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거기간 동안 정치인의 커뮤니케이션 방향성과 메시지 유형을 활용한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유권자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2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거기간 동안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방향성과 메시지 유형을 활용 한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유권자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알아보고자 총 236명 대상 2(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쌍방향/일방향) × 3(페 이스북 메시지 유형: 시민동참형/일상생활형/카드뉴스형) 집단 간 요인 설계로 실험을 진 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인이 쌍방향으로 페이스북을 이용할 때 일방향보다 유권자 태 도와 투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인의 페이스북 메시지 유형 에 대한 유권자 활용 수준에 있어서도 후보자에 대한 태도의 경우 일상생활형과 시민동참 형의 메시지가 카드뉴스형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고, 투표의도의 경우 시민동참형 의 메시지가 카드뉴스형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권 자의 투표의도에 한해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방향성과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 용 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선거기간 동안 페이스북의 정치적 이용이 유권자의 태도 와 투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정치 캠페 인 실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선거기간 동안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방향성과 메시지 유형을 활용 한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유권자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알아보...

      본 연구는 선거기간 동안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방향성과 메시지 유형을 활용 한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유권자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알아보고자 총 236명 대상 2(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쌍방향/일방향) × 3(페 이스북 메시지 유형: 시민동참형/일상생활형/카드뉴스형) 집단 간 요인 설계로 실험을 진 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인이 쌍방향으로 페이스북을 이용할 때 일방향보다 유권자 태 도와 투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인의 페이스북 메시지 유형 에 대한 유권자 활용 수준에 있어서도 후보자에 대한 태도의 경우 일상생활형과 시민동참 형의 메시지가 카드뉴스형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고, 투표의도의 경우 시민동참형 의 메시지가 카드뉴스형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권 자의 투표의도에 한해 정치인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 방향성과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 용 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선거기간 동안 페이스북의 정치적 이용이 유권자의 태도 와 투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정치 캠페 인 실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politicians’ social media communication strategy and message type on vot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Facebook during an election period.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iticians’ social media communication strategy, few have focused on politicians’ Facebook message type on voters’ political participation during an election period. The study employed a 2 (politicians’ Facebook direction: one-way communication vs. two-way communication) × 3 (politicians’ Facebook message type: communicating with citizens vs. sharing politicians’ daily life vs. using card news format)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wo-way communication strategy results in increasing voters’ support for presidential candidates and intention to vote. The type of communication with citizens can impact increasing voters’ support for presidential candidates and intention to vo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oliticians’ two-way communication strategy with posting his or her communication with citizens has the potential to elicit positive responses from vot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politicians’ social media communication strategy and message type on vot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Facebook during an election period.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politicians’ social media communication strategy and message type on vot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Facebook during an election period.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iticians’ social media communication strategy, few have focused on politicians’ Facebook message type on voters’ political participation during an election period. The study employed a 2 (politicians’ Facebook direction: one-way communication vs. two-way communication) × 3 (politicians’ Facebook message type: communicating with citizens vs. sharing politicians’ daily life vs. using card news format)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wo-way communication strategy results in increasing voters’ support for presidential candidates and intention to vote. The type of communication with citizens can impact increasing voters’ support for presidential candidates and intention to vo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oliticians’ two-way communication strategy with posting his or her communication with citizens has the potential to elicit positive responses from vo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서론
      • 기존 연구 및 문헌고찰
      • 정치인의 소셜미디어 활용에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 소셜미디어와 유권자의 정치 참여
      • 국문초록
      • 서론
      • 기존 연구 및 문헌고찰
      • 정치인의 소셜미디어 활용에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 소셜미디어와 유권자의 정치 참여
      • 정치인의 소셜미디어상의 메시지 유형
      • 연구 방법
      • 실험 처치물의 조작
      • 측정 척도
      • 사전 조사
      • 본 조사
      • 연구 결과
      • 응답자의 특성
      • 조작적 점검
      • 연구 문제 검증
      •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탁진영,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이미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7-36, 2005

      2 박찬욱, "한국인의 정치참여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14 (14): 147-191, 2005

      3 최민재, "한국과 일본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나타난 유권자의 SNS 정보 이용과 정치적 의사결정의 관계 : 2011년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와 오사카시장 선거의 비교" 한국언론학회 57 (57): 392-421, 2013

      4 박가현, "페이스북을 통한 2017년 한국 대선후보의 이미지정치 분석"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5 이원태, "트위터의 정치사회적 영향과 시사점" KISDI 1-15, 2010

      6 류철균, "트위터를 통한 선거 후보자의 스토리텔링 분석 - 4․27 재․보궐 선거기간의 최문순․엄기영 후보의 트윗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23) : 237-261, 2011

      7 배병익, "트위터(Twitter) 사용자들의 투표 참여에 관한 연구 : 2·30대 젊은층의 참여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1

      8 장덕진, "트위터 공간의 한국 정치: 정치인 네트워크와 유권자 네트워크" 언론정보연구소 48 (48): 80-107, 2011

      9 박소영, "카드뉴스 감상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신장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10 박성훈, "청년세대의 SNS 이용과 투표참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 탁진영,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이미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7-36, 2005

      2 박찬욱, "한국인의 정치참여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14 (14): 147-191, 2005

      3 최민재, "한국과 일본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나타난 유권자의 SNS 정보 이용과 정치적 의사결정의 관계 : 2011년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와 오사카시장 선거의 비교" 한국언론학회 57 (57): 392-421, 2013

      4 박가현, "페이스북을 통한 2017년 한국 대선후보의 이미지정치 분석"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5 이원태, "트위터의 정치사회적 영향과 시사점" KISDI 1-15, 2010

      6 류철균, "트위터를 통한 선거 후보자의 스토리텔링 분석 - 4․27 재․보궐 선거기간의 최문순․엄기영 후보의 트윗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23) : 237-261, 2011

      7 배병익, "트위터(Twitter) 사용자들의 투표 참여에 관한 연구 : 2·30대 젊은층의 참여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1

      8 장덕진, "트위터 공간의 한국 정치: 정치인 네트워크와 유권자 네트워크" 언론정보연구소 48 (48): 80-107, 2011

      9 박소영, "카드뉴스 감상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신장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10 박성훈, "청년세대의 SNS 이용과 투표참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1 더불어민주당, "제19대통령선거 백서" 더불어민주당 2017

      12 김유향, "제19대 대선 후보자의 소셜미디어 이용 동향과 특징" 2018

      13 김한나, "정치참여의 다양성과 조건: 정치효능감과 정부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5 (25): 81-110, 2016

      14 남현주, "정치적 소통도구로써의 SNS 활용: 제18대 대선후보자를 중심으로" 8 (8): 31-68, 2014

      15 구자현, "정치인의 이미지와 투표참여의 관계연구: SNS활동, 의사결정, 병리현상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16 금혜성,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 10 (10): 189-220, 2011

      17 박범수, "정치인과의 트윗 교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트위터 이용자의 이념성향과 인구통계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5 (15): 111-139, 2013

      18 양윤, "정치관심도, 정치이념성향, 정보탐색목표가 정치정보탐색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289-310, 2010

      19 유현중, "정치 후보자의 정치담론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 2014년 7・30 재 보궐 선거 유세 기간에 트위터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8 (8): 111-139, 2015

      20 안차수, "정치 후보자의 이미지 구성과 측정도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의 후보자 이미지 속성과 지지도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321-354, 2011

      21 김연하, "정치 후보자의 모바일 광고 메시지 유형에 따른 인게이지먼트 속성과 유권자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9 (19): 47-56, 2016

      22 김봉덕, "정부기관 카드뉴스의 구성과 이미지 표현방식 연구 - 대한민국 정책포털 정책브리핑 카드뉴스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8 (18): 55-65, 2017

      23 조진만, "정보화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경험적 분석" 한국정치학회 45 (45): 273-296, 2011

      24 이승훈, "인터넷과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탐색적 논의: 인터넷 이용 형태와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31-58, 2009

      25 이은주,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3 (53): 50-71, 2009

      26 김형태, "유권자의 SNS를 통한 선거정보 이용과 SNS의 유형에 따른 영향력 인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수원지역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4

      27 김소담,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의 일반댓글과 소셜댓글의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91-406, 2015

      28 이상욱, "신문 보도사진에 나타난 정치인 이미지 연구 : 1987년~2007년 대통령 선거 후보자 사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29 이동훈, "숙의적 공론장으로서 블로그 공간의 의사소통적 관용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3 (53): 27-49, 2009

      30 장우영, "소셜미디어와 선거정치: 오바마 웹캠페인의 연계와 동원전략" 한국정당학회 10 (10): 5-41, 2011

      31 김진아, "소셜미디어를 통한 스토리텔링형 정치 커뮤니케이션이 유권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2 박용수, "소셜미디어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 서울지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트위터의 영향력 분석"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3

      33 반현,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의 정치적 인지구조의 특성: 갈릴레오 모델을 적용한 멀티이용자, 트위터와 페이스북 개별 이용자, 그리고 비이용자 집단 비교" 언론정보연구소 48 (48): 5-43, 2011

      34 신명환,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자의 피드백 유형에 관한 연구: 수용자의 게이트 키핑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35 심홍진, "소셜 미디어의 정치 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 내적·외적 설득 요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36 조희정, "소셜 미디어의 선택적 적응과 정치발전 : 2010년 영국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9 (9): 141-179, 2010

      37 홍주현, "선거 기간 중 트위터에 나타난 후보자와 유권자의 정치적 행위(political action)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257-301, 2011

      38 정소영, "빅데이터 시대에 카드뉴스의 유형과 활용 현황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609-620, 2015

      39 김명주, "방송 연설 후보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고 저관여 시청자에게 · 미치는 영향제17대 국회의원 후보자들의 목소리, 응시, 손동작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9 (19): 42-103, 2005

      40 송경재,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특성과 정치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6 (26): 129-157, 2010

      41 김경미, "미국 대통령 선거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15 : 1-26, 2009

      42 심홍진,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192-234, 2010

      43 이상학, "대통령 선거의 경쟁구도와 보도사진: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2 (52): 79-120, 2013

      44 박근영, "뉴미디어의 소비가 선거에서 지지후보자 변경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1 (31): 29-55, 2015

      45 이종혁, "기업 블로그 환경에서 공중 댓글의 방향성과 기업의 응답성에 따른 기업평가 및 태도, 행동 의도의 차이 연구: 기업 능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연상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7 (17): 5-40, 2015

      46 이건희, "‘선거 필수템’된 SNS... 19대 대선 ‘페북 라이브’ 1등은?"

      47 이지은, "‘6.2지방선거 이변’ 트위터엔 어떤 일이 벌어졌나"

      48 정용인, "[표지이야기]장덕진 서울대 교수 “대선에서도 SNS는 핵심역할 할 것”"

      49 박우인, "[19대 대선] 시민들 SNS 독려도 투표율 끌어올렸다"

      50 Conway, B. E., "Transition from “supercapacitor” to “battery”behavior i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138 (138): 1539-1548, 1991

      51 Bruns, A., "Towards more systematic Twitter analysis: Metrics for tweeting activities" 16 (16): 91-108, 2013

      52 Zhang, W., "The revolution will be networked: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ing sites on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 28 (28): 75-92, 2010

      53 Utz, S., "The benefits of campaigning via social network sites" 14 : 221-243, 2009

      54 이원태, "Social Networking Strategies of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in South Korea: Current State and Its Implication" 한국정치학회 46 (46): 109-141, 2012

      55 Hermida, A., "Share, like, recommend: Decoding the social media news consumer" 13 (13): 815-824, 2012

      56 George, D.,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17.0 Update" Pearson 2010

      57 강원택, "SNS를 활용한 정치홍보 연구: 19대 총선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58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8

      59 윤성이, "SNS 정치참여 연구 동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 (20): 3-19, 2013

      60 송효진, "SNS 정보서비스의 질, 정치 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 촉진" 한국정당학회 12 (12): 175-216, 2013

      61 Smith, S. M., "Reflecting on six decades of selective exposure research: Progres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2 : 464-493, 2008

      62 Groshek, J., "Public sentiment and critical framing in social media content during the 2012 U.S. Presidential campaign" 31 (31): 356-576, 2013

      63 Molloy, J., "Politics, power and authority" Tavenner Publishing Co 2010

      64 Kim, Y., "Politics as friendship: The impact of online social networks on young voters’political behavior" 2008

      65 Miller, A. H., "Political communication yearbook"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83-210, 1984

      66 Barnes, S. H., "Political action" Sage 1979

      67 Ausserhofer, J., "National politics on Twitter: Structures and topics of a networked public sphere" 16 (16): 291-314, 2013

      68 Garber, D., "Mass media and American politics" CQ Press 2010

      69 Verser, R., "Managing voter impression: The use of images on presidential candidate Web sites during the 2000 campaign" 56 : 178-197, 2006

      70 박재진, "Korean Young Voters’ Views on Exchanging Tweets with Politicians: A Q-method Study" 한국PR학회 16 (16): 32-50, 2012

      71 Vitak, J., "It’s complicated: Facebook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2008 election" 14 (14): 107-114, 2011

      72 Valenzuela, S., "Is there social capital in a social network site? Facebook use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rust, and participation" 14 : 875-901, 2009

      73 Williams, C., "Facebook grows up: An empirical assessment of its role in the 2008 congressional elections" 2008

      74 Sundar, S. S., "Explicating web site interactivity: Impression formation effects in political campaign sites" 30 : 30-59, 2003

      75 Soon, C., "Engagement@web 2.0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tizens in Singapore: dialogic communication on Facebook?" 24 (24): 42-59, 2014

      76 Warnick, B., "Effects of campaign-to user and text-based interactivity in political candidate campaign web sites" 10 (10): 2005

      77 Severin, W. J., "Communication theories: Origins, methods, and uses in the mass media" Addison Wesley Longman 2004

      78 Kent, M. L., "Building dialogic relationships through the World Wide Web" 24 (24): 321-334, 1998

      79 Muehr, A., "Analysis of Barack Obama election campaign"

      80 Powell, G. B., "American voter turnout in comparative perspective" 80 (80): 17-43, 1986

      81 Song, S. K., "A study on the government public relations plan in social media era: focused on the attitude and evaluation of SNS users on government on-line servic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2013

      82 최용준, "5인 5색 SNS선거전, 여지없이 위력 발휘"

      83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