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가의 공간읽기와 스토리텔링 전략 - 해남 녹우당 권역을 중심으로 = Space Reading and Storytelling Strategies for Head Families - Focusing on Haenam Nogudang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37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not been an improvement in the preservation of the houses of head families and the modernization of head family culture in Jeonnam reg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However, as Jeonnam head family revitalization project has started as part ...

      There has not been an improvement in the preservation of the houses of head families and the modernization of head family culture in Jeonnam reg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However, as Jeonnam head family revitalization project has started as part of the recently launched 'Namdo Culture Renaissance' project, the head families are facing a moment of change. Nogudang of Haenam Yun family is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leading the ‘Jeonnam Head Family Society,’ and it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ultural foundation. This study aims to make a few suggestions related to space in Nogudang in which various plans will be carried out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ad spatial symbols to derive the sense of place of Nogudang area (including Yeondong village) based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of Haenam Yun family. There are three major spatial symbols: ‘virtue’, ‘learning and art’, and ‘harmony’. Considering these three spatial symbols and various spatial resources currently present in Yeondong Village, this study classified Nogudang area into three gardens (a garden for virtue, a garden for learning and art, and a garden for rest), and proposed spatial strategies that can strengthen the story concepts of the three garde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남지역의 종가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종택 보존이나 종가문화의 현재화 작업이 미비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최근 시작된 ‘남도문화 르네상스’ 프로젝트 일환으로, 전남종가 활성화 사업...

      전남지역의 종가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종택 보존이나 종가문화의 현재화 작업이 미비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최근 시작된 ‘남도문화 르네상스’ 프로젝트 일환으로, 전남종가 활성화 사업이 출발하면서 변화의 시점을 맞이하고 있다. 해남윤씨 가문의녹우당은 이 변화의 중심에 서서 ‘전남종가회’를 이끌고 있으며, 문화재단 설립을 앞두고있는 상황이다. 이 글은 재단 설립과 함께 다양한 계획을 시도할 녹우당에 공간과 관련된몇 가지 제안을 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남윤씨 가문의 유・무형적 자산을 기반으로 녹우당 권역(연동마을 포함)의 장소성 도출을 위한 공간기호를 읽어냈다. 공간기호는 크게 세 가지로, ‘덕(德)’, ‘학예(學藝)’, ‘조화(調和)’이다. 이 3개의 공간기호와현재 연동마을이 갖고 있는 다양한 공간 자원들을 고려하여, 녹우당 권역을 3개의 정원(덕의 정원, 학예의 정원, 쉼(休)의 정원)으로 분할한 뒤, 각 정원의 스토리 콘셉트를 강화시킬 수 있는 공간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자, "해남윤씨 가문의 음악적 삶과 교유 − 공재(恭齋) 윤두서를 중심으로" 온지학회 (32) : 69-102, 2012

      2 박재락, "종택마을의 형성배경 및 입지공간에 관한 풍수지리적 분석 - 영주․문경․상주․의성․청송지역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8) : 261-296, 2013

      3 김미영, "종가문화의 가치와 의미" 27 : 106-114, 2015

      4 이덕형, "조선후기 사대부의 성리학적 풍수관 -분수원산송을 사례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0) : 209-243, 2009

      5 이화, "조선조 풍수신앙 연구 : 유교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전라남도 사정지간행회, "전라남도사정지"

      7 이희봉, "상류 전통주거 해남 녹우당의 해석 -거주자 생활과 농업경영으로" 11 (11): 65-84, 2002

      8 임주아, "비비정 마을 이야기" 희망제작소 2014

      9 장동익, "덕 윤리적 관점과 유교 윤리 -『논어』와『맹자』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6) : 171-189, 2012

      10 정윤섭, "녹우당" 열화당 2015

      1 김은자, "해남윤씨 가문의 음악적 삶과 교유 − 공재(恭齋) 윤두서를 중심으로" 온지학회 (32) : 69-102, 2012

      2 박재락, "종택마을의 형성배경 및 입지공간에 관한 풍수지리적 분석 - 영주․문경․상주․의성․청송지역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8) : 261-296, 2013

      3 김미영, "종가문화의 가치와 의미" 27 : 106-114, 2015

      4 이덕형, "조선후기 사대부의 성리학적 풍수관 -분수원산송을 사례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0) : 209-243, 2009

      5 이화, "조선조 풍수신앙 연구 : 유교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전라남도 사정지간행회, "전라남도사정지"

      7 이희봉, "상류 전통주거 해남 녹우당의 해석 -거주자 생활과 농업경영으로" 11 (11): 65-84, 2002

      8 임주아, "비비정 마을 이야기" 희망제작소 2014

      9 장동익, "덕 윤리적 관점과 유교 윤리 -『논어』와『맹자』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6) : 171-189, 2012

      10 정윤섭, "녹우당" 열화당 2015

      11 차미애, "공재 윤두서 일가의 회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2 김영순,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검단과 춘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9) : 35-59, 2010

      13 유육례, "고산 윤선도의 시에 관한 생태학적 접근 — 「山中新曲」의 <五友歌>와 <漫興>을 중심으로 —" 온지학회 (42) : 193-218, 2015

      14 조동욱, "『孟子』 ‘四端說’의 易學的 考察" 국학연구원 10 : 439-470, 2011

      15 해남군, "2016해남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