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홍규, "한국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고찰과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9 (29): 109-132, 2015
2 이선애, "통합적 접근에 의한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159-192, 2015
3 황연주,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4 강영심, "정신지체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대한 지능과 성격의 예측력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159-178, 2006
5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지윤,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과 방향" 47 : 27-32, 2016
9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1 (1): 119-133, 2010
10 박미희,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누리과정 교재 개선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2015
1 고홍규, "한국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고찰과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9 (29): 109-132, 2015
2 이선애, "통합적 접근에 의한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159-192, 2015
3 황연주,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4 강영심, "정신지체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대한 지능과 성격의 예측력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159-178, 2006
5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지윤,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과 방향" 47 : 27-32, 2016
9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1 (1): 119-133, 2010
10 박미희,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누리과정 교재 개선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2015
11 양옥승, "유아 다문화 교육: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05-318, 2010
12 견주연, "유아 교실 내 다문화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한국아동학회 33 (33): 177-197, 2012
13 고경화,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연구" 29 : 253-281, 2006
14 Bamford, A., "예술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한길아트 2007
1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 아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2010
16 곽향림, "생활주제의 통합적 운영 방안 : 교사-유아 생활관점의 생활주제" 11 : 9-36, 2009
1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 2005
18 설연경,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에서 미적 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 : 지적·정서적·실천적 측면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9 하진욱, "문화예술교육의 재개념화" 12 : 99-120, 2006
20 이정화,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1 황연주, "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28, 2005
22 이동연, "문화예술교육을 넘어 문화교육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 정립과 과제 및 전략" 2004
23 양현미,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24 김은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수업(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의 학습효과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5 설진배, "문화예술 다문화프로그램 운영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다문화통합연구센터 6 (6): 109-149, 2013
26 이희진, "문화다양성관점으로 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교육 실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81-288, 2016
27 김효정,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문화정책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8 김영천, "문화다양성 교육추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29 이동성,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경 고찰"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51-72, 2013
30 임철일,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문화예술 기반 교육방법 탐색"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27-57, 2014
3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지침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5
32 이동성, "문화다양성 교육 추진을 위한 기초 연구" 13-20, 2012
33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4 : 63-81, 2000
34 Erickson, F., "다문화교육 현안과 전망" 박학사 39-70, 2011
35 Banks, J.,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36 김영옥,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45-68, 2007
37 오성배, "다문화 교육 정책의 과제와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상학회 24 (24): 149-170, 2010
3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름다움, 문화다양성의 이해" 2015
39 김정선,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53-176, 2010
40 문성빈, "OECD 교육지표로 본 한국의 유아교육" 259 : 39-43, 2015
41 김순자, "KAC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역량강화 교안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42 나성식, "John Dewey의 교육적 경험론에 나타난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413-442, 2005
43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44 하현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151-170, 2013
45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4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47 조숙영,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활동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79-400, 2013
48 교육부, "2016년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보도자료"
49 안전행정부, "2015년 외국인주민현황조사결과"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