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사랑 학교, "한사랑 학교 교육과정(1997~2011)" 한사랑 학교 2011
2 김대현,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23-49, 2003
3 정동영,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교육과정 통합 요구와 과제" 27-60, 2009
4 정동영, "특수교육 교육과정 자율화의 실행 과제와 운영 방향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79-202, 2011
5 박한숙,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대한 초임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421-448, 2006
6 권미숙,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초기 6개월간의 교직 적응 과정 연구 : 내러티브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7 정광순, "초등교사의 통합교과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146, 2006
8 박지현, "지체장애학생의 치료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 박경옥, "중도지체장애학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13 (13): 1-19, 2011
10 박승희,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최선의 실제" 14 (14): 1-28, 1997
1 한사랑 학교, "한사랑 학교 교육과정(1997~2011)" 한사랑 학교 2011
2 김대현,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23-49, 2003
3 정동영,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교육과정 통합 요구와 과제" 27-60, 2009
4 정동영, "특수교육 교육과정 자율화의 실행 과제와 운영 방향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79-202, 2011
5 박한숙,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대한 초임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421-448, 2006
6 권미숙,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초기 6개월간의 교직 적응 과정 연구 : 내러티브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7 정광순, "초등교사의 통합교과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25-146, 2006
8 박지현, "지체장애학생의 치료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 박경옥, "중도지체장애학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13 (13): 1-19, 2011
10 박승희,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최선의 실제" 14 (14): 1-28, 1997
11 한국우진학교,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방안" 한국우진학교 2011
12 강성종,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19-142, 2008
13 이숙정, "중도·중복장애학생 학교교육 현황에 관한 일고찰" 한독교육학회 15 (15): 69-98, 2010
14 박은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수교육 지원체계에 대한 요구조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31-58, 2010
15 Fornefeld, B., "중도중복장애인의 교육과 복지-복합적 장애인의 교육과 복지에 대한 논의" 학지사 2010
16 박화문, "중도중복장애를 가진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대한 고찰" 10 (10): 83-100, 2008
17 김정연,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현황" 3-14, 2012
18 김은영,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과 실제" 85-102, 2012
19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과 과제" 1-20, 2012
20 조두년,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분석" 10 (10): 289-323, 2003
21 국립특수교육원,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연구"
22 정윤우,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실행의 요인 및 지원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69-90, 2012
23 구신실,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39-355, 2011
24 최연호,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치료지원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25 전귀옥, "장애아동 치료지원서비스 이용 실태 및 부모의 인식-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11-235, 2012
26 김혜리,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457-477, 2011
27 이미선, "일반학교에 통합된 중등도 및 중도장애 학생의 개인별 교육과정 개발 방안" 1 : 141-162, 2000
28 이숙정, "인간학적 사유를 여는 중도중복장애 교육학" 집문당 2011
29 이숙정, "독일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45-172, 2006
30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31 박민정,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47-270, 2012
32 강성종,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335-361, 2009
33 Klauss, Th, "Zur schulischen Situation von Schuelerinnen mit schwerster Behinderung" 1 : 287-289, 2000
34 Dittmann, W., "Zur aktuellen Situation von Schueler/innen mit einer Schwerst mehr-fach Behinderung, In Zum Problem paedagogi-scher Foerderung schwerbehinderter Kinder und Jugendlicher" Heidelberg 93-114, 1998
35 Dreher, W., "Vom Menschen mit geistiger Behinderung zum Menschen mit besonderen Beduerfnissen, In Neue Perspektiven in der Sonderpaedagogik" Duesseldorf 57-76, 1998
36 Boehm, W., "Ueber die Unvereinbarkeit von Erziehung und Therapie" 1 : 129-151, 1992
37 Donnellan, A., "The criterion of the least dangerous assumption" 9 : 114-150, 1984
38 McLaughlin, M.,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39 Masschelein, "Paedagogisches Handeln u. Verantwortung. Erziehung als Antwort" Frankfurt/M 1996
40 Lincoln, Y.,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41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Jossey-Bass Publisher 2000
42 Frank, A. W., "Narrative Inquiry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2001
43 Fornefeld, B., "Immer noch sprachlos? Zur Bedeutung des Dialogs in der Erziehung u. Bildung von Menschen mit schwerer Behinderung, In Alle Kinder alles lehren" Winter 73-88, 2003
44 Lamers, W., "Goethe und Matisse fuer Menschen mit einer schweren Behinderung, In Geistigbehinderter Paedagogik als Begegnung" Duesseldorf 177-208, 2000
45 Fornefeld, B., "Elementare Beziehung und Selbstverwirklichung geistig Schwerstbehin-derter in sozialer Integration" Aachen 1989
46 Klauss, Th, "Die Teilhabe von Kindern mit schwerer und mehrfacher Behinderung an der schulischen Bildung" Heidelberg 2005
47 Fornefeld, B., "Das schwerstbehinderte Kind und seine Erziehung" Heidelberg 1995
48 Klauss, Th, "Alle Kinder alles lehren" Heidelberg 73-88, 2003
49 Agran, M.,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37 : 123-133,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