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통회화의 공간해석을 통한 창의적 시각표현 개발을 위한 연구: 장자의 본체론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Optical Expression through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Art: Focused 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2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ormative values about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Chuang-tzu of traditional art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space concept from Gilles Deleuze, and to also implicate this idea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optical expression. I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ubstance theory of Chuang-tzu, there are some difficulties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finity’ and ‘boundary deactivation’ for students living in the contemporary period. Therefore if the study is suggested by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hizome’, students could understand more easily.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the multi-dimensional study on the various meanings of traditional paintings is very essential.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an increase of attention on the fact that in the traditional space concept, there is more emphasis o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concept of ‘Wayou(臥遊)’ in traditional pain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substance theory’ of Chang-tzu in order to unveil the width and depth of meanings entailed by the concept of ‘nomadism’ from the philosophy of Gilles Deleuze. The idea of ‘substance theory’ supports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and the character of the artist because the idea could appear diverse. Throug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formative meanings of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I suggest a practical education method that creates various Ink wash paintings by the use of expressions related to the sketch tra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ormative values about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Chuang-tzu of traditional art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space concept from Gilles Deleuze, and to also implicat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ormative values about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Chuang-tzu of traditional art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space concept from Gilles Deleuze, and to also implicate this idea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optical expression. I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ubstance theory of Chuang-tzu, there are some difficulties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finity’ and ‘boundary deactivation’ for students living in the contemporary period. Therefore if the study is suggested by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hizome’, students could understand more easily.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the multi-dimensional study on the various meanings of traditional paintings is very essential.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an increase of attention on the fact that in the traditional space concept, there is more emphasis o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concept of ‘Wayou(臥遊)’ in traditional pain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substance theory’ of Chang-tzu in order to unveil the width and depth of meanings entailed by the concept of ‘nomadism’ from the philosophy of Gilles Deleuze. The idea of ‘substance theory’ supports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and the character of the artist because the idea could appear diverse. Throug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formative meanings of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I suggest a practical education method that creates various Ink wash paintings by the use of expressions related to the sketch tra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통회화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개념을 장자의 본체론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통해 살펴보고 창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미술 교육적 활용을 수업방안으로 제시하여 결과물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자는 도(道)를 설명하면서 무한성을 강조한다. 이는 인간의 경계를 허무는 자유와 초월로 나타나며, 공간해석에서도 경계를 허무는 물아일체(物我一體)로 나타난다. 이는 전통회화에서 와유사상과 이동시점, 사차원 시점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장자의 공간해석에 대하여 현대적으로 적용하여 비교하기 위해 들뢰즈의 ‘노마디즘(nomadism)’을 고찰하였다. 들뢰즈는 ‘탈영토화’를 통해 개체가 억압에서 벗어나 해방된 자유로운 경지에서 새로운 영역으로 융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탈영토화는 ‘리좀(rhizome)’적인 성향, 즉 뿌리 식물처럼 연계되어 소통되는 경향을 가진다. 이는 동양에서의 물아일체적으로 경계를 허물어 공간을 자유롭게 초월하는 개념과 연계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창의적인 시각표현을 위한 학습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공간해석을 이해하고 들뢰즈의 공간해석과 비교하여 여행이라는 시공간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생성되는 창의적인 시각표현을 성취하고자 하였다. 이는 실제 수업의 사례를 통해 나타난 실기결과물을 분석하여 창의적인 시각표현의 개발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 의도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전통회화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개념을 장자의 본체론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통해 살펴보고 창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미술 교육적 활용을 수업방안으로 제시하여 결과물을 ...

      본 연구에서는 전통회화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개념을 장자의 본체론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통해 살펴보고 창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미술 교육적 활용을 수업방안으로 제시하여 결과물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자는 도(道)를 설명하면서 무한성을 강조한다. 이는 인간의 경계를 허무는 자유와 초월로 나타나며, 공간해석에서도 경계를 허무는 물아일체(物我一體)로 나타난다. 이는 전통회화에서 와유사상과 이동시점, 사차원 시점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장자의 공간해석에 대하여 현대적으로 적용하여 비교하기 위해 들뢰즈의 ‘노마디즘(nomadism)’을 고찰하였다. 들뢰즈는 ‘탈영토화’를 통해 개체가 억압에서 벗어나 해방된 자유로운 경지에서 새로운 영역으로 융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탈영토화는 ‘리좀(rhizome)’적인 성향, 즉 뿌리 식물처럼 연계되어 소통되는 경향을 가진다. 이는 동양에서의 물아일체적으로 경계를 허물어 공간을 자유롭게 초월하는 개념과 연계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창의적인 시각표현을 위한 학습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공간해석을 이해하고 들뢰즈의 공간해석과 비교하여 여행이라는 시공간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생성되는 창의적인 시각표현을 성취하고자 하였다. 이는 실제 수업의 사례를 통해 나타난 실기결과물을 분석하여 창의적인 시각표현의 개발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 의도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yrup, M., "후기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12

      2 이택후, "화하미학" 동문선 1990

      3 최광진, "현대미술의 전략" 아트북스 2004

      4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느티나무책방 : 그물코 2016

      5 전영백, "코끼리의 방: 현대미술 거장들의 공간" 두성북스 2016

      6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7 이재성, "차이의 윤리에서 합일의 윤리로의 이동:데리다, 레비나스, 라캉과 노자에서 들뢰즈와 장자로" 한국영미어문학회 (87) : 97-124, 2008

      8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9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10 이택후, "중국미학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1 Syrup, M., "후기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12

      2 이택후, "화하미학" 동문선 1990

      3 최광진, "현대미술의 전략" 아트북스 2004

      4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느티나무책방 : 그물코 2016

      5 전영백, "코끼리의 방: 현대미술 거장들의 공간" 두성북스 2016

      6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7 이재성, "차이의 윤리에서 합일의 윤리로의 이동:데리다, 레비나스, 라캉과 노자에서 들뢰즈와 장자로" 한국영미어문학회 (87) : 97-124, 2008

      8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9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10 이택후, "중국미학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11 임어당, "중국미술이론" 한명출판 2002

      12 이주원, "전통회화 속 ‘사의성(寫意性)’에 대한 미술교육적 활용 연구 - 장자의 ‘물아일체’와 들뢰즈의 ‘되기’개념들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58) : 217-236, 2016

      13 김선영, "전통 산수화 시각법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48) : 25-47, 2013

      14 장자, "장자(내편)" 육문사 2014

      15 안동림, "장자" 현암사 2011

      16 곽희, "임천고치" 문자향 1990

      17 심규호, "완적집" 東文選 2012

      18 Suilivan, G., "예술실행연구" 학지사 2015

      19 장언원, "역대명화기 상,하" 시공사 2008

      20 이택후, "미의 역정" 동문선 1990

      21 박이문, "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미술문화 2010

      22 Bogue, R., "들뢰즈와 음악, 회화, 그리고 일반예술" 동문선 2006

      23 Sauvagnargues, A., "들뢰즈와 예술" 열화당 2009

      24 이영철, "들뢰즈(Deleuze, Gilles)의 존재론- 베르그송(Bergson, Henry), 니체(Nietzsche, Friedrich), 그리고 노장사상의 상대주의적 관점" 한국비교문학회 (45) : 35-50, 2008

      25 전혜성, "노인의 정서적 안정감 증진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융합콘텐츠 디자인 연구 -산수화의 와유사상에 근거하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7 (27): 123-129, 2014

      26 양순영, "노마디즘으로 본 시각예술 연구 :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27 이진경, "노마디즘 I" 휴머니스트 2012

      28 장자, "낭송장자" 북드라망 2016

      29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per Collins Publisher 1996

      30 Howard, G., "Art, Mind and Brain" Basic Books 1982

      31 Osborn, A. F., "Applied Imagination" Scribner 1953

      32 코디최, "20세기의 문화지형도" 컬처그라퍼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조형교육
      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6 0.9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