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yrup, M., "후기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12
2 이택후, "화하미학" 동문선 1990
3 최광진, "현대미술의 전략" 아트북스 2004
4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느티나무책방 : 그물코 2016
5 전영백, "코끼리의 방: 현대미술 거장들의 공간" 두성북스 2016
6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7 이재성, "차이의 윤리에서 합일의 윤리로의 이동:데리다, 레비나스, 라캉과 노자에서 들뢰즈와 장자로" 한국영미어문학회 (87) : 97-124, 2008
8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9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10 이택후, "중국미학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1 Syrup, M., "후기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12
2 이택후, "화하미학" 동문선 1990
3 최광진, "현대미술의 전략" 아트북스 2004
4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느티나무책방 : 그물코 2016
5 전영백, "코끼리의 방: 현대미술 거장들의 공간" 두성북스 2016
6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7 이재성, "차이의 윤리에서 합일의 윤리로의 이동:데리다, 레비나스, 라캉과 노자에서 들뢰즈와 장자로" 한국영미어문학회 (87) : 97-124, 2008
8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9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10 이택후, "중국미학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11 임어당, "중국미술이론" 한명출판 2002
12 이주원, "전통회화 속 ‘사의성(寫意性)’에 대한 미술교육적 활용 연구 - 장자의 ‘물아일체’와 들뢰즈의 ‘되기’개념들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58) : 217-236, 2016
13 김선영, "전통 산수화 시각법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48) : 25-47, 2013
14 장자, "장자(내편)" 육문사 2014
15 안동림, "장자" 현암사 2011
16 곽희, "임천고치" 문자향 1990
17 심규호, "완적집" 東文選 2012
18 Suilivan, G., "예술실행연구" 학지사 2015
19 장언원, "역대명화기 상,하" 시공사 2008
20 이택후, "미의 역정" 동문선 1990
21 박이문, "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미술문화 2010
22 Bogue, R., "들뢰즈와 음악, 회화, 그리고 일반예술" 동문선 2006
23 Sauvagnargues, A., "들뢰즈와 예술" 열화당 2009
24 이영철, "들뢰즈(Deleuze, Gilles)의 존재론- 베르그송(Bergson, Henry), 니체(Nietzsche, Friedrich), 그리고 노장사상의 상대주의적 관점" 한국비교문학회 (45) : 35-50, 2008
25 전혜성, "노인의 정서적 안정감 증진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융합콘텐츠 디자인 연구 -산수화의 와유사상에 근거하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7 (27): 123-129, 2014
26 양순영, "노마디즘으로 본 시각예술 연구 :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27 이진경, "노마디즘 I" 휴머니스트 2012
28 장자, "낭송장자" 북드라망 2016
29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per Collins Publisher 1996
30 Howard, G., "Art, Mind and Brain" Basic Books 1982
31 Osborn, A. F., "Applied Imagination" Scribner 1953
32 코디최, "20세기의 문화지형도" 컬처그라퍼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