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사자성어 교육 방안 연구 :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1101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41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about plans to teach 4 letter idioms to Chinese students : focusing on advanced learners

      • 형태사항

        9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중섭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76-78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일반 어휘 중에서도 옛 조상들의 삶에 대한 지혜, 시대적 배경과 현대인의 가치관, 생활, 철학, 문화 등을 두루 담고 있는 사자성어를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다 수월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의 전체 어휘에서 사자성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적은 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에서 사자성어를 다루고 있으며, 한국어 능력 시험에서도 빠짐없이 출제되는 사실을 보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그만큼 사자성어가 여러 모로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이전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사자성어의 분석 자료를 한국어 교재, 한국어 능력 시험으로 한정한 것들이 대부분이었으나,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 한국어 능력 시험 외에 분석 자료에 한국 문학 자료를 추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사자성어는 고대의 문학은 물론 현대의 문학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급 읽기를 위해 학문 목적의 고급 학습자들이 문학 자료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를 익히는 것도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한층 더 나아가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 한국어 능력 시험과 한국 문학 자료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가나다순으로 비교하여 각 집단에서의 분석 결과를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자성어를 배열하여 선정하고 국립국어원의 말뭉치 자료를 토대로 각 사자성어의 현대문어와 현대구어에서의 사용 빈도수를 분석하여 표에 수록하였다. 그리고 결론에 앞서 선정 및 배열한 사자성어 중 한국 문학 자료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를 토대로 사자성어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현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외국인을 위한 공신력 있는 한국 문학 자료는 거의 없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한국 문학 자료 1종만을 분석 자료로 삼을 수밖에 없었지만 추후 한국 문학 자료가 지속적으로 간행된 후에 한국 문학 자료를 2종 내지 3종 정도로 더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본고에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고급의 등급을 벗어난, 교실을 벗어난 한국어학, 한국학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사자성어의 교육과 고급 선별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이미 2000년대에 시작되어 지금은 더 세분화 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후로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자성어에 대한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일반 어휘 중에서도 옛 조상들의 삶에 대한 지혜, 시대적 배경과 현대인의 가치관, 생활, 철학, 문화 등을 두루 담고 있는 사자성어를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다 수월...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일반 어휘 중에서도 옛 조상들의 삶에 대한 지혜, 시대적 배경과 현대인의 가치관, 생활, 철학, 문화 등을 두루 담고 있는 사자성어를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다 수월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의 전체 어휘에서 사자성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적은 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에서 사자성어를 다루고 있으며, 한국어 능력 시험에서도 빠짐없이 출제되는 사실을 보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그만큼 사자성어가 여러 모로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이전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사자성어의 분석 자료를 한국어 교재, 한국어 능력 시험으로 한정한 것들이 대부분이었으나,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 한국어 능력 시험 외에 분석 자료에 한국 문학 자료를 추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사자성어는 고대의 문학은 물론 현대의 문학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급 읽기를 위해 학문 목적의 고급 학습자들이 문학 자료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를 익히는 것도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한층 더 나아가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 한국어 능력 시험과 한국 문학 자료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가나다순으로 비교하여 각 집단에서의 분석 결과를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자성어를 배열하여 선정하고 국립국어원의 말뭉치 자료를 토대로 각 사자성어의 현대문어와 현대구어에서의 사용 빈도수를 분석하여 표에 수록하였다. 그리고 결론에 앞서 선정 및 배열한 사자성어 중 한국 문학 자료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를 토대로 사자성어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현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외국인을 위한 공신력 있는 한국 문학 자료는 거의 없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한국 문학 자료 1종만을 분석 자료로 삼을 수밖에 없었지만 추후 한국 문학 자료가 지속적으로 간행된 후에 한국 문학 자료를 2종 내지 3종 정도로 더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본고에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고급의 등급을 벗어난, 교실을 벗어난 한국어학, 한국학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사자성어의 교육과 고급 선별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이미 2000년대에 시작되어 지금은 더 세분화 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후로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자성어에 대한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study is for the Chinese learners to acquire 4 letter idioms within the Korean daily vocabulary that contain the wisdom of our ancestors, historical background, and modern people’s values, lifestyle, and philosophy.
      Although the 4 letter idioms only comprise a fraction of the Korean vocabulary, mos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ver them and the idioms are set as part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By examining only these factors, it is evident that the importance of the various meanings and value of them are significant in Korean education.
      Most of the research about the teaching plans for the 4 letter idioms were limited to their analysis with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OPIK exam. This research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OPIK as well as Korean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y are easily seen in classic as well as modern Korean literature. Thus, it is important for advanced learners to become familiar with the 4 letter idioms that appear in Korean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advanced reading for their studies.
      As an extension from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4 letter idioms that appear in Korean textbooks, TOPIK and Korean literature by types and in alphabetical order, and compared them. The paper also presents the results of each group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groups. The 4 letter idioms were selected and ord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the frequency of use of 4 letter idioms in moder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as analyzed and recorded in a table based on the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Prior to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it also proposes lesson plans for the selected and ordered 4 letter idioms that appear in Korean literature.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find accredited Korean literature data for non-native speakers within Korean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 had to be limited to analyzing one set of Korean literatur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more meaningful results if further research is conducted by analyzing two or three additional sets of Korean literature after more Korean literature books have been published containing this subject matter.
      It is hoped that research in this area does not end with this paper but continues by considering advanced screening and teaching of the 4 letter idioms for levels other than advanced levels and outside of the Korean classroom for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The research of the 4 letter idioms with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began in 2000 and is still being researched after being sub-divided. It is hoped that many researchers will conduct more studies about 4 letter idioms that are subdivided and varied.
      번역하기

      The aim of the study is for the Chinese learners to acquire 4 letter idioms within the Korean daily vocabulary that contain the wisdom of our ancestors, historical background, and modern people’s values, lifestyle, and philosophy. Although the 4 let...

      The aim of the study is for the Chinese learners to acquire 4 letter idioms within the Korean daily vocabulary that contain the wisdom of our ancestors, historical background, and modern people’s values, lifestyle, and philosophy.
      Although the 4 letter idioms only comprise a fraction of the Korean vocabulary, mos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ver them and the idioms are set as part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By examining only these factors, it is evident that the importance of the various meanings and value of them are significant in Korean education.
      Most of the research about the teaching plans for the 4 letter idioms were limited to their analysis with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OPIK exam. This research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OPIK as well as Korean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y are easily seen in classic as well as modern Korean literature. Thus, it is important for advanced learners to become familiar with the 4 letter idioms that appear in Korean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advanced reading for their studies.
      As an extension from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4 letter idioms that appear in Korean textbooks, TOPIK and Korean literature by types and in alphabetical order, and compared them. The paper also presents the results of each group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groups. The 4 letter idioms were selected and ord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the frequency of use of 4 letter idioms in moder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as analyzed and recorded in a table based on the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Prior to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it also proposes lesson plans for the selected and ordered 4 letter idioms that appear in Korean literature.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find accredited Korean literature data for non-native speakers within Korean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 had to be limited to analyzing one set of Korean literatur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more meaningful results if further research is conducted by analyzing two or three additional sets of Korean literature after more Korean literature books have been published containing this subject matter.
      It is hoped that research in this area does not end with this paper but continues by considering advanced screening and teaching of the 4 letter idioms for levels other than advanced levels and outside of the Korean classroom for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The research of the 4 letter idioms with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began in 2000 and is still being researched after being sub-divided. It is hoped that many researchers will conduct more studies about 4 letter idioms that are subdivided and var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3
      • 1.3. 연구방법 및 구성 6
      • 2. 사자성어의 개념과 유형 7
      • 1.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3
      • 1.3. 연구방법 및 구성 6
      • 2. 사자성어의 개념과 유형 7
      • 2.1. 사자성어의 개념 8
      • 2.2. 사자성어의 유형 9
      • 2.2.1. 동형동의형 사자성어 10
      • 2.2.2. 동형이의형 사자성어 13
      • 2.2.3. 동의이형형 사자성어 16
      • 2.3. 사자성어의 역사 및 철학적 배경 19
      • 2.3.1. 실제 역사 유래 및 역사적 배경 20
      • 2.3.2. 고전 유래 및 철학적 배경 22
      • 3. 사자성어의 교육 현황 24
      • 3.1. 한국어 교재 분석 25
      • 3.1.1. 건국대학교 26
      • 3.1.2. 경희대학교 28
      • 3.1.3. 서강대학교 30
      • 3.1.4. 성균관대학교 35
      • 3.1.5. 연세대학교 37
      • 3.1.6. 이화여자대학교 40
      • 3.2. 한국어 능력 시험 분석 45
      • 3.3. 한국 문학 자료 분석 48
      • 3.3.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48
      • 4. 사자성어 교육 방안 51
      • 4.1. 사자성어 선정 및 배열 51
      • 4.2. 사자성어 교육 방안 제시 55
      • 4.2.1. 동형동의형 사자성어 교육 방안 56
      • 4.2.2. 동의이형형 사자성어 교육 방안 60
      • 5. 결론 및 제언 73
      • 참고문헌 76
      • 부록 79
      • Abstract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