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장마당이 경제와 체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angmadang on the economy and system of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3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angmadang on the economy and system of North Korea




      Choi, Min Hyuk
      Advised by Prof. Park, Ho Yong
      Dep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the socialist country, the former Soviet Union and communism in Eastern Europe collapsed, and ​​the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ic system was made. In this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informal economy in North Korea based on the rationale of the‘Informalization Hypothesis,’in which informal economic activities of the country such as the black market erode the planned economic system.
      North Korea's Juche ideology is the basis for a variety of areas such as politics, society, economy, culture, education and sports in North Korea, and has the legal power to rule every area of ​​North Korea. In the early stage, North Korea in economy, ideology, politics and national defense proclaimed an ideology of Juche Idea as their own line. Juche ideology of this period was used to build a foundation of the dictatorship of Kim Il-sung to combat toadyism and dogmatism. But since then, the Juche ideology has been replaced by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anthropocentricism, and was transformed into the Juche ideology of the people. Since the proclamation of Kim Il Sungism, the 10 principles of the party's only ideological system transformed its existing system into the Juche ideology of the leadership. Accordingly Kim Jong-il justified hereditary power succession and received an enhanced absolutism and idolatry of Kim Il-Sung. Juche ideology has gradually taken on a religious color and became a religion after the Socio-political Life Theory appeared. The religious Juche ideology was selected as one of the world's top 10 religions and deified Kim Il Sung, and Kim Jong-un. It led to the regime's receiving four features, a hereditary dictatorship regim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socialist economic system, and Songun political systems based on the Juche ideology.
      North Korea, a socialist country, needs to supply the necessary raw materials and food to state-owned enterprises and citizens, but the chronic lack of production, materials, raw materials and food made ​​it impossible to complete the transition to the planned economy. North Korea has allowed the farmers market in the early stage to complement the planned economy, which was incompletely implemented. In North Korea, the market was considered to be temporarily present in the transition to the complete socialist system. However, as the North Korean economy became worse, the market gradually expanded, avoiding the surveillance of the authorities. North Korea's planned economy was collapsed in the 1990s, and Jangmadang explosively expanded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times of the Arduous March. Since the death of Kim Il-Sung, Kim Jong-il had invested enormous resources in the Kumsusan Memorial Palace to strengthen the Juche Ideology and the hereditary dictatorship. At the same time, the residents did not receive food rations, and a lot of people starved to death. Since residents who could not receive rations had to make a living in the market place, Jangmadang expanded, developed, and started to show the initial state of a market economy. The North Korean system was threatened by Jangmadang, which resulted from policies for building a dictatorship. After all, North Korea has brought Jangmadang into the open by including in the institutional marketplace the July 1 Improvement Measures of Economic Management. Consequently, North Korea legalized the Jangmadang by institutionalizing it. Since then, North Korea has managed the market through repeated regulation and deregulation, and the market control policy reached its peak through the Currency Reform in 2009, but much side effects have been produced with North Korea ultimately failing to control the market.North Korea has continued to expand pro-market policies. There are four types of markets. Which were formed in the North consumption goods and products markets, financial markets, housing markets, and the labor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expansion of Jangmadang on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regime.
      In particular, in order to conduct a survey by questionnai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s of Jangmadang on the North Korean economy, residents, system and reunification by selecting samples of 50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20s–30s (Jangmadang generation), 50 defectors in their 40s–50s (the elderly), and dividing the generations into two.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that resulted from Jangmada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North Korean defectors to supplement the limits of the quantitativ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Jangmadang on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on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regime, hereditary dictatorship,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socialist economic system, and Songun political system.
      In addition the paper predicts the future of the Kim Jong-un regime, which could collapse as a sinkhole suddenly collapses, and also the paper suggests counter-measures for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study proposes a strategy of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by looking into the experiences of German reunific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Korea’s situation
      번역하기

      ABSTRACT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angmadang on the economy and system of North Korea Choi, Min Hyuk Advised by Prof. Park, Ho Yong Dep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In th...

      ABSTRACT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angmadang on the economy and system of North Korea




      Choi, Min Hyuk
      Advised by Prof. Park, Ho Yong
      Dep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the socialist country, the former Soviet Union and communism in Eastern Europe collapsed, and ​​the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ic system was made. In this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informal economy in North Korea based on the rationale of the‘Informalization Hypothesis,’in which informal economic activities of the country such as the black market erode the planned economic system.
      North Korea's Juche ideology is the basis for a variety of areas such as politics, society, economy, culture, education and sports in North Korea, and has the legal power to rule every area of ​​North Korea. In the early stage, North Korea in economy, ideology, politics and national defense proclaimed an ideology of Juche Idea as their own line. Juche ideology of this period was used to build a foundation of the dictatorship of Kim Il-sung to combat toadyism and dogmatism. But since then, the Juche ideology has been replaced by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anthropocentricism, and was transformed into the Juche ideology of the people. Since the proclamation of Kim Il Sungism, the 10 principles of the party's only ideological system transformed its existing system into the Juche ideology of the leadership. Accordingly Kim Jong-il justified hereditary power succession and received an enhanced absolutism and idolatry of Kim Il-Sung. Juche ideology has gradually taken on a religious color and became a religion after the Socio-political Life Theory appeared. The religious Juche ideology was selected as one of the world's top 10 religions and deified Kim Il Sung, and Kim Jong-un. It led to the regime's receiving four features, a hereditary dictatorship regim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socialist economic system, and Songun political systems based on the Juche ideology.
      North Korea, a socialist country, needs to supply the necessary raw materials and food to state-owned enterprises and citizens, but the chronic lack of production, materials, raw materials and food made ​​it impossible to complete the transition to the planned economy. North Korea has allowed the farmers market in the early stage to complement the planned economy, which was incompletely implemented. In North Korea, the market was considered to be temporarily present in the transition to the complete socialist system. However, as the North Korean economy became worse, the market gradually expanded, avoiding the surveillance of the authorities. North Korea's planned economy was collapsed in the 1990s, and Jangmadang explosively expanded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times of the Arduous March. Since the death of Kim Il-Sung, Kim Jong-il had invested enormous resources in the Kumsusan Memorial Palace to strengthen the Juche Ideology and the hereditary dictatorship. At the same time, the residents did not receive food rations, and a lot of people starved to death. Since residents who could not receive rations had to make a living in the market place, Jangmadang expanded, developed, and started to show the initial state of a market economy. The North Korean system was threatened by Jangmadang, which resulted from policies for building a dictatorship. After all, North Korea has brought Jangmadang into the open by including in the institutional marketplace the July 1 Improvement Measures of Economic Management. Consequently, North Korea legalized the Jangmadang by institutionalizing it. Since then, North Korea has managed the market through repeated regulation and deregulation, and the market control policy reached its peak through the Currency Reform in 2009, but much side effects have been produced with North Korea ultimately failing to control the market.North Korea has continued to expand pro-market policies. There are four types of markets. Which were formed in the North consumption goods and products markets, financial markets, housing markets, and the labor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expansion of Jangmadang on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regime.
      In particular, in order to conduct a survey by questionnai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s of Jangmadang on the North Korean economy, residents, system and reunification by selecting samples of 50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20s–30s (Jangmadang generation), 50 defectors in their 40s–50s (the elderly), and dividing the generations into two.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that resulted from Jangmada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North Korean defectors to supplement the limits of the quantitativ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Jangmadang on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on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regime, hereditary dictatorship,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socialist economic system, and Songun political system.
      In addition the paper predicts the future of the Kim Jong-un regime, which could collapse as a sinkhole suddenly collapses, and also the paper suggests counter-measures for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study proposes a strategy of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by looking into the experiences of German reunific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Korea’s sit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구소련과 동구권의 사회주의체제는 무너지고 시장경제체제로의 체제이행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국가의 공식적인 경제활동이 아닌 암시장과 같은 비공식경제활동이 계획경제를 침식하여 체제가 붕괴되었다는 ‘비공식화 가설’의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 내의 비공식 경제활동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북한 체제에서 주체사상은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교육 및 스포츠 등 북한의 모든 영역에 근간이 되고 북한 사회의 전 영역을 통치하는 초법적인 힘을 가진다. 처음 북한에서 주체사상은 경제, 사상, 대·내외의 정치 및 국방에서의 주체, 즉 자신들만의 독립 노선을 하나의 이념인 주체사상으로 선포하였다. 이 시기의 주체사상은 사대주의와 교조주의에 대항하고 김일성 1인 독재체제의 권력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후 주체사상은 인간 중심론의 철학적 원리로 대체되어 인민중심의 주체사상으로 변화되었고 다시금 김일성주의 선포,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 10대 원칙 등이 발표되며 수령중심의 주체사상으로 변화됐다. 주체사상은 점차 종교적인 색을 띠기 시작하며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이 등장한 이후 종교화에 이르렀다. 종교화된 주체사상은 세계 10대종교로 선정되어 김일성·김정일·김정은 부자를 신격화 했다. 그리고 주체사상을 중심으로 수령세습독재 통치체제, 통제감시체제, 사회주의경제체제, 선군정치체제의 네 가지 특징으로 북한 체제를 이루게 되었다.
      북한은 사회주의경제체제로 국영기업과 주민들에게 필요한 원자재와 식량 등을 공급해줘야 하지만 만성적인 생산 부족은 완전한 계획경제로의 이행을 불가능하게 했다. 불안전하게 이행되는 계획경제체제를 보안하기 위해 북한은 초기 농민시장을 허용했다. 북한에서 시장은 사회주의체제가 완전하게 이루어지기 전 과도기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됐다. 하지만 점차 악화되어가는 북한경제로 북한 시장은 활성화되어 갔고 당국의 감시를 피해 시장이 확대되어갔다. 결정적인 계기는 1990년대 북한의 계획경제의 붕괴되고 고난의 행군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장마당은 폭발적으로 북한 전역에 확장되어갔다. 김일성 사후 김정일이 주체사상과 독재세습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해 금수산기념궁전에 막대한 재원을 투자했고 그 사이 당국으로 부터 배급을 받지 못한 주민들 중 많은 사람들이 아사했다. 배급을 받지 못한 주민들은 더욱 더 장마당에서 장사로 생계를 유지했고 이로써 장마당은 확대 발전하여 시장경제체제의 초기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북한 당국의 수령 독재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의 영향으로 장마당은 북한 체제를 위협하는 존재가 된 것이다. 결국 북한은 7·1경제관리개선조치를 통해 장마당을 제도권 안으로 포함시켜 양성화 했다. 이후 북한 당국은 통제와 이완을 반복하며 시장을 관리했고 이러한 시장억제 정책은 2009년 화폐개혁을 통해 절정에 이르렀지만 많은 부작용을 남기고 시장통제에 실패했다. 이후 북한 당국은 지속적으로 친 시장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북한 내에는 소비재·생산물시장, 금융시장, 주택시장, 노동시장의 4대시장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북한 장마당의 확장이 북한의 경제와 체제에 전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본 논문은 연구한다.
      특별히 탈북자 설문조사를 위해 북한 장마당 세대인 20∼30대 50명, 장년층인 40대 이상 50명을 선발하여 장마당이 북한의 경제, 주민, 체제, 그리고 통일에 미치는 영향을 두 세대로 나누어 비교 조사하였다. 그리고 정량적인 실증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탈북자 6명과 심층면접을 통해 장마당의 영향으로 북한사회의 변화상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장마당이 북한의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북한체제의 네 가지 특징인 수령세습독재체제, 통제감시체제, 사회주의경제체제, 선군정치체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또한 싱크홀이 갑작스럽게 생겨 무너지듯이 언제 붕괴될지 모르는 김정은 정권체제의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특별히 동서독 통일과정에서 서독정권의 정책 중 우리나라 현실에 적용 가능 한 것을 살펴보며 앞으로의 통일전략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구소련과 동구권의 사회주의체제는 무너지고 시장경제체제로의 체제이행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국가의 공식적인 경제활동이 아닌 암시장과 같은 비공식경제...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구소련과 동구권의 사회주의체제는 무너지고 시장경제체제로의 체제이행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국가의 공식적인 경제활동이 아닌 암시장과 같은 비공식경제활동이 계획경제를 침식하여 체제가 붕괴되었다는 ‘비공식화 가설’의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 내의 비공식 경제활동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북한 체제에서 주체사상은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교육 및 스포츠 등 북한의 모든 영역에 근간이 되고 북한 사회의 전 영역을 통치하는 초법적인 힘을 가진다. 처음 북한에서 주체사상은 경제, 사상, 대·내외의 정치 및 국방에서의 주체, 즉 자신들만의 독립 노선을 하나의 이념인 주체사상으로 선포하였다. 이 시기의 주체사상은 사대주의와 교조주의에 대항하고 김일성 1인 독재체제의 권력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후 주체사상은 인간 중심론의 철학적 원리로 대체되어 인민중심의 주체사상으로 변화되었고 다시금 김일성주의 선포,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 10대 원칙 등이 발표되며 수령중심의 주체사상으로 변화됐다. 주체사상은 점차 종교적인 색을 띠기 시작하며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이 등장한 이후 종교화에 이르렀다. 종교화된 주체사상은 세계 10대종교로 선정되어 김일성·김정일·김정은 부자를 신격화 했다. 그리고 주체사상을 중심으로 수령세습독재 통치체제, 통제감시체제, 사회주의경제체제, 선군정치체제의 네 가지 특징으로 북한 체제를 이루게 되었다.
      북한은 사회주의경제체제로 국영기업과 주민들에게 필요한 원자재와 식량 등을 공급해줘야 하지만 만성적인 생산 부족은 완전한 계획경제로의 이행을 불가능하게 했다. 불안전하게 이행되는 계획경제체제를 보안하기 위해 북한은 초기 농민시장을 허용했다. 북한에서 시장은 사회주의체제가 완전하게 이루어지기 전 과도기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됐다. 하지만 점차 악화되어가는 북한경제로 북한 시장은 활성화되어 갔고 당국의 감시를 피해 시장이 확대되어갔다. 결정적인 계기는 1990년대 북한의 계획경제의 붕괴되고 고난의 행군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장마당은 폭발적으로 북한 전역에 확장되어갔다. 김일성 사후 김정일이 주체사상과 독재세습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해 금수산기념궁전에 막대한 재원을 투자했고 그 사이 당국으로 부터 배급을 받지 못한 주민들 중 많은 사람들이 아사했다. 배급을 받지 못한 주민들은 더욱 더 장마당에서 장사로 생계를 유지했고 이로써 장마당은 확대 발전하여 시장경제체제의 초기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북한 당국의 수령 독재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의 영향으로 장마당은 북한 체제를 위협하는 존재가 된 것이다. 결국 북한은 7·1경제관리개선조치를 통해 장마당을 제도권 안으로 포함시켜 양성화 했다. 이후 북한 당국은 통제와 이완을 반복하며 시장을 관리했고 이러한 시장억제 정책은 2009년 화폐개혁을 통해 절정에 이르렀지만 많은 부작용을 남기고 시장통제에 실패했다. 이후 북한 당국은 지속적으로 친 시장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북한 내에는 소비재·생산물시장, 금융시장, 주택시장, 노동시장의 4대시장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북한 장마당의 확장이 북한의 경제와 체제에 전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본 논문은 연구한다.
      특별히 탈북자 설문조사를 위해 북한 장마당 세대인 20∼30대 50명, 장년층인 40대 이상 50명을 선발하여 장마당이 북한의 경제, 주민, 체제, 그리고 통일에 미치는 영향을 두 세대로 나누어 비교 조사하였다. 그리고 정량적인 실증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탈북자 6명과 심층면접을 통해 장마당의 영향으로 북한사회의 변화상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장마당이 북한의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북한체제의 네 가지 특징인 수령세습독재체제, 통제감시체제, 사회주의경제체제, 선군정치체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또한 싱크홀이 갑작스럽게 생겨 무너지듯이 언제 붕괴될지 모르는 김정은 정권체제의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특별히 동서독 통일과정에서 서독정권의 정책 중 우리나라 현실에 적용 가능 한 것을 살펴보며 앞으로의 통일전략을 제안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 목차 ⅴ
      • 그림 목차 ⅷ
      • 사진 목차 ⅷ
      • 목 차
      • 표 목차 ⅴ
      • 그림 목차 ⅷ
      • 사진 목차 ⅷ
      • 국문 초록 ⅸ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시장의 개념 4
      • 제2절 이론적 논의 12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8
      • 제3장 북한체제의 발전과 특징 23
      • 제1절 공산주의 체제 형성 23
      • 제2절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 24
      • 1. 김일성 1인 독재체제와 주체사상 24
      • 2. 주체사상의 발전과 변화 30
      • 3. 주체사상의 종교화와 3대 세습 34
      • 제3절 북한체제의 특징 42
      • 1. 수령세습독재 42
      • 1) 학교교육 43
      • 2) 사회교육 47
      • 2. 통제감시체제 48
      • 1) 주민 감시와 연좌제 49
      • 2) 계급적 통제 구조와 거주 이전의 통제 50
      • 3) 외부 정보 및 표현의 자유 통제 52
      • (1) 신문 52
      • (2) 방송 53
      • 3. 사회주의 경제체제: 배급제와 집단주의 54
      • 4. 선군(先軍)정치 56
      • 제4장 북한 시장의 발전과 특징 60
      • 제1절 농민시장의 발전과 암시장 60
      • 1. 시장의 형성(1945∼1958) 60
      • 2. 사회주의 경제체제 내에 농민시장과 암시장 형성
      • (1958∼1982) 62
      • 3. 암시장의 확장(1982∼1990년대 초) 66
      • 제2절 북한경제 붕괴와 장마당 70
      • 1. 계획경제의 붕괴와 장마당 형성(1990년대∼ 2001년) 70
      • 2. 제도적시장건설과 통제와 이완의 반복(2002년∼2011년) 75
      • 1) 7.1조치와 종합시장설치 75
      • 2) 시장에 대한 정책 변화: 통제와 허용의 반복 79
      • 3. 김정은 시대 83
      • 제3절 북한시장 실태와 특징 87
      • 1. 소비재 및 생산재 시장 89
      • 2. 금융시장 94
      • 3. 주택시장 97
      • 4. 노동시장 100
      • 5. 조세 및 준소세 103
      • 제5장 장마당의 영향력에 대한 실증조사 107
      • 제1절 탈북자 설문대상자 100명의 표본조사 110
      • 제2절 장마당이 북한 경제에 미친 영향 113
      • 제3절 장마당이 북한 주민에 미친 영향 117
      • 제4절 장마당이 북한 체제에 미친 영향 121
      • 제5절 장마당이 통일에 미치는 영향 127
      • 제6장 장마당이 경제와 체제에 미친 영향 135
      • 제1절 장마당이 북한 경제에 미친 영향 135
      • 1. 비공식경제 확장과 거시경제지표 135
      • 2. 장마당이 북한 경제에 미친 영향 140
      • 제2절 장마당이 북한 체제에 미친 영향 144
      • 1. 수령세습독재 통치체제의 균열 145
      • 2. 통제감시체제의 균열 146
      • 3.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균열: 배급제와 집단주의의 파괴 150
      • 4. 선군정치의 균열 151
      • 제3절 북한, 싱크홀(sink hole)에 빠질까? 156
      • 제4절 전망과 대응방향 158
      • 1. 김정은체제의 미래 158
      • 2. 대응방향 163
      • 제7장 결론 172
      • 참고문헌 181
      • 부록 (설문지) 195
      • Abstract 20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홍승원, "『북한학』", 한국학술정보, 서울: KSI한국학술정보, 2011

      2 통일부, "북한 지식 사전",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통일연구원, 2013

      3 남근우, 이규창, 이춘근, 박상봉, 홍성기, 조영기, "한반도통일 플랜B", 한반도선진화재단, 『서울: 한반도선진화재단』, 2014

      4 최의철, "『북한인권백서』",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2001

      5 양문수, 정은이, 이석기, "북한시장실태분석",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738, 2014

      6 이용희, "『북한 바로알기』", 자유와생명, 서울: 자유와생명, 2014

      7 최완규, "『북한은 어디로』", 마산: 경남대학교출판부, 1996

      8 전현준, "북한이해의 길잡이",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5

      9 박상봉, "“남북경제통합론”", 나남출판, 『서울: 나남』, 2004

      10 하태경, "“북한 시장화 보고서”", 『지유기업원』No.84, 2009

      1 홍승원, "『북한학』", 한국학술정보, 서울: KSI한국학술정보, 2011

      2 통일부, "북한 지식 사전",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통일연구원, 2013

      3 남근우, 이규창, 이춘근, 박상봉, 홍성기, 조영기, "한반도통일 플랜B", 한반도선진화재단, 『서울: 한반도선진화재단』, 2014

      4 최의철, "『북한인권백서』",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2001

      5 양문수, 정은이, 이석기, "북한시장실태분석",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738, 2014

      6 이용희, "『북한 바로알기』", 자유와생명, 서울: 자유와생명, 2014

      7 최완규, "『북한은 어디로』", 마산: 경남대학교출판부, 1996

      8 전현준, "북한이해의 길잡이",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5

      9 박상봉, "“남북경제통합론”", 나남출판, 『서울: 나남』, 2004

      10 하태경, "“북한 시장화 보고서”", 『지유기업원』No.84, 2009

      11 김양희, "“북한 식량난과 복지”",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12 이진서, "“북한의정치범수용소”", 『Radio Free Asia』, 2015

      13 양재인, "“주체사상의 발전과정”", 『북한의정치이념: 주체사상』,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0

      14 이정우, 허문영, "“통일한국의 정치체제”",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10-90, 2010

      15 이용희, "“북한경제몰락의 주요원인”", 경제학공동국제학술대회, 2008

      16 전창곤, 정정길, "“북한 농민시장의 실태 분석”", 『농촌경제』 제23권 제2호, 2000

      17 이철수, "『긴급구호, 북한의 사회복지』", 서울: 한울아카데미, 2012

      18 양문수(Yang, Moon-Soo), 김석진(Kim, Suk-Jin), "북한 비공식 경제 성장요인 연구",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14-03, 2014

      19 김민규, "“북한 장마당과 20만 꽃제비들”", 북한연구소, 『월간북한』 통권 495호, 2013

      20 김영윤, "“북한에너지난의 실상과 전망”", 『북한 경제난의 현황과 전망』,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7

      21 김병연, "『북한 경제에서의 시장과 정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22 조동호, "“김정은체제 4년평가-경제분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국내학술회의, 2015

      23 장진성, "“북한사람이 말하는 북한이야기”",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2

      24 이용희 ( Yong Hee Lee ), "북한 내 한류가 통일에 미치는 영향",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26권 2호 통권 제62호, 2014

      25 구갑우, 최봉대, "“‘농민시장’ 형성: 1950~1980년대,”",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4

      26 고재홍, "“북한군 기강해이, 어디까지 왔나”", 북한연구소, 『월간 북한』 2013년 9월, p. 39, 2013

      27 이교덕, "『북한군의 기강 해이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11-02, 2011

      28 전홍택, "북한 제2경제의 성격과 기능, 통일경제", 년 2월호, 1997

      29 김영희, "“북한 농민시장의 변화와 향후 전망”", 『글로벌경제이슈』, 2009

      30 박정현, "“탈북자의 남한 사회 적응 지원 방안”", 『통일경제』2000. 10, 2000

      31 한국개발연구원, "『북한의 시장: 규모 추정과 구조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9

      32 이상우, "『북한정치변천: 신정체제의 진화과정』", 도서출판 오름, 2014

      33 임강택,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09-04, 2009

      34 김흥광, 한정석, 이애란, 박상봉, "“북한의 ‘장마당’ 어떻게 볼 것인가”", 『자유경제원 e-지식』 15-45, 2015

      35 신힘철, "“북한의 시장 경제화 규모 추정과 평가”", 『통일경제』 겨울호, 2008

      36 주성하, "“어업, 북한 자본주의 전초지대로 뜨다”", 신동아 2009년 8월, 2009

      37 안드레이, "란코프, 김광린 역, , 『북한 현대정치사』", 서울: 도서출판 오름, 1995

      38 안찬일, "“북한 급변사태 이렇게 대처해야 합니다”", 『한국논단』, 2014

      39 김병연, 정형곤, 이석, "북한의 시장화 현황과 경제체제의 변화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2-26, 2012

      40 이영훈, "북·중무역의 현황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제246호, 2006

      41 정형곤, "“동유럽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개혁과 북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현대북한연구』, 5(2), p. 54, 2002

      42 이영훈(Lee Young-hoon), "북한의 ‘자생적 시장화’와 경제개혁의 전개", 平和問題硏究所, 『통일문제연구』 제17권 제2호 통권44호, 2005

      43 정은미, "“북한 협동농장 운영과 노민 사경제의 실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제35회 정책포럼, 2008

      44 이성현, 정재흥, "“중국의 대북제재에 대한 입장과 인식 고찰”", 『정책브리핑』 2016-11, 2016

      45 서재진,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새로운 분석,”",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연구총서 01-13, 2001

      46 임을출, "“북한 사금융의 형성과 발전: 양태, 함의 및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제27권 1호 통권 제63호, 2015

      47 염돈재, "“올바른 통일준비를 위한 독일통일의 과정과 교훈”", 평화문제연구소,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2010

      48 In-Ho Park, "“North Korean Market Development and ‘Jangmadang’ New Generation”", 경남대 극동문제 연구소 국제세미나, 2015

      49 이흥광, "“김정은정권에서 북한 시장화의 진전과 새로운 변화”", 북한지하경제연구회, 2014

      50 김경술, "“유엔 대북제재 결의 2270호의 북한 에너지 수급 영향”",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11호, 2016

      51 차두현, "“북한 제7차 당대회 분석: 비장한 각오와 허세의 공존”", 『아산정책연구원』, 2016

      52 홍관희, "“엘리트층의 연쇄 탈북, 체제 붕괴의 전조(前兆)인가?”", 『월간북한』 통권 533호, 2016

      53 김영윤, "독일, 통일에서 통합으로-문답으로 알아보는 독일 통 일-", 통일부, 통일부, 2009

      54 김병연, "“북한경제의 시장화: 비공식화 가설의 평가를 중심으로”", 『제6회 한반도평화포럼 자료집』, 2007

      55 이유진, "“남북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재생기능에너지를 중심으로”", 『국회사무처』, 2007

      56 곽인옥, "“북한 시장의 실태분석 및 변화 방향성 예측에 관한 연구”", 『통일부』, 2013

      57 양문수, "“북한에서의 시장의 형성과 발전-생산물시장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경제학회, 『비교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2005

      58 박형중, "“북한의 ‘6 28방침’은 새로운 ‘개혁개방’의 서막인가?”", 『통일연구원』, 2012

      59 김병로,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서울: 통일연구원, 2000

      60 김노창, 한영은, "“외국투자기업 및 외국인에 대한 남북한 조세제도 비교연구”", 한국세무학회, 『세무와 회계저널』 14권 6호, 2013

      61 권연경,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의 경제관리운용 실태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3권 제2호, 2009

      62 오경섭, "“북한시장의 형성과 발전: 시장화 특성과 정치적 결과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세종정책연구 2013-22, 2013

      63 정은이, "북한의 자생적 시장발전 연구-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를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52호, 2009

      64 임수호, "『북한경제개혁의 재평가와 전망: 선군경제노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자료 15-02, 2015

      65 한국은행, "“북한의 사경제부문 연구-사경제 규모,유통현금 및 민간보유 외 화 규모 추정-”", 한국은행 조사국, 한은조사연구, 2002

      66 민준규, 정승호, "“최근 북한의 경제정책 추진현황 및 평가:‘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은행』제2014-16, 2014

      67 이수원, "“북한 주체사상학습체계의 종교성 연구 -기독교 종교 활동과이 비교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55호, 2011

      68 홍익표,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2기 4차 회의에 나타난 2011년도 경제정책 방향 및 국가예산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정책연구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제11-12호, 2011

      69 강동완, 박정란, "김정은 시대 북한사회 변화 실태 및 북한주민 의식조사: 제3국에서의 북한주민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북한학보』 39집 2호,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