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기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누리과정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Program Aligned with the Nuri Curriculum for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2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the rapid shif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ere should b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search for the pragmatic approach to this problem, this study pinpointed the fact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would have influence on a child’s development throughout lifetime and that diversity would the essential element of social development. Thus, it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in which young children naturally could learn and practice cultural diversity. Give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nnexed on the life-cycle perspective, this study purported to develop the program in which the integrated culture and arts activities could lead young children to explore and embody the knowledge, attitude, and value of cultural diversity. In doing so, the concepts of cultural diversity was discussed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association with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n, 4 key values of ‘difference’, ‘acknowledgement’, ‘dialogue’, and ‘collaboration’ was drawn by analyzing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program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2 life themes of Nuri Curriculum, which are ‘kindergarten and friends’ and ‘my town’. The program would provide a chance for young children to develop the sensitivity to diversity and to respect differences while actually interacting, communicating and collaborating with friend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and activities.
      번역하기

      Considering the rapid shif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ere should b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search for the pragmatic approach to this problem, this study pinpointed...

      Considering the rapid shif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ere should b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search for the pragmatic approach to this problem, this study pinpointed the fact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would have influence on a child’s development throughout lifetime and that diversity would the essential element of social development. Thus, it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in which young children naturally could learn and practice cultural diversity. Give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nnexed on the life-cycle perspective, this study purported to develop the program in which the integrated culture and arts activities could lead young children to explore and embody the knowledge, attitude, and value of cultural diversity. In doing so, the concepts of cultural diversity was discussed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association with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n, 4 key values of ‘difference’, ‘acknowledgement’, ‘dialogue’, and ‘collaboration’ was drawn by analyzing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program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2 life themes of Nuri Curriculum, which are ‘kindergarten and friends’ and ‘my town’. The program would provide a chance for young children to develop the sensitivity to diversity and to respect differences while actually interacting, communicating and collaborating with friend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and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속에서 유아 대상의 문화다양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어 유아기의 교육이 삶 전체의 성장과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다양성이 사회의 발전에 핵심적인 요소가 됨에 착안하여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문화다양성을 익히고 실천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이 생애 주기의 관점에서 출발하여야 한다는 전제 하에, 유아기의 통합적인 문화예술 활동 경험이 문화다양성의 지식, 태도, 가치를 감각적, 신체적으로 탐색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의 내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다양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유아기의 발달적 측면에서 문화다양성 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와 만 5세 누리과정을 관통하는 차이, 수용, 대화, 협동의 4가지 핵심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누리과정에서 생활주제로 제시된 ‘유치원과 친구’, ‘우리 동네’의 2개 주제를 중심으로 유아들이 주변 환경 속에서 친구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차이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대화와 협동을 통하여 다름을 존중할 수 있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한 예술적 표현이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형태로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속에서 유아 대상의 문화다양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속에서 유아 대상의 문화다양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어 유아기의 교육이 삶 전체의 성장과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다양성이 사회의 발전에 핵심적인 요소가 됨에 착안하여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문화다양성을 익히고 실천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이 생애 주기의 관점에서 출발하여야 한다는 전제 하에, 유아기의 통합적인 문화예술 활동 경험이 문화다양성의 지식, 태도, 가치를 감각적, 신체적으로 탐색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의 내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다양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유아기의 발달적 측면에서 문화다양성 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와 만 5세 누리과정을 관통하는 차이, 수용, 대화, 협동의 4가지 핵심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누리과정에서 생활주제로 제시된 ‘유치원과 친구’, ‘우리 동네’의 2개 주제를 중심으로 유아들이 주변 환경 속에서 친구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차이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대화와 협동을 통하여 다름을 존중할 수 있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한 예술적 표현이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형태로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홍규, "한국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고찰과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9 (29): 109-132, 2015

      2 이선애, "통합적 접근에 의한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159-192, 2015

      3 황연주,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4 강영심, "정신지체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대한 지능과 성격의 예측력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159-178, 2006

      5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지윤,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과 방향" 47 : 27-32, 2016

      9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1 (1): 119-133, 2010

      10 박미희,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누리과정 교재 개선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2015

      1 고홍규, "한국의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고찰과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9 (29): 109-132, 2015

      2 이선애, "통합적 접근에 의한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159-192, 2015

      3 황연주, "초․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4 강영심, "정신지체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대한 지능과 성격의 예측력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159-178, 2006

      5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8

      7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지윤,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과 방향" 47 : 27-32, 2016

      9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1 (1): 119-133, 2010

      10 박미희, "유아 다문화교육을 위한 누리과정 교재 개선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2015

      11 양옥승, "유아 다문화 교육: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05-318, 2010

      12 견주연, "유아 교실 내 다문화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한국아동학회 33 (33): 177-197, 2012

      13 고경화,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연구" 29 : 253-281, 2006

      14 Bamford, A., "예술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한길아트 2007

      1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서울 아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2010

      16 곽향림, "생활주제의 통합적 운영 방안 : 교사-유아 생활관점의 생활주제" 11 : 9-36, 2009

      1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 2005

      18 설연경,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에서 미적 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 : 지적·정서적·실천적 측면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9 하진욱, "문화예술교육의 재개념화" 12 : 99-120, 2006

      20 이정화,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1 황연주, "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28, 2005

      22 이동연, "문화예술교육을 넘어 문화교육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 정립과 과제 및 전략" 2004

      23 양현미,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24 김은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수업(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의 학습효과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5 설진배, "문화예술 다문화프로그램 운영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다문화통합연구센터 6 (6): 109-149, 2013

      26 이희진, "문화다양성관점으로 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교육 실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81-288, 2016

      27 김효정,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문화정책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8 김영천, "문화다양성 교육추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29 이동성,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경 고찰"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51-72, 2013

      30 임철일,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문화예술 기반 교육방법 탐색"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27-57, 2014

      3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다양성 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지침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5

      32 이동성, "문화다양성 교육 추진을 위한 기초 연구" 13-20, 2012

      33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4 : 63-81, 2000

      34 Erickson, F., "다문화교육 현안과 전망" 박학사 39-70, 2011

      35 Banks, J.,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36 김영옥,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45-68, 2007

      37 오성배, "다문화 교육 정책의 과제와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상학회 24 (24): 149-170, 2010

      3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다름다움, 문화다양성의 이해" 2015

      39 김정선,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53-176, 2010

      40 문성빈, "OECD 교육지표로 본 한국의 유아교육" 259 : 39-43, 2015

      41 김순자, "KAC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역량강화 교안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42 나성식, "John Dewey의 교육적 경험론에 나타난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413-442, 2005

      43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44 하현정,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151-170, 2013

      45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4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47 조숙영,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활동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79-400, 2013

      48 교육부, "2016년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보도자료"

      49 안전행정부, "2015년 외국인주민현황조사결과"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조형교육
      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6 0.9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