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시장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영역의 확장과 전문성 강화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ways of solidifying professionalism and establishing systematic and practical methods for the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art marke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33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 art markets, and to investigating ways of promoting and nurturing these resources which form the backbone of our cultural industry today ...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 art markets, and to investigating ways of promoting and nurturing these resources which form the backbone of our cultural industry today and tomorrow.
      This study analyses that 1) A rapid expansion of the recent art markets without fundamental infrastructure to match their development. 2) Both public and private support for the arts attach too much importance on the creative aspects of the agents despite the needs to nurture professionalism in that field have become more crucial than ever. Because acquiring professionalism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based on cultural sensitivity and creativity is highly important in improv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dissertation refers to precedent researches on analyzing occupational groups directly in connection to the visual arts, and takes fundamental approach to the concept behi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the culture and arts sphere. Solidifying professional consists of a primary step of institutional education prior to practice in the actual work field and a secondary step which one develops and strengthens his or her talents on site. Assuming that the goal of the primary step is the preparation of a functional as well as social professionalist, the current graduate school curriculum for arts administration and planning focuses on developing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on the work fiel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t lacks actual practicality. Despite various courses offered, the actual training applicable on the work field is absent. Thus, an active governmental support for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s extremely important in order to induce efficient production from the secondary step.
      This study suggests: 1) to provide government funded project, such as「Developing Professional Development Supporting Program」,
      long-term support for continual development and solidification of on-site experience and education, preparing for a systematic and practical model of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2) to build human resource policies upon a close-study of systematic and accurate statistics, 3) to provide long-term training for models for the balanced labor market, 4) to consider partnerships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considering local human resource policies lack elementary material for administrating and executing human resources, 5) to enhance governmental support to improve the current state and expand it to a larger cultural industry, 6) to discern and adopt applicable foreign examples, as they possess a longer history and systematic course of development.
      Now is a critical moment for the role of professional man power to accommodate the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rt markets, and their aggressive and strategic desire for development is decidedly in need.
      This dissertation has referred to previous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professional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spheres, local and international statistical materials, diverse academic seminars and public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structures and curriculum in relation to supporting and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hrough this study a structured discussion concerning practical proposals for reformation and improvement in the current art markets and its professional man power will take pl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대표적 섹터로써의 미술시장을 구성하는 인적자원에 대한 교육경로 및 체계를 분석하고 미술시장의 전문화와 발전을 위한 필수동력으로서의 전문가 육성 방안에 대...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대표적 섹터로써의 미술시장을 구성하는 인적자원에 대한 교육경로 및 체계를 분석하고 미술시장의 전문화와 발전을 위한 필수동력으로서의 전문가 육성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문화예술과 산업 영역의 접점으로써, 미술시장의 양적 팽창을 경험하고 있으나, 미술시장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가 갖추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 된 시장의 확대에 따른 성장의 한계가 예측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공공의 문화예술분야 지원 역시 창작영역에 편중되어 창작과 소비 영역의 매개인력에 대한 육성 정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문화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근간으로 하는 문화의 세기, 문화예술분야 종사 인력의 전문성에 대한 요구는 국가 경쟁력 확보에 있어 그 어느 때 보다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원론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에 대한 개념과 최근의 미술시장과 직간접으로 연관되어 있는 시각예술분야의 관련 직군들에 관한 선행연구물을 참조하였다.
      전문가 육성은 크게 현장에 진출하기 전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1차적 단계와 현장에서 직업인으로서의 역량을 계발하고 강화하는 2차적 단계가 있을 것이다. 1차적 단계는 현장에서 직업인으로서 역할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로써 기능해야 한다는 논리 하에, 현재 국내 예술기획·경영 대학원의 교과과정은 대부분 문화예술 관련 분야의 종사자를 위한 재교육을 목적으로 하며 현장에서의 효율성·전문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다양한 교과과목이 개설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미술시장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문가 육성 차원으로써의 2차적 단계는 국가적, 정책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영역이다.
      국가지원사업의 예로,「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 사업」은 현장교육 강화를 위한 단기·단편적인 지원이 아닌 중장기 지원체계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어 향후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인력 지원의 체계적 기반 구축을 기대해 보게 한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국외의 인력정책은 전문인력의 장기적인 역량개발 모델과 비전, 노동시장의 인력 수급에 균형을 유지하는데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교육기관과의 파트너십이 중요하게 여긴다. 반면, 아직 국내의 경우는 기초자료의 부재 등 인력정책의 수립 및 실행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시장의 순기능 확보와 더 나아가 문화산업시장이라는 보다 큰 지형으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역할이 중요한 시점이며 또한 우리의 미술시장과 달리 긴 역사와 체계적 발전과정을 거쳐 온 선진 사례는 선별적 차용이 필요하다. 급변하는 국제 미술시장 환경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발전의 의지가 요구 되는 국내 미술시장인 만큼, 전문인력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개념과 문화예술분야의 선행 연구물, 국내·외 통계조사자료, 각종 학술세미나와 기사 등의 내용을 통해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 국내 및 국외 교육기관 교육과정과 형태, 사례 등을 분석하고 문화예술 전문인력 사업의 내용들을 참고하였다. 이런 연구를 통해 미술시장의 전문인력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과 개선방안, 발전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 1
      • 연구 목적 및 내용 = 1
      • 연구방법 = 2
      • 제 2장 국내 미술시장 및 전문인력의 특성 = 3
      • 1. 미술시장의 구조 및 전문인력 = 3
      • 제 1장 서론 = 1
      • 연구 목적 및 내용 = 1
      • 연구방법 = 2
      • 제 2장 국내 미술시장 및 전문인력의 특성 = 3
      • 1. 미술시장의 구조 및 전문인력 = 3
      • 1) 미술시장의 구조 및 현황 = 3
      • 2) 국내 미술시장 현황 = 6
      • 2. 전문직의 개념 및 분야별 전문직군 = 8
      • 1) 전문직의 개념과 속성 = 8
      • 2) 문화예술 분야 전문인력 = 12
      • 3) 시각예술분야의 직군 = 15
      • 4) 문화예술 희소분야의 전문인력 = 22
      • 3.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 국가 지원 사례 = 26
      • (1)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사례 = 28
      • (2) 문화예술 기획 · 경영 전문인력 양성 사업 사례 = 31
      • (3) 등록 사립박물관 · 미술관 학예인력지원 사업 사례 = 33
      • (4) 보존수복 전문인력 연수 사례 = 35
      • (5) 인턴십 프로그램 = 36
      • 제3장 미술시장 전문인력의 양성 현황 = 37
      • 1. 국내 전문인력 교육기관 현황 = 37
      • 2. 국외 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 및 교육기관 사례 = 46
      • 제4장 미술시장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 = 75
      • 1. 국가인력 정책 추진 현황 = 75
      • 2. 미술시장 전문인력 양성 정책의 필요성 = 76
      • 3.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 지원 = 77
      • 제5장 결론 = 85
      • 참고문헌 = 87
      • Abstract = 93
      • 부록 =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