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이미지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이미지를 어떻게 조작하고 변형하여 과제 해결에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이미지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이미지를 어떻게 조작하고 변형하여 과제 해결에 유...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이미지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이미지를 어떻게 조작하고 변형하여 과제 해결에 유용한 새로운 이미지를 구성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정사면체를 분할하는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2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추론과정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두 학생의 사례로부터 이미지에 기반 한 사고를 이미지 형성, 이미지 검토/해석, 이미지 조작/변형, 새로운 이미지의 형성 등의 순환과정과 이미지를 유도하는 언어적 사고와 이미지로부터 파악되는 사실에 기반을 둔 언어적 추론의 순환 과정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체적 이미지에 기반 한 사고와 기호적 이미지에 기반 한 사고의 특성 및 그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analysing the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based on image by the mathe- matically gifted. For this, the 'Splitting a Tetrahedron' Task was used and mathematical thinking of the two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On...
This study is aimed at analysing the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based on image by the mathe- matically gifted. For this, the 'Splitting a Tetrahedron' Task was used and mathematical thinking of the two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One of them deduced how many tetrahedral and octahedral were there when a tetrahedra was splitted by the surfaces which were parallel to each face of the tetrahedra without using any physical material. The other one solved the task using physical material and invented new images. A concrete image, indexical image and symbolic image were founded and the various roles of images could be confirmed
참고문헌 (Reference)
1 류현아, "중등 기하문제 해결에서 시각화와 추론 과정" 건국대학교 2008
2 고은성,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의 역할"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63-78, 2008
3 Wheatley G. H.,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Reasoning with images in mathematical activity.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 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4 Davis, R.,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How students think: The role of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 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5 Presmeg N. C.,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Generalization using imagery in mathematics.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 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6 English L. D.,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Vehicles for Mathematical Reasoning.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7 平林一榮, "수학교육의 진보와 전망" 15-32, 1999
8 한대희, "수학 영재아의 공간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단원 개발 연구" 37-54, 2006
9 김재홍, "다이어그램적 추론으로서의 분석법에 기반한 기하 증명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0
10 Archavi, A., "The role of visual represen- tation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52 (52): 212-241, 2003
1 류현아, "중등 기하문제 해결에서 시각화와 추론 과정" 건국대학교 2008
2 고은성,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의 역할"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63-78, 2008
3 Wheatley G. H.,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Reasoning with images in mathematical activity.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 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4 Davis, R.,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How students think: The role of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 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5 Presmeg N. C.,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Generalization using imagery in mathematics.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 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6 English L. D., "수학적 추론과 유추, 은유, 이미지(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Vehicles for Mathematical Reasoning. in: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 경문사 281-289, 2009
7 平林一榮, "수학교육의 진보와 전망" 15-32, 1999
8 한대희, "수학 영재아의 공간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단원 개발 연구" 37-54, 2006
9 김재홍, "다이어그램적 추론으로서의 분석법에 기반한 기하 증명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10
10 Archavi, A., "The role of visual represen- tation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52 (52): 212-241, 2003
11 Krutetskii, V. A.,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12 Hadamard, J.,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5
13 Fischbein, E., "The Theory of figural concepts" 24 : 139-162, 1993
14 Presmeg N. C., "Research on visualiz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emer- gence from psychology. in: Handbook of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Sense Publishers 2006
15 Kosslyn S. M., "Research on mental imagery : Some goals and directions" 10 : 173-179, 1981
16 Duval, R., "Representation, vision and visualization: cognitive functions in mathe- matical thinking. Basic issues for learning" 3-26, 1999
17 Marsonolek C. J., "Mental imagery representation. in: Encyclopedia of Artificial Intelligence" John Wiley & Sons, Inc. 928-931, 1992
18 Kosslyn S. M., "Imagery. in: The MIT Encyclopedia of the Cognitive Sciences" Cambridge 387-389, 1999
19 Zazkis, R., "Coordinating visual and analytic strategies: A study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Group" 27 (27): 435-457, 1996
20 Duval, R., "A cognitive analysis of problems of comprehension in a learning of mathematics" 61 : 103-131, 2006
21 Presmeg N. C., "A Semiotic view of the role of imagery and inscription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19-34, 2006
우수수업 사례를 통해서 본 초등 수학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학년군'과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 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최근 경향 비교 ·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1 | 0.91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1.03 | 1.50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