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대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에서 유희적 동기를 중심으로 모바일 쇼핑 채널에 대한 평가,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능동성과 지속쇼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12910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5-81(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대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에서 유희적 동기를 중심으로 모바일 쇼핑 채널에 대한 평가,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능동성과 지속쇼핑...
본 연구는 20대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에서 유희적 동기를 중심으로 모바일 쇼핑 채널에 대한 평가,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능동성과 지속쇼핑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지속쇼핑의도를 설명 하는 구조모형을 도출하였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쇼핑 채널 에 대한 명성, 신뢰도는 유희적 동기에 정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쇼핑에서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은 유희적 동기에 정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쇼 핑에서 유희적 동기는 이용자의 최적화 능동성과 지속쇼핑의도에 정적 영향력이 나타났 다. 넷째, 모바일 쇼핑에서 능동성은 지속쇼핑의도에 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다섯 째, 모바일 쇼핑에서 유희적 동기는 모바일 쇼핑 채널에 대한 명성, 신뢰도,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능동성과 지속 쇼핑의도로 이어지도록 유도하는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여섯 째, 모바일 쇼핑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중, 유희적 쇼핑에서 능동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the intention of shopping by identifying the factors such as the assessment of mobile shopping channel, the communication capacity of users, and active mobile shopping based on the hedonic motiv...
This study investigates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the intention of shopping by identifying the factors such as the assessment of mobile shopping channel, the communication capacity of users, and active mobile shopping based on the hedon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sessment of channel and the communication capacity of users in mobile shopping have influenced on the hedonic motivation. Second, the hedonic motivation in mobile shopping has influenced on the active mobile shopping and continuous shopping intention. Third, the active mobile shopping has influenced on the intention of shopping. Fourth, among the paths affecting the intention of mobile shopping, it was found that the path leading from hedonic motivation to the active mobile shopping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원진, "지각된 모바일 쇼핑의 가치가 쇼핑몰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e-비즈니스학회 13 (13): 203-226, 2012
2 이건, "중국인터넷쇼핑몰에서 화장품소비자의 점포속성중요도가 쾌락적쇼핑성향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쇼핑가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유통경영학회 20 (20): 93-104, 2017
3 서문식, "인터넷 쇼핑몰 특징과 감정적 반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7 (17): 113-145, 2002
4 김경희,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 한국콘텐츠학회 8 (8): 173-181, 2008
5 임동섭, "온라인 쇼핑에서 매장특성이 고객의 충동구매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9 (19): 25-42, 2018
6 정기한, "온라인 쇼핑에 있어서 명성의 선ㆍ후행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9 (9): 241-266, 2009
7 김화동, "온라인 쇼핑가치 요소가 SNS 상품정보의 신뢰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관여도 및 사전지식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9 (9): 114-132, 2016
8 김기윤, "스마트폰의 '스마트한 이용'이란 무엇인가? : 채택 개념의 확장과 이용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9 양희조,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10 진송민, "스마트폰 보유 10명 중 6명, TV·PC 없어도 괜찮아"
1 정원진, "지각된 모바일 쇼핑의 가치가 쇼핑몰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e-비즈니스학회 13 (13): 203-226, 2012
2 이건, "중국인터넷쇼핑몰에서 화장품소비자의 점포속성중요도가 쾌락적쇼핑성향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쇼핑가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유통경영학회 20 (20): 93-104, 2017
3 서문식, "인터넷 쇼핑몰 특징과 감정적 반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7 (17): 113-145, 2002
4 김경희,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 한국콘텐츠학회 8 (8): 173-181, 2008
5 임동섭, "온라인 쇼핑에서 매장특성이 고객의 충동구매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9 (19): 25-42, 2018
6 정기한, "온라인 쇼핑에 있어서 명성의 선ㆍ후행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9 (9): 241-266, 2009
7 김화동, "온라인 쇼핑가치 요소가 SNS 상품정보의 신뢰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관여도 및 사전지식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9 (9): 114-132, 2016
8 김기윤, "스마트폰의 '스마트한 이용'이란 무엇인가? : 채택 개념의 확장과 이용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9 양희조,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10 진송민, "스마트폰 보유 10명 중 6명, TV·PC 없어도 괜찮아"
11 한순상,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21-534, 2017
12 안광호, "쇼핑가치가 점포이미지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소비자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13 (13): 101-122, 2002
13 최경빈, "쇼핑 웹사이트 탐색 유형과 방문 패턴 분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5 (25): 85-107, 2019
14 김민수, "소셜커머스사이트(SCS) 이용 동기와 명성이 고객참여, 신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15 조미나, "소셜커머스 특성이 쇼핑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외식 상품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8 (38): 33-56, 2014
16 이승민, "소셜커머스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5 (15): 5-14, 2014
17 이수진, "소셜 커머스에서 20대 여대생의 패션제품 구매 시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의류산업학회 15 (15): 743-752, 2013
18 한경진, "바지 하나로 60억 매출..100억은 우스운 인터넷 쇼핑몰들" 조선일보
19 오영희, "모바일쇼핑몰의 서비스특성이 사용자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8 (18): 227-244, 2018
20 신문식, "모바일 커머스 선택속성과 서비스 품질에 관한 중요도와 성취도(IPA: Importance-Performance)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335-355, 2013
21 장미리, "모바일 커머스 만족과 불만족,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11 (11): 195-203, 2018
22 송민석, "모바일 쇼핑환경하에서의 서비스 품질과 사용용이성이 구매자의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30 (30): 975-1007, 2017
23 김창수, "모바일 쇼핑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인식과 긍정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2 (12): 141-148, 2014
24 권오영, "모바일 쇼핑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유통경영학회 22 (22): 117-126, 2019
25 정행로, "모바일 소셜커머스 특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창업학회 14 (14): 57-88, 2019
26 최빛나, "모바일 소셜 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89-98, 2018
27 최민서, "모바일 서비스 특성이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모바일 숙박 앱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185-203, 2016
28 이수영,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자의 능동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73) : 171-200, 2011
29 박상희, "능동적 이용자로서 모바일 쇼핑 이용자에 관한 탐색적 연구: 모바일 쇼핑 이용자 유형에 따른 능동성, 혁신성, 모바일 쇼핑 정보 이용 행태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3 (33): 86-122, 2019
30 김은미, "능동적 미디어 이용 개념에 대한 재탐색" 한국방송학회 26 (26): 46-87, 2012
31 이혜정, "구경만하고 물건 안사도..단골보다 중요한 ‘몰링족’"
32 차현아, "‘스낵컬처’ 즐기는 모바일 쇼핑족을 잡아라" 조선일보
33 Wolfinbarger, M., "eTailQ: Dimensionalizing, measuring and predicting etail quality" 79 (79): 183-198, 2003
34 Babin, B., "Work and/or fun :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20 : 644-656, 1994
35 San-Martin, S., "What makes services customers say “Buy it with a mobile phone?”" 30 (30): 601-614, 2016
36 Gao, L., "Understanding consumer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s mobile purchas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empirical study: A case of China" 53 : 249-262, 2015
37 Morosan, C., "Toward an integrated model of adoption of mobile phones for purchasing ancillary services in air travel" 26 (26): 246-271, 2014
38 Chen, W. K., "The influence of shopping values on consumers’s behavioral intention on m-shopping" 320-325, 2019
39 Chen, Y.,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cues and browsing experience on impulse buying on social shopping website" 1 : 366-374, 2018
40 이상봉, "TV홈쇼핑 채널의 이용과 충족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41-249, 2011
41 이학식, "SPSS 16.0 매뉴얼" 법문사 2009
42 Swan, J. E., "Product Performance and Consumer Satisfaction: A New Concept" 40 (40): 25-33, 1976
43 Kim, Y., "On product-level uncertainty and online purchase behavior : An empirical analysis" 61 (61): 2449-2467, 2015
44 최세경, "N스크린 서비스의 능동적 이용에 대한 영향: 이용동기,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애착" 한국언론학회 58 (58): 371-401, 2014
45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2010
46 Fishcer, E., "More than a labor of love: Gender roles and christmas gift shopping" 17 (17): 333-345, 1990
47 Wilson, T., "Model in information behaviour research" 55 (55): 249-270, 1999
48 Deighton, J., "Interactivity’s unanticipated consequences for marketers and marketing" 23 (23): 4-10, 2009
49 Nguyen, N., "Image and reput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students’ retention decisions" 15 (15): 303-311, 2001
50 이세윤, "Hedonic or Utilitarian:Why People Keep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한국IT서비스학회 14 (14): 355-373, 2015
51 Hirschman, E., "Hedonic consumption : Emerging concept, methods and propositions" 46 (46): 92-101, 1982
52 Gefen, D., "Customer loyalty in e-commerce" 3 (3): 27-51, 2002
53 Gefen, D., "Consumer trust in b2c e-commerce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presence: experiments in e-products and e-services" 32 : 407-424, 2004
54 Sweeney, J. C.,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77 (77): 203-220, 2002
55 Venkatesh, V.,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36 (36): 157-178, 2012
56 Biocca, F., "Communication yearbook (vol.11)" Sage 51-80, 1988
57 Rubin, A., "Audience activity and soap opera involvement: A uses and effects investigation" 14 : 246-268, 1987
58 Levy, M., "Audience activity and gratifications : A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exploration" 11 : 51-71, 1984
59 Coursaris, C. K., "Antecedents and consequents of a mobile website’s interactivity" 14 (14): 1128-1146, 2012
60 Hung, M. C., "An examination of the determinants of mobile shopping continuance" 10 (10): 29-37, 2012
61 Chen, Y. F., "An Empiric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Mobile Shopping in Taiwan" 10 (10): 19-30, 2014
62 Eighmey, J., "Adding value in the information age: Uses and gratifications of sites on the World Wide Web" 41 (41): 187-194, 1998
63 통계청, "2019년 1월 온라인 쇼핑 동향" 2019
64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65 DMC미디어, "2018 디지털 소비자와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분석 보고서" DMC미디어 2018
역명부기 광고의 필요성 및 공익적 효과에 관한 연구 : 광고주와 대중교통 이용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내 광고 대행사 이직 원인 및 인재유지 전략 연구 : 인사담당자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선거기간 동안 정치인의 커뮤니케이션 방향성과 메시지 유형을 활용한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유권자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미연결망분석과 토픽 모델링에 기반한 광고PR 분야 소셜 미디어 연구 동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3 | 1.16 | 1.392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