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는것이다.이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는것이다.이를...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는것이다.이를 위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핵심어로 2003년부터 2018년까지 26개 학술지에 게재된 총46편 논문에 대해 연구경향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각 시기별로 주제어 분석,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분야에 대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중 연구내용은 이론 및 쟁점 , 변화양상과 대응 , 대안 및 정책제시 , 비판 성찰 , 지역통합 , 참여자 및 환경분석 , 다각적인 접근 7개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22편, 양적연구 16편, 혼합연구 5편,질적연구는 3편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련 연구가 질적으로 더 충실해지기 위해서는 다학문적 접근등을 통한 실제적인 연구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status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and examine the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For this p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status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and examine the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For this purpose,we conducted a research trend analysis method for 46 paper published in 26 journals from 2003 to 2018 using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as a key word. We analyzed the change in subject analysis, research methods,and research fields by each perio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seven elemeents of theory and issues , change patterns and responses . alternative and policy presentation , critical reflection , regional integration , participant and environment analysis Respectively. The research methods were 22 articles, 16 quantitative studies, 5 mixed studies and 3 qualitative research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the need for practical research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2 류상일, "행정학에서 복지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에 게재된(1978년~2012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54-262, 2013
3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4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5 황성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4 (4): 145-168, 2002
6 함세남, "한국사회복지학의 연구동향과 전망" 7 : 259-272, 2002
7 허준수,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노년학회 38 (38): 725-744, 2018
8 김미혜, "한국노년학의 복지 분야 연구동향 - 1980년(창간호)부터 2008년(28권 제2호)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733-752, 2008
9 유혜림, "한국 사회복지학의 최근 연구경향: 연관규칙 분석의 활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555-588, 2018
10 최균,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의 분석과 과제" 1-14, 1995
1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2 류상일, "행정학에서 복지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에 게재된(1978년~2012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54-262, 2013
3 윤영진, "행정학 연구경향의 분석과 과제:「한국사회와 행정연구」(1990-2012) 게재논문의 총괄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1-29, 2013
4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5 황성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4 (4): 145-168, 2002
6 함세남, "한국사회복지학의 연구동향과 전망" 7 : 259-272, 2002
7 허준수,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노년학회 38 (38): 725-744, 2018
8 김미혜, "한국노년학의 복지 분야 연구동향 - 1980년(창간호)부터 2008년(28권 제2호)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733-752, 2008
9 유혜림, "한국 사회복지학의 최근 연구경향: 연관규칙 분석의 활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555-588, 2018
10 최균,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의 분석과 과제" 1-14, 1995
11 변기용, "한국 고등교육 정책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121-145, 2010
12 태동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연구 -상근간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237-255, 2010
13 전병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방안" 6 : 105-113, 2006
14 김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협력적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 관리방안 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46) : 125-163, 2015
15 최항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통합서비스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성남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1 (11): 367-386, 2011
16 이경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직무환경이 통합서비스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업무담당자의 신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3 (23): 3-30, 2012
17 초의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와 네트워크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65-290, 2008
18 김창기,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Governance구축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9 (9): 262-269, 2009
19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사회적 자본이 구성원의 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149-175, 2013
20 강영숙,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사회복지정책 심의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기 군산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9 (39): 265-302, 2015
21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거버넌스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0) : 131-157, 2012
22 이강,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생활 민관협의체의 통합방안 - 전라남도 목포시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31-53, 2009
23 이재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직, 인력, 사업, 재정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34) : 195-236, 2012
24 안혜영,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19-346, 2010
25 남화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방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시민사회 중심 거버넌스 및 전문적 관료제 이론을 기반으로 한 서울 G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분석-" 5 : 100-130, 2010
26 김수정,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동 유형에 관한 연구: Q방법론의 적용"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5 (5): 35-64, 2014
27 이정봉,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통한 노조의 지역사회 개입방안" 137 : 100-107, 2008
28 최종복,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종사자의 특성이 통합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간인과 공무원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77-117, 2012
29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30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31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
32 전병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의 굿 거버넌스 모색 - 충남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12 : 144-149, 2012
33 이현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 : 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대안모색" 44 : 46-51, 2002
34 황철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대한 효과적 방안" 2 (2): 213-230, 2006
35 한익희, "지역사회복지의체의 추진현황" 2005
36 이현주, "지역사회복지의체의 의미와 과제" 81 : 4-6, 2005
37 초의수, "지역사회복지의 로컬 거버넌스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부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4) : 1-26, 2008
38 함철호,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관간 연계의 효과성 평가-‘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업의 참여자와 수혜자의 태도-" 한국사회복지학회 55 : 309-339, 2003
39 김종일, "지역사회복지론" 청목출판사 2012
40 오정수,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12
41 함철호, "지역사회복지거버넌스 -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방안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4) : 213-243, 2015
42 채현탁,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를 위한 지방정부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0) : 177-201, 2014
43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운영안내"
44 김종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의 쟁점과 과제" 사회복지정책실천회 3 (3): 35-52, 2017
45 오윤정,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역할수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747-762, 2018
46 박선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버넌스에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153-179, 2017
47 한연숙, "지역사회 복지협의체 활성화 연구" 정부혁신연구소 6 : 165-199, 2005
48 윤재성, "지역복지를 위한 공공과 민간의 역할 분담 및 연계체계 고찰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40 : 263-287, 2008
49 강창현, "지역복지공급거버넌스연구:네트워크 접근" 한국행정학회 36 (36): 313-332, 2002
50 이수경, "지역복지계획수립과정에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민・관 협력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539-557, 2014
51 김형모, "지역복지 전달체계 네트워크를 위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과제" 6 (6): 25-49, 2009
52 최균,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 비교 -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0 (0): 211-228, 2013
53 길태영, "죽음준비교육 관련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267-301, 2017
54 오민수,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읍⋅면⋅동 중심의 민관협력 내용 변화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4 (24): 35-78, 2015
55 김연옥, "우리나라 사회복지학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경험분석연구를 중심으로-" 35 : 85-105, 1998
56 김양이,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의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 제주지역 시설근무자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 : 93-119, 2016
57 오정영, "시범사업을 통해 본 지역사회의체 활성화 방안" 25 : 2003
58 오충순,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역할분담 및 연계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영리학회 8 (8): 167-206, 2010
59 안태숙, "사회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 경기지역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60 감정기,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한국사회복지학」 게재논문(1979 - 2015)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185-211, 2016
61 정순둘, "사회복지학 분야 ‘고령화 사회’ 연구동향 : 인식과 대책" 이화사회과학원 27 : 275-311, 2012
62 지은구,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편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개선방안" 25 (25): 119-150, 2006
63 김수영, "사회복지슈퍼비전의 연구동향 분석 - 1998년∼2017년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2 : 1-26, 2017
64 류주연, "사회복지사의 소진은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8 (8): 65-94, 2017
65 오은경, "사례관리 대상자의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1) : 25-49, 2016
66 권승, "부산광역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51-72, 2007
67 전병관, "복지공동체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과 과제" 10 : 105-113, 2006
68 송재복, "복지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연구 - 전주․성남·수원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례비교 -"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21-45, 2011
69 이성로, "로컬거버넌스로서의 사회복지협의체 경북북부지역 사례" 한국공공관리학회 23 (23): 281-307, 2009
70 김창기, "로컬 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한 지역복지협의체의 의미와 역할"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2) : 175-192, 2007
71 유해숙, "로컬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전략: 인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321-340, 2005
72 함철호, "농촌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면의 경우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3) : 59-96, 2017
73 이현주, "공공과 민간의 협치기제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방안" 109 : 51-63, 2005
74 김우중, "거버넌스로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참여성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5 (15): 1-30, 2013
75 최재성,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년간 연구경향 특성 - 네트워크분석과 내용분석의 활용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73-94, 2016
76 Rubin, A.,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Cengage Learning 2008
임금근로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의 죽음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구유형에 따른 노인의 죽음불안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안전관리 인식수준과 안전사고 대응태도가 노인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1-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 ![]() |
2018-05-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9 | 1.62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