「개인효과성」, 「기회인식」, 「전문지식」, 「관계형성」, 「사업관리」, 「리더십」, 「인적자원관리」등의 7개 역량 군으로 구조화하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역량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중요도 설문조사 결과 이들 중 중요도 수치 6.0(중요함)이상으로 나타난 역량은 ‘위기관리’, ‘영향력’, ‘사업에 대한 열정’, ‘윤리의식’, ‘커뮤니케이션’, ‘긍정적 사고’, ‘구체적 목표 및 비전제시’ 등을 포함한 18개 역량이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Lucia와 Lepsinger(1999)의‘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Starting fr...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Lucia와 Lepsinger(1999)의‘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Starting from Scratch)’를 활용하여 7단계로 연구절차를 설계하였고 단계 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이 되는 고성과자의 기준을 선정하여 이에 준하여 연구대상을 제한하고 행동사건인터뷰 기법을 이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행동사건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양한 행동사례를 수집하였고 셋째, 인터뷰 결과를 전사하여 Lucia와 Lepsinger가 제시한 ①역량요소 도출, ②잠정역량과 인용문 제시, ③잠정역량도출의 3단계 분석기법에 따라 잠정역량을 도출한 후, 역량정의문을 작성하고 역량을 구조화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이 연구의 주제와 관련한 내용전문가를 섭외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검증하였으며, 다섯째, 내용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역량을 수정·보완하였고 여섯째,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중요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곱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함으로써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도출된 43개 역량은 타당성 검증을 통해『기본역량』,『직무역량』,『리더역량』등 3개의 역량 영역과 「개인효과성」, 「기회인식」, 「전문지식」, 「관계형성」, 「사업관리」, 「리더십」, 「인적자원관리」등의 7개 역량 군으로 구조화하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역량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중요도 설문조사 결과 이들 중 중요도 수치 6.0(중요함)이상으로 나타난 역량은 ‘위기관리’, ‘영향력’, ‘사업에 대한 열정’, ‘윤리의식’, ‘커뮤니케이션’, ‘긍정적 사고’, ‘구체적 목표 및 비전제시’ 등을 포함한 18개 역량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운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핵심역량모델링:A 항공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박철순, "최고경영자 성향과 다각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최고경영자 파워의 역할" 8 (8): 125-145, 1998

      3 신현한, "최고경영자 교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경영성과, 전문경영자, 대규모기업집단" 한국경영학회 34 (34): 289-311, 2005

      4 김두섭,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사 2010

      5 정태일, "중소제조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최고경영자 역량,조직능력 및 경쟁전략" 영남대학교 2004

      6 최수철, "중소기업의 정책자금 지원제도" 학현사 2007

      7 김영생,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모형 및 활용방안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8 박상범, "중소기업론" 서울:삼영사 1999

      9 박노국, "중소기업 픔질경쟁력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25 (25): 32-39, 2002

      10 이찬, "중소기업 HRD 진단 및 컨설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2010

      1 김운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핵심역량모델링:A 항공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박철순, "최고경영자 성향과 다각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최고경영자 파워의 역할" 8 (8): 125-145, 1998

      3 신현한, "최고경영자 교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경영성과, 전문경영자, 대규모기업집단" 한국경영학회 34 (34): 289-311, 2005

      4 김두섭,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사 2010

      5 정태일, "중소제조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최고경영자 역량,조직능력 및 경쟁전략" 영남대학교 2004

      6 최수철, "중소기업의 정책자금 지원제도" 학현사 2007

      7 김영생,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모형 및 활용방안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8 박상범, "중소기업론" 서울:삼영사 1999

      9 박노국, "중소기업 픔질경쟁력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25 (25): 32-39, 2002

      10 이찬, "중소기업 HRD 진단 및 컨설팅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2010

      11 강희락, "조직구성원이 인지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종업원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영남대학교 2010

      12 한억천, "은행 지점리더의 역량모델 구축" 2007

      13 신수미, "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역량모델링에 관한 연구:제조업체 A사의 영업지점장을 중심으로" 2004

      14 정재삼, "수행 컨설턴트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조직문화 변화 해결책을 중심으로" 15 (15): 99-127, 1999

      15 이주환, "벤처기업 R&D 인력 역량모델 구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6 최희서, "법인영업 핵심역량모델링과 효과적 교육연계 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17 전영욱,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8 김진모,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0 (20): 109-128, 2002

      19 이찬, "근로자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 설계:중소기업·비정규직 등의 핵심직무 역량모델링을 중심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 2008

      20 Chandler, G. N, "The founder's self-assessed competence and venture performance" 7 (7): 223-236, 1992

      21 Mitton, D. G, "The complete entrepreneur" 1986

      22 Lucia,A.D.,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 Jossey-Bass Preiffer 1999

      23 Boyatzis,R.E, "The Competent Management: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1982

      24 Chandler, G. N, "Founder competence, the environment, and venture performance" 18 (18): 77-89, 1994

      25 Hood,J.N, "Entrepreneurship's requisite areas of development: A survey of top executives in entrepreneurial firms" 8 (8): 115-135, 1993

      26 Herron, L. A, "Entrepreneurial skills: An empirical study of the missing link connecting the entrepreneur with venture performance" 1990

      27 Dubois,D.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HRD Press 1993

      28 Spencer,L.M, "Competence at work" John Wiley & Sons 1993

      29 McClelland,D.C,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entrepreneurs" 21 (21): 18-21, 1987

      30 Quinn, R. E, "Becoming a master manager"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6

      31 Chandler, G. N, "An examination of the substitutability of founders human and financial capital in emerging business ventures" 13 (13): 353-369, 1998

      32 Rothwell,W.J, "ASTD model for human performance improvement: Roles, competencies outputs" ASTD 1996

      33 Baum, J. R, "A multidimensional model of venture growth" 44 (44): 292-303, 2001

      34 박진일, "6시그마 벨트인력(BB,MBB)의 역량모델 구축:S보험사를 중심으로"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