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순, "호모내러티쿠스" 패러다임북 2022
2 이동훈 ; 고홍월 ; 양미진 ; 신지영, "현장전문가가 인식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81-311, 2014
3 김태호, "현대 한국사회의 새로운 상담방향 모색: 다문화적 접근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3 (3): 83-113, 2009
4 위주원 ; 최한나, "한국사회 다문화상담자가 지각하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아시아문화연구소 40 : 87-130, 2015
5 강수정, "한국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슈퍼비전 연구 : 슈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슈퍼바이저의 다문화 지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6 정지현 ; 오세경, "학교 밖 다문화교육 전문가의 교수경험에 나타난 타자지향성의 의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3 (13): 109-133, 2016
7 장한업, "프랑스의 상호문화교육과 미국의 다문화교육의 비교연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2) : 105-121, 2009
8 김영순, "질적연구의 즐거움" 창지사 2018
9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8
10 김귀분, "질적연구방법론" 현문사 2005
11 Stake, R. E.,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12 노상우 ; 황혜연 ; 이진복, "주류문화의 비판적 논점과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 -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중심으로 -" 교육종합연구원 20 (20): 181-205, 2022
13 갈라노바딜노자 ; 김영순,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이 경험한 상호문화소통의 공간별 의미 탐색"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65-87, 2021
14 정지민,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교육과학사 2014
15 장석연, "외국인 유학생 상담을 통해 본 다문화상담의 목회신학적 연구: 체계적 상호문화 접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5 (25): 257-283, 2014
16 한국교육개발원, "연도별 다문화 유형별 학생 수. 교육통계서비스"
17 장경희,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아동의 자기격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5 (5): 49-72, 2012
18 박경희 ; 박환보 ; 김남순,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3 (13): 41-70, 2018
19 양민정, "설화를 활용한 다문화 가정의 상호문화 소통과 이해-한국․중국․베트남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40) : 163-199, 2018
20 최병두, "상호문화주의로의 전환과 상호문화도시 정책" 4 (4): 83-118, 2014
21 T. Cantle, "상호문화주의-결속과 다양성의 새로운 시대" 꿈꿀권리 2020
22 주광순, "상호문화적 정체성과 용수의 비어있는 정체성" 한국여성철학회 22 : 35-60, 2014
23 고희성,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을 위한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국어와 도덕 교과의 ‘배려’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1 (51): 223-250, 2016
24 Maddalena de Carlo, "상호문화이해하기 : 개념과 활용" 한울 2011
25 이지은, "상호문화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고등학교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99-123, 2021
26 김도연,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29) : 599-633, 2021
27 오효정, "상담회기 내 상담자의 눈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8 조화진 ; 김민정, "상담수련, 다문화상담교육, 다문화상담실무에 따른 상담자유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49-869, 2019
29 김영순 ; 최유성, "사회통합을 위한 결혼이주여성의 상호문화소통 탐색"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10 (10): 91-126, 2020
30 김종대, "사진치료를 통한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소통에 대해" 26 : 77-96, 2013
31 홍영균, "미래한국사회를 위한 다문화아동 교육의 방향" 3 (3): 111-139, 2018
32 Hays, P. A., "문화적 다양성과 소통하기-다문화상담의 이해" 한울엠플러스 2010
33 김영순, "독일 한인이주여성의 초국적 삶과 정체성" 북코리아 2021
34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Ⅰ: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78, 2013
35 최성환, "다문화주의와 타자의 문제" 6 (6): 132-115, 2009
36 양경은 ; 함승환, "다문화정책은 이주아동의 사회통합에 늘 효과적인가?: 사회복지지출 규모를 고려한 비교사회정책적 재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71-92, 2020
37 정지민,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연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38 김혜영 ; 심혜원, "다문화아동상담교육실태 및 상담자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39-373, 2014
39 김정연, "다문화실천가의 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40 이영란, "다문화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41 Sue, D. W., "다문화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1
42 최미희, "다문화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6 (6): 1-29, 2017
43 이정은, "다문화사회와 철학" 도서출판 자유문고 2017
44 양민정, "다문화사회와 상호 문화 소통 이해의 교육적 요소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 속담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센터 16 (16): 249-288, 2013
45 최혜원 ; 최연실,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 27 (27): 549-570, 2019
46 변미희,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8 (8): 5-29, 2011
47 변미희,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8 (8): 5-29, 2011
48 박성훈 ; 전영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특성에 관한 연구 : 일반적인 비행요인과 다문화 특성요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11 (11): 55-76, 2017
49 송미경 ; 지승희 ; 조은경 ; 임영선,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97-517, 2008
50 위주원, "다문화 상담자가 지각하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51 안슬기 ; 최빛내, "다문화 상담의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 논문 분석(2000~2020)"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35-150, 2021
52 홍성하, "다문화 상담에서의 감정이입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한국철학회 (112) : 193-224, 2012
53 이미령, "다문화 사회 학교폭력 상담에서의 상호문화 감수성의 영향" 인문사회 21 11 (11): 447-462, 2020
54 정지현 ; 김영순 ; 장연연,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참여 고등학생의 ‘세계시민 되기’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23-350, 2015
55 황지민,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들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2): 174-210, 2012
56 최광현, "국제결혼 가족을 위한 다문화적 목회상담의 돌봄의 모델: 상호문화적 현상학적 목회상담" 신학사상연구소 (154) : 1-17, 2011
57 최미 ; 오은경 ; 최한나, "국내 다문화 상담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 논문 분석(1993~2016.7)" 한국상담학회 17 (17): 223-242, 2016
58 Wendy Brown, "관용 다문화제국의 새로운 통치전략" 갈무리 2010
59 김영순 ; 김도경,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한 자조모임 공동체의 상호문화소통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원 15 (15): 5-37, 2022
60 주은선 ; 이현정,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관련 종사자들의 현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29 (29): 817-846, 2010
61 김태원, "게오르그 짐멜의 이방인 이론과 상호문화" 인문사회 21 8 (8): 69-88, 2017
62 허영식, "간문화소통과 다양성관리에 대한 연구동향과 함의: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24 (24): 131-158, 2014
63 Sinicrope, C., "“Understand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 A summary of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technical report for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evaluation project" 26 (26): 1-58, 2007
64 Silvestri, T. J., "White racial identity statuses and NEO personality constructs : An exploratory analysis" 79 : 68-76, 2001
65 Shaw, K. E.,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 The approach thtough case stidies" 10 (10): 1-17, 1978
66 Williams, J. L., "The protective role of ethnic identity for urban adolescent males facing multiple stressors" 43 (43): 1728-1741, 2014
67 Weatherford, R. 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Dispositions, Multicultural Exposure, and Multicultural Case Conceptualization Ability" 7 (7): 215-224, 2013
68 Pedersen, P. B., "Multiculturalism as a generic approach to counseling" 70 (70): 6-12, 1991
69 Smith, T. B.,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ental health professions : A meta-analytic review" 53 (53): 132-145, 2006
70 Sue, D. W.,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standards : A call to the profession" 70 (70): 477-486, 1992
71 Sue, Derald Wing, "Multicultural Social Work Practice" John Wilety & Sons, Inc 2006
72 강진령, "DSM-5 임상사례집" 학지사 2016
73 Strauss, A.,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