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정민 ; 이수열, "해운대 관광의 탄생" 인문과학연구소 (72) : 639-666, 2014
2 송규진,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57) : 325-357, 2014
3 이연경,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본정" 시공문화사 2015
4 민유기, "한국의 도시사 연구 지형도와 향후 전망" 1 : 2009
5 민유기, "한국 도시사 연구에 대한 비평과 전망" 역사학연구회 (64) : 131-162, 2007
6 하시모토 세리, "한국 근대공원의 형성" 성균관대학교 2016
7 김상욱, "한국 근대 소방관의 탄생" 민속원 2021
8 주동빈, "평양부(협의)회의 동상이몽과 부영전기 ‘재사영화’(1927~1937)" 역사학회 (248) : 227-266, 2020
9 박진한, "통감부 시기 인천의 시구개정사업과 시가지 행정" 국학연구원 (180) : 253-282, 2017
10 김동명, "지배와 협력" 역사공간 2018
11 이은상,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인문학연구원 (60) : 103-147, 2016
12 이은상, "중일전쟁 시기 원산화교의 동향과 화교경제" 역사연구소 (90) : 127-164, 2017
13 이명학, "조선총독부 주거정책의 민족,계층적 편향과 주거권운동의 대두" 고려대학교 2021
14 박진한, "조감도를 통해 살펴본 1920∼30년대 인천의 심상지리와 시가지 계획" 도시사학회 (17) : 7-39, 2017
15 김경남, "제국의 식민지 교통 통제 정책과이리 식민도시 건설" 부경역사연구소 (43) : 275-318, 2018
16 오미일, "제국의 관문 – 개항장 도시의 식민지근대" 선인 2017
17 이정욱, "제국 일본의 식민지 도시 건설과 전통 사회의 변화" 글로벌일본연구원 (24) : 367-392, 2015
18 김윤미, "제국 일본의 교통망과 부산항의 군사적 역할"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2 : 103-140, 2021
19 전상숙, "전시 일본 국토계획과 대동아공영권 그리고 조선국토계획" 한국사회이론학회 (51) : 281-308, 2017
20 이동훈, "재조일본인 건립 신사(神社)에 관한 기초적 연구-‘한국병합’ 전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62) : 401-446, 2018
21 양지혜,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 한양대학교 2020
22 고윤수, "일제하 유성온천의 개발과 대전 지역사회의 변화" 호서사학회 (93) : 225-262, 2020
23 염복규, "일제하 여의도비행장의 조성과 항공사업의 양상" 서울역사편찬원 (104) : 211-247, 2020
24 김백영, "일제하 식민지도시 수원의 시기별 성격 변화" 8 : 2012
25 서현주, "일제하 경성부 행정조직과 운영의 식민지성" 서울역사편찬원 (86) : 123-155, 2014
26 김홍희, "일제하 羅南의 군기지 건설과 군사도시화"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5) : 181-226, 2018
27 김종근, "일제하 京城의 홍수에 대한 식민정부의 대응 양상 분석- 정치생태학적 관점에서" 한국사연구회 (157) : 291-327, 2012
28 조정민,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부산 관광의 표상과 로컬리티-지배와 향유의 바다-" 동아시아일본학회 (67) : 35-58, 2018
29 김경남, "일제의 식민도시 건설과 자본가" 선인 2015
30 송규진, "일제의 대륙침략기 ‘북선루트’・‘북선3항’" 한국사연구회 (163) : 379-413, 2013
31 차철욱, "일제시대 부산항 설비사업과 사회적 의미" 한국학연구소 33 : 397-422, 2010
32 원종혜, "일제시대 觀光地圖에 조명된 京城 관광의 이미지" 부산경남사학회 (100) : 137-169, 2016
33 배석만, "일제시기 장항항(長項港) 개발과 그 귀결" 한국역사연구회 (117) : 363-398, 2020
34 김윤미, "일제시기 일본군의 대륙침략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부경대학교 2015
35 조명근, "일제시기 대구부 도시 개발과 부(협의)회의 활동" 민족문화연구소 (71) : 35-62, 2019
36 김승, "일제시기 다사도항(多獅島港) 개발과 신의주・다사도간의 철도부설"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8) : 331-362, 2018
37 박현, "일제시기 경성의 창기업(娼妓業) 번성과 조선인 유곽 건설" 도시사학회 (14) : 161-192, 2015
38 전성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확장의 식민성과 지역민의 동향 - 釜山府 府域 1, 2次 擴張을 中心으로 -" 역사문화학회 19 (19): 111-146, 2016
39 유슬기 ; 김경민, "일제강점기 한양 도성 안 동북부 지역의 중상류층 지역화 과정" 서울역사편찬원 (97) : 161-213, 2017
40 김민아 ; 정인하, "일제강점기 평양부 토지구획정리사업의 환지방식에 관한 연구 - 제1 토지구획정리사업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245-253, 2014
41 송규진,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유치 이후 대전 발전의 한계" 고려사학회 (74) : 347-373, 2019
42 김영하 ; 윤국빈 ; 강영조, "일제강점기 조선시가지계획령에 고시된부산 소재 도시공원의 변천" 한국조경학회 45 (45): 1-15, 2017
43 양미경, "일제강점기 전주의 도시공간과 상업 및 외식업의 존재양상" 한국사회사학회 (108) : 7-41, 2015
44 이성우 ; 한규무, "일제강점기 전남 광주의 소방조 창설과 화재" 숭실사학회 (43) : 173-205, 2019
45 김윤경, "일제강점기 인천의 주택난과 조선대가조합령" 인천학연구원 1 (1): 7-57, 2019
46 윤희철, "일제강점기 시가지계획의 수립과정과 집행" 도시사학회 (16) : 71-104, 2016
47 윤현석, "일제강점기 빈민 주거 문제에 있어서 광주의 조선인 지도층 대처에 관한 연구― 광주 갱생지구의 조성과 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22) : 149-183, 2019
48 김승, "일제강점기 부산항 연구성과와 과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9) : 1-33, 2013
49 차철욱, "일제강점기 부산도시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23 : 2007
50 손환 ; 조민정, "일제강점기 부산 해운대의 여가시설에 관한 연구" 학교체육연구소 9 (9): 45-56, 2021
51 전성현, "일제강점기 부산 유곽의 실태와일본군과의 관련성" 부산경남사학회 (109) : 237-277, 2018
52 손환 ; 하정희, "일제강점기 부산 송도해수욕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24 (24): 13-30, 2019
53 윤희철, "일제강점기 목포 도시계획의 내용과 특징 - 시구개정과 시가지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1-22, 2013
54 정경운, "일제강점기 광주의 지역유지 연구 - ‘광주번영회’ 한국인을 중심으로 -" 택민국학연구원 (26) : 369-399, 2020
55 정경운, "일제강점기 광주읍 ‘궁민(窮民)’ 연구 -천정(泉町) 궁민가옥 철거사건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53) : 137-170, 2013
56 서영애 ; 심지수, "일제강점기 광장의 생성과 특성 - 조선은행 앞 광장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1-22, 2017
57 주상훈, "일제강점기 경성의 관립 학교 입지와 대학로 지역의 개발 과정" 서울학연구소 (46) : 131-175, 2012
58 강창우 ; 양승우, "일제강점기 경성 동북부 도시조직 변화과정연구 -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57) : 115-172, 2014
59 박수지, "일제강점기 경성 경관명소의 인식양상 변화" 6 (6): 2014
60 김일수, "일제강점기 경북지역 부와 지정면 행정구역 변동의 역사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2) : 129-166, 2019
61 심재욱 ; 이혜은 ; 민원기, "일제강점기 淸津의 팽창과 정어리 어업" 역사실학회 (63) : 133-177, 2017
62 송규진, "일제강점기 ‘식민도시’ 청진 발전의 실상" 한국사학회 (110) : 327-390, 2013
63 정경운, "일제강점기 ‘광주번영회’ 연구" 택민국학연구원 (23) : 409-442, 2019
64 안상민 ; 石田潤一郎, "일제 식민지기 서울의 도시계획을 통한 아동공원(소공원) 계획과 변천에 관한 고찰 - 경성 시가지계획에 따른 토지구획정리 공원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54) : 131-173, 2014
65 우연주, "일제 식민지기 경성 도시 공원의 이용과 인식" 서울대학교 2017
66 최원회, "일제 식민지 근대도시 조치원의 출현요인, 도시체계상에서의 위상 및 도시내부구조 형성과정" 한국지리학회 1 (1): 99-123, 2012
67 조건, "일제 말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大田 주둔과 군사령부 이전 계획" 호서사학회 (92) : 321-357, 2019
68 양세영, "일제 강점기 정치 ․ 사회적 변동과 목포화교 사회의 대응에 관한 연구 : 1924∼1945년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22 (22): 279-321, 2019
69 박진한, "인천의 일본인 묘지 부지 이전과 일본식 시가지 확장 과정 -1883년 제물포 개항부터 1910년 한일병합 이전까지-" 인천학연구원 1 (1): 7-42, 2016
70 추교찬, "인천 일본인 거류민단의 구성과 운영" 인하대학교 2020
71 김정은, "유원지의 수용과 공간문화적 변화과정" 서울대학교 2017
72 김영민 ; 조세호, "운동공원으로서 철도공원의 변화와 의의" 한국조경학회 48 (48): 54-65, 2020
73 김백영, "연구동향: 식민지 시기 한국 도시사 연구의 흐름과 전망" 한국역사연구회 (81) : 395-411, 2011
74 김경남,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대구의 시가지계획과 군사기지화 정책" 영남문화연구원 (78) : 281-312, 2021
75 이창언, "식민지시기 구룡포지역의 일본인 사회" 국립민속박물관 (27) : 91-115, 2010
76 박진한, "식민지시기 ‘인천대신궁’의 공간 변용과 재인천 일본인: 유락과 기념의 장소에서 식민지배의 동원장으로" 국학연구원 (162) : 391-433, 2013
77 전성현, "식민지도시와 철도" 선인 2021
78 阪野祐介 ; 김윤환, "식민지도시 부산을 그린 요시다 하츠사부로(吉田初三郞)의 조감도(鳥瞰圖)와 타소표상(他所表象) - 그려진 것과 그려지지 않은 것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3 (33): 49-68, 2021
79 지영임, "식민지기 대구신사의 건립과 활용 - 이주를 통한 종교문화의 이식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95) : 133-168, 2021
80 김제정, "식민지기 ‘지역’과 ‘지역운동’ -1930년대 초반 경성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86) : 199-229, 2014
81 윤현석, "식민지 조선의 지방단체 광주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15
82 이은상, "식민지 시기 조선 청진화교의 위상" 동양학연구원 (78) : 117-140, 2020
83 조정민, "식민지 시기 사진엽서 『경성백경』의 공간과 서사 전략" 동아시아일본학회 (63) : 5-26, 2017
84 류나래, "식민지 군항도시 진해의 위생행정과 지역유력자 네트워크-1910년대 ‘진해위생조합’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2) : 297-328, 2021
85 류나래, "식민지 군항도시 진해의 ‘진해학교조합’과 시가지 경영 (1911-1917)" 도시사학회 (24) : 41-82, 2020
86 염복규, "식민지 ‘수도’의 위상을 둘러싼 동상이몽의 연대기 - 일제하 경성부윤의 지위와 경성부 행정 체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66) : 199-223, 2017
87 김종근, "식민도시 인천의 거주지 분리 담론과 실제" 인천학연구원 1 (1): 7-44, 2011
88 고윤수, "식민도시 대전의 기원과 도시 공간의 형성" 도시사학회 (27) : 7-39, 2021
89 김종근,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소 (38) : 1-68, 2010
90 김종근, "식민도시 京城의 유곽공간 형성과 근대적 관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115-132, 2011
91 박정석, "식민 이주어촌의 기억과 흔적" 서강대출판부 2017
92 최인영, "서울지역 電車교통의 변화양상과 의미 : 1899∼1968"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93 성효진, "서울의 도시이미지 형성(1897~1939)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20
94 이가연, "부산의 ‘식민자’ 후쿠나가 마사지로 [福永政治郞]의 자본축적과 사회활동" 석당학술원 (61) : 293-333, 2015
95 조세현, "부산 화교의 역사" 산지니 2013
96 정유진, "문화적 실천을 통한 로컬리티의 재구성" 경북대학교 2020
97 이창언, "대구지역 도시사(都市史) 연구의 동향과 과제" 민족문화연구소 (44) : 299-324, 2010
98 오세미나, "근대의 맛과 공간의 탄생" 민속원 2016
99 홍순권, "근대도시와 지방권력" 선인 2010
100 김하나, "근대 서울 공업지역 영등포의 도시 성격 변화와 공간 구성 특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01 김승, "근대 부산의 일본인 사회와 문화변용" 선인 2014
102 강영조, "근대 부산에서 벚꽃 명소의 입지적 특성과 성립 시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44 (44): 47-58, 2016
103 강영조, "근대 부산에서 대정공원의 성립 과정과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1 (31): 92-102, 2013
104 강영조, "근대 부산에서 고관공원의 성립과 설계 사상" 한국전통조경학회 31 (31): 22-32, 2013
105 강영조, "근대 부산 대정공원에서 개최된 국낙원(菊楽園)의 구성과 홍보 전략"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201-212, 2014
106 강대민, "근대 개항기 부산지역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23 : 2007
107 유승희, "근대 京城 內 遊廓地帶의 형성과 동부지역 도시화 -1904년~1945년을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82) : 137-174, 2012
108 김선정, "관광 안내도로 본 근대 도시 경성 -1920~30년대 도해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33 : 33-62, 2017
109 김윤경, "경성의 주택난과 일본인 대가업자들 - 본정대가조합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78) : 1-37, 2020
110 성효진, "경성의 결절점: 식민지 시기 조선은행 앞 광장에 대한 연구"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8) : 144-171, 2021
111 조세호 ; 김영민, "경성부 도시계획서 상의 공원녹지 개념과 현황의 변화 양상" 한국조경학회 47 (47): 117-132, 2019
112 김영민 ; 조세호, "경성부 공원녹지계획의 의의와 한계" 한국도시설계학회 20 (20): 25-43, 2019
113 김성, "경성 문화시설의 입지적 특성과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20
114 양세영, "개항기 및 일제 강점기 전기(前期, 1893~1924년) 목포화교의경제․사회적 활동에 관한 연구" 역사문화학회 21 (21): 71-129, 2018
115 염복규, "개항-현대 서울 역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서울역사편찬원 (100) : 137-174, 2018
116 박진한, "개항 이후 인천의 장소인식 변화와 일제강점기새로운 명소의 등장" 도시사학회 (20) : 53-88, 2018
117 오미일, "間島의 통로, 근대 회령지방의 월경과 생활세계" 효원사학회 51 : 189-220, 2017
118 金富子, "植民地遊廓" 吉川弘文館 2018
119 加藤圭木, "植民地朝鮮の地域變容 - 日本の大陸進出と咸鏡北道" 吉川弘文館 2017
120 宮崎涼子, "末完の聖地 - 景福宮宮域再編事業の100年"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20
121 김태웅, "日帝下 群山府 華僑의 存在形態와 活動樣相" 역사문화학회 13 (13): 397-439, 2010
122 김태웅, "日帝下 朝鮮 開港場 都市에서 華僑의 定住化 樣相과 緣網의 變動 : 仁川, 新義州, 釜山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26) : 83-118, 2012
123 염복규, "日帝下 仁川의 ‘행락지’로서 위상의 형성과 변화 - 월미도와 송도 유원지를 중심으로 -" 인천학연구원 1 (1): 45-78, 2011
124 염복규, "日帝下 京城 지역 소방 기구의 변화 과정과 활동 양상" 서울학연구소 (49) : 31-65, 2012
125 고윤수, "在朝日本人 쓰지 긴노스케(辻謹之助)를 통해서 본 일제하 대전의 일본인사회와 식민도시 대전" 인문과학연구소 (51) : 67-105, 2018
126 김상은, "「조선오물소제령」 실시 전후의 경성부 청소행정의 구성과 운영" 도시사학회 (21) : 71-101, 2019
127 주동빈, "「平壤對岸市街計畫」의 중단(1919~1923)과 조선인 시가 우선 개발로의 귀결" 도시사학회 (28) : 69-107, 2021
128 김윤미, "‘조선군 임시병참사령부’의 부산 숙영 시행과 지역 변화" 부산경남사학회 (109) : 279-307, 2018
129 박준형, "‘租界’에서 ‘府’로 ― 1914년, 한반도 공간의 식민지적 재편" 한국사회사학회 (110) : 213-251, 2016
130 김대중, "20세기 초 철도 부설과 성곽 훼철에 따른 성곽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경북대학교 2020
131 박현, "20세기 초 경성 신정유곽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공간적 분석" 서울역사편찬원 (92) : 269-310, 2016
132 심경미, "20세기 종로의 도시계획과 도시조직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133 이은상, "20세기 전반(1912∼1936) 식민지 조선의 신의주화교" 중국근현대사학회 (70) : 53-88, 2016
134 김태윤, "1940년대 평양의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본 도시공간의 연속과 단절" 민족문화연구원 (90) : 491-528, 2021
135 안상민 ; 이시다 준이치로 ; 김주야, "1940년대 방공 계획을 중심으로 한 서울(경성)의 도시 개조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소 (77) : 111-148, 2019
136 문지은, "1934年施行の朝鮮市街地計画令による郡山市街地計画に関する硏究" 84-755, 2019
137 김윤정, "1930년대 함흥부회와 전주부회의 구성과 활동" 수선사학회 (60) : 261-297, 2017
138 이순영, "1930년대 초반 경성의 의료접근성 문제와 부립경비진료소 설치 논쟁" 한국역사연구회 (114) : 205-247, 2019
139 천지명, "1930년대 초 군산부회(群山府會)의 위원회 활동 연구" 역사학연구소 (39) : 101-138, 2020
140 권경선, "1930년대 신의주 주민의 거주지 분화와 생활 조건의 격차 고찰" 부산경남사학회 (117) : 129-165, 2020
141 배석만, "1930년대 부산 적기만 매축 연구" 28 : 2012
142 김윤미, "1930년대 나진 개항과 항만도시 건설의 군사적 전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 (20): 1-25, 2019
143 김신재, "1930년대 경주의 도시 모습과 사회 변화" 신라문화연구소 41 (41): 383-406, 2013
144 서일수, "1930년대 ‘北鮮開拓事業’과 城津의 도시 공간 변동" 도시사학회 (22) : 7-44, 2019
145 최인영, "1929년 조선박람회에 활용된 경성의 교통망" 서울학연구소 (72) : 37-67, 2018
146 백선례,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과 상수도 수질 논쟁" 서울역사편찬원 (101) : 159-193, 2019
147 김태웅, "1925년 일제의 京城府 二村洞 水害對策과 都市開發 構想" 역사학연구소 (33) : 95-132, 2017
148 김윤정, "1920년대 부협의원 선거 유권자대회와 지역 정치의 형성 — 마산과 원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5) : 205-250, 2016
149 염복규, "1920년대 말‘신도시’신의주의 차지인운동과 지역사회" 역사문화연구소 (76) : 43-84, 2020
150 김신재, "1920년대 경주의 고적 조사·정비와 도시변화" 신라문화연구소 38 : 331-354, 2011
151 조명근, "1920~30년대 대구・함흥 지역의 전기 공영화 운동" 역사연구소 (97) : 81-112, 2019
152 조명근, "1920~30년대 대구부협의회·부회 선거와 조선인 당선자" 대구사학회 129 : 41-75, 2017
153 김윤정, "1920~1930년대 개성 ‘지방의회’의 특징과 인삼탕 논의" 역사학연구소 (37) : 39-80, 2019
154 이동훈, "1910년대 인천항 축항 사업과 식민자 사회 - ‘동양유일’ 이중갑문식 독의 준공 -" 인천학연구원 1 (1): 7-44, 2018
155 박진한, "1910년대 인천부의 주요 정책과 시가지행정에 관한 연구" 도시사학회 (23) : 119-153, 2020
156 조성운, "1910~20년대 수원지역 근대관광의 실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8) : 43-87, 2019
157 김희진, "1910~20년대 대구상업회의소 구성원의 연대와 갈등–지역철도부설운동과 전기부영화운동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53) : 239-289, 2020
158 고윤수, "1910~1930년대 대전의 도시개발과 재조일본인사회" 도시사학회 (28) : 109-147, 2021
159 박진한, "1900년대 인천 해안매립사업의 전개와 의의" 도시사학회 (15) : 57-90, 2016
160 김경남, "1894~1910년 진남포 일본군병참기지 건설과 도시 형성의 특성" 한일관계사학회 (71) : 325-36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