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현황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An Analysis of Current Local Governments` Childbirth Policies and their Effects on Birthr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2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level of childbirth policies by local governments and their effect on birthrates. The data on current status of childbirth policies were collected through a national survey on local government employees who were in charge of childbirth policies in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Jeju-do. Data Base of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were used for childbirth rate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local governments in 2009. Major findings included that healthcare support, information supply, child care support policie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However, policies on childbirth-friendly social atmosphere and manpower/supplies support have been poorly activated implying a need to promote balanced policies to encourage childbirth. The activation level of the policies were not differ by local governm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birthrate in 2009 revealed that the on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economic support policy on birth rate suggesting a limited effect of the policies on the birthrate. Among the economic support policie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was detected in childbirth grant policy only. Based on these results, a need for more balanced childbirth polices and for reconstruction of current policy responses to encourage childbirth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level of childbirth policies by local governments and their effect on birthrates. The data on current status of childbirth policies were collected through a national survey on local govern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level of childbirth policies by local governments and their effect on birthrates. The data on current status of childbirth policies were collected through a national survey on local government employees who were in charge of childbirth policies in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Jeju-do. Data Base of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were used for childbirth rate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local governments in 2009. Major findings included that healthcare support, information supply, child care support policie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However, policies on childbirth-friendly social atmosphere and manpower/supplies support have been poorly activated implying a need to promote balanced policies to encourage childbirth. The activation level of the policies were not differ by local governm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birthrate in 2009 revealed that the on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economic support policy on birth rate suggesting a limited effect of the policies on the birthrate. Among the economic support policie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was detected in childbirth grant policy only. Based on these results, a need for more balanced childbirth polices and for reconstruction of current policy responses to encourage childbirth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상규, "출산장려정책의 경제적 도구 선택을 위한 효과성 비교 연구" 6 : 183-198, 2007

      2 배상석, "출산장려금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9 (19): 273-298, 2010

      3 석호원,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43-180, 2011

      4 장동호, "출산율에 대한 지역 간 비교분석: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63-188, 2009

      5 신효영,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대한가정학회 47 (47): 123-136, 2009

      6 이성용, "출산순위별 출산증가 요인 분석" 한국인구학회 32 (32): 51-70, 2009

      7 이시원, "출산감소의 요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205-229, 2005

      8 이미란, "출산 장려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75-96, 2009

      9 김승권,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인구학회 27 (27): 1-34, 2004

      10 신효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충청남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205-227, 2008

      1 임상규, "출산장려정책의 경제적 도구 선택을 위한 효과성 비교 연구" 6 : 183-198, 2007

      2 배상석, "출산장려금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9 (19): 273-298, 2010

      3 석호원,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43-180, 2011

      4 장동호, "출산율에 대한 지역 간 비교분석: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63-188, 2009

      5 신효영,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대한가정학회 47 (47): 123-136, 2009

      6 이성용, "출산순위별 출산증가 요인 분석" 한국인구학회 32 (32): 51-70, 2009

      7 이시원, "출산감소의 요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205-229, 2005

      8 이미란, "출산 장려 정책이 미혼 여성들의 출산 양육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75-96, 2009

      9 김승권,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인구학회 27 (27): 1-34, 2004

      10 신효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충청남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205-227, 2008

      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2005

      12 손홍숙, "저출산과 가족지원 서비스" 2004

      13 윤소영, "저출산 가정의 출산율과 여성취업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59-166, 2005

      14 유계숙,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정책이용실태 및 일가족 양립현황"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15 통계청, "인구동태 통계연보" 2008

      16 위점애, "우리나라 저출산 요인 분석 및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17 김홍배, "여성의 출산율 결정요인과 출산장려정책의 방향" 한국지역학회 24 (24): 23-37, 2008

      18 강남구, "엄마도! 아이도! 모두가 행복한 강남을 위한 2011년 출산장려 정책 안내"

      19 조남훈, "새로운 정부출범에 따른 저출산・고령사회정책 신규과제 발굴"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20 김종명, "새로운 HRD 이슈-핵심가치 리더십 III"

      21 박혜원, "보육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발달 및 지도 영역 표준화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4 (4): 1-31, 2010

      22 김현숙, "보육료 지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차등보육료 확대방안" 한국재정학회 1 (1): 61-103, 2008

      23 은기수,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최근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에 갖는 의미-" 102 : 25-35, 2005

      24 신효영, "미혼과 기혼 남녀의 결혼관 및 자녀관 비교" 494-495, 2007

      25 노승희, "기혼여성의 출산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26 이주연, "기혼 취업 여성의 양육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에 관한 연구 : 보육정책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27 이성용,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회 29 (29): 111-137, 2006

      28 강신일, "결혼, 이혼에 대한 법, 경제 시각" 39 : 37-68, 2010

      29 송다영, "가족위기 지표에 대한 비판적 재고찰: 이혼율과 출산율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5) : 117-141, 2004

      30 박수미, "가족내 성평등과 저출산" 4 : 36-44, 2005

      31 Morgan, S. P., "ㅂIs Low Fertility-First-Century Demographic Crisis?" 40 (40): 589-603, 2003

      32 Kohler, H. P., "The Emergence of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1990s" 28 (28): 641-680, 2002

      33 Bélanger, A., "Report on the demographic situation in Canada 1997"

      34 Billari, F. C., "Pattern of Low and Lowest-Low Fertility Europe" 58 (58): 161-176, 2004

      35 Boone, J. L., "More status or more children? S o c i a l status, fertility reduction, and long-term fitness" 20 : 257-277, 1999

      36 Hill, S. E., "Low fertility in humans as the evolutionary outcome of snowballing resource games" 16 : 398-402, 2005

      37 Zamac, J., "Low fertility and long-run growth in an economy with a large public sector" 5 : 1-24, 2009

      38 Sleebos, J., "Low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Facts and Policy Responses, In OECD Labor Market and Social Policy Responses" OECD Publishing 2003

      39 Bloom, D. E., "Introduction of Special Issue of the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 Consequences of Low Fertility in Europe" 26 : 127-139, 2010

      40 Brewster, K. L.,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26 : 271-296, 2000

      41 Engelhardt, H.,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Reconsidered: A Macro-Level Time-Series Analtsis for Developed Dountries, 1960-2000" 58 (58): 109-120, 2004

      42 Gauthier, A. H.,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An econometric analysis" 51 : 295-306, 1997

      43 Lappegard, T., "Family Polices and Fertility in Norway" 26 : 99-116, 2010

      44 Vos, A. E., "Falling fertility rates: new challenges to the European welfare state" 7 (7): 485-503, 2009

      45 Kaplan, H., "Evolutionary approach to below replacement fertility" 14 : 233-256, 2002

      46 Esping-Andersen, G., "A child-centered social investment strategy, In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6-67,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Rea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KCI등재후보
      2005-09-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지방행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28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