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통사회의 아동교육」을 수강한 대학원생들의 경험 = 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26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전통문화교육을 보다 의미 있게 이행하기 위해서는 전공자들이 우리나라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전통사회 아동교육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그들의 수업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대학교의 유아교육전공 대학원과정에 개설된 「한국전통사회의 아동교육」 수강생 중 저널쓰기에 동참한 석・박사 대학원생 20명이었으며, 수강생들이 1학기 동안 수강과정 경험을 자유롭게 기록한 저널을 분석자료로 하여, 공통된 내용 추출, 범주화 작업, 주제 명명화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토대로 내포된 수업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여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범주화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사회 아동교육에 대한 생소함과 새로운 깨달음, 둘째, 전통사회의 양육과 아동교육의 특성 배움, 셋째, 전통문화에 대한 경험 회상과 현대유아교육활동 자원에 대한 인식, 넷째, 전통사회 아동교육의 현대 유아교육과정 적용 가능성 인식으로 정리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전통문화교육을 보다 의미 있게 이행하기 위해서는 전공자들이 우리나라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전통문화교육을 보다 의미 있게 이행하기 위해서는 전공자들이 우리나라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전통사회 아동교육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그들의 수업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대학교의 유아교육전공 대학원과정에 개설된 「한국전통사회의 아동교육」 수강생 중 저널쓰기에 동참한 석・박사 대학원생 20명이었으며, 수강생들이 1학기 동안 수강과정 경험을 자유롭게 기록한 저널을 분석자료로 하여, 공통된 내용 추출, 범주화 작업, 주제 명명화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토대로 내포된 수업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여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범주화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사회 아동교육에 대한 생소함과 새로운 깨달음, 둘째, 전통사회의 양육과 아동교육의 특성 배움, 셋째, 전통문화에 대한 경험 회상과 현대유아교육활동 자원에 대한 인식, 넷째, 전통사회 아동교육의 현대 유아교육과정 적용 가능성 인식으로 정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culture. To achieve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Learning Experiences. The sample comprises 20 graduat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a course in children's education at K. University in South Korea's Chungbuk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implications and then interpret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unfamiliar with the trends in children's education. Second, the students acknowledged the significance of child care training programs that encompass both pre and postnatal development. Third, they identified the happiest moments of their childhood and considered how these recollections could serve as an important educational resource. Lastly, the group recognized the rationale of children's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to curriculum develop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culture. To achieve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L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culture. To achieve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Learning Experiences. The sample comprises 20 graduat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a course in children's education at K. University in South Korea's Chungbuk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implications and then interpret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unfamiliar with the trends in children's education. Second, the students acknowledged the significance of child care training programs that encompass both pre and postnatal development. Third, they identified the happiest moments of their childhood and considered how these recollections could serve as an important educational resource. Lastly, the group recognized the rationale of children's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to curriculum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기영, "현대사회와 유아교육(개정판)" 교문사 2006

      2 문미옥, "한국전통문화와 유아교육" 양서원 2004

      3 안지혜, "프로젝트 일지 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됨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41-363, 2012

      4 최기영, "조부모와 부모의 가정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와 세대간 일치정도가 유아의 정서,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11 : 159-184, 1991

      5 유하나, "제7차 중등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문화내용 분석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박진희, "전통음식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이은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20 : 135-154, 2000

      8 김순자,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375-400, 2010

      9 석은조,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0 고민경, "유치원의 전통문화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 최기영, "현대사회와 유아교육(개정판)" 교문사 2006

      2 문미옥, "한국전통문화와 유아교육" 양서원 2004

      3 안지혜, "프로젝트 일지 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됨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41-363, 2012

      4 최기영, "조부모와 부모의 가정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와 세대간 일치정도가 유아의 정서,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11 : 159-184, 1991

      5 유하나, "제7차 중등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문화내용 분석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박진희, "전통음식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이은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20 : 135-154, 2000

      8 김순자,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375-400, 2010

      9 석은조,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0 고민경, "유치원의 전통문화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최은미,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전통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81-317, 2005

      12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심화 운영을 위한 유아 한국문화 정체성 교육 프로그램"

      13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심화 운영을 위한 유아 전통예술교육 프로그램"

      14 최기영, "유치원 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전통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45-265, 2012

      15 서선옥, "유치원 교사의 전통문화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김향자, "유치원 교사들의 수학교수에 대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99-216, 2004

      17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의 이해" 양서원 2005

      18 이기현, "유아교육과정과 전통문화교육" 11 (11): 79-92, 2002

      19 임재택, "유아교육, 도(道)교육인가, 술(術)교육인가. 위기의 아이들, 그 실상과 대책" 181-201, 2005

      20 김세루,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41-157, 2008

      21 안혜준, "유아교사의 반성적 정서저널쓰기 과정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87-314, 2010

      22 박형신, "유아교사의 국악교육에 대한 학습경험과 유아국악교육 인식 및 적용실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75-198, 2010

      23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18 (18): 283-301, 1998

      24 김혜진,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전통문화교육 교과현황 및 현직교사의 활용실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5 조부경,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운영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 및 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20 (20): 139-162, 2000

      26 조부경,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2007

      27 전경화, "유아 전통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실태에 대한 연구" 4 (4): 27-51, 2000

      28 유혜자, "유아 국악활동의 실태와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73-499, 2012

      29 최기영,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87-308, 2011

      30 배진옥,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저널쓰기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31 김안나,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작가비평 수업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11-137, 2012

      32 김행심, "어린이 전통문화교육의 민속학적 고찰" 일본연구센터 (4) : 319-338, 2008

      33 박은혜, "수업사례활동의 효과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평가" 22 (22): 105-124, 2002

      34 박은혜,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교육" 16 (16): 175-192, 1996

      35 안유리, "대학원 생활을 병행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7-52, 2012

      36 박은주, "과학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 및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29-156, 2011

      37 김영순, "고등학교 7차 사회문화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문화교육 내용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1-23, 2010

      38 서윤희,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전통문화교육 관련 활동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29-149, 2010

      39 교육인적자원부, "[단행본]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40 Carlsen, W. S.,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In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Publisher 95-132, 1999

      41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