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자의 진술에서 거짓말 전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에 관한 연구 = Precursory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Lie in Deceptive Stat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2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precursory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incident-related lie in deceptive statements to detect deceptions faster. Each(True group, Deceptive group) participants read an instruction, went to a laboratory, checked out their group, received an mixed ordered-envelope and arranged documents. Deception group was supposed to pick and tear 'draft of stamp' in the document, and to lie about the draft. Interview was perform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There were five incident-related and five incident-unrelated questions in both the true and deceptive group. But there was one more incident-related question in deceptive group interview.
      To avoid Brokaw's danger and Othello's error, the answers to incident-unrelated questions(1-4 questions) were considered as base line. Average frequency of base line was measured dividing all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otal sentences by the number of total sentences(1-4 questions). The main statements prior to statements about 'draft of stamp' were major data. Average frequency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lie in main(core-incident-related) statement was measured dividing all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otal sentences by the number of total sentences(5-6 questions). Paired-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true group, frequency of a slip of the tongue and frequency of hesitation time was more than base line. Second, in deceptive group, slip of the tongue, hesitation time, frequency of hesitation, stuttering, word changes such as appellation, repetition of the same word and unnecessary phrase were more than base line. In conclusion, precursory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lie in deceptive statements were 'long hesitation time', 'more stuttering', 'word changes such as appellation', 'repetition of the same word' and 'increase of unnecessary phrase'. And described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progressive direction for follow-up stud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precursory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incident-related lie in deceptive statements to detect deceptions faster. Each(True group, Deceptive group) participants read an instruction, went to a laboratory, checked o...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precursory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incident-related lie in deceptive statements to detect deceptions faster. Each(True group, Deceptive group) participants read an instruction, went to a laboratory, checked out their group, received an mixed ordered-envelope and arranged documents. Deception group was supposed to pick and tear 'draft of stamp' in the document, and to lie about the draft. Interview was perform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There were five incident-related and five incident-unrelated questions in both the true and deceptive group. But there was one more incident-related question in deceptive group interview.
      To avoid Brokaw's danger and Othello's error, the answers to incident-unrelated questions(1-4 questions) were considered as base line. Average frequency of base line was measured dividing all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otal sentences by the number of total sentences(1-4 questions). The main statements prior to statements about 'draft of stamp' were major data. Average frequency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lie in main(core-incident-related) statement was measured dividing all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otal sentences by the number of total sentences(5-6 questions). Paired-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true group, frequency of a slip of the tongue and frequency of hesitation time was more than base line. Second, in deceptive group, slip of the tongue, hesitation time, frequency of hesitation, stuttering, word changes such as appellation, repetition of the same word and unnecessary phrase were more than base line. In conclusion, precursory linguistic characteristics prior to lie in deceptive statements were 'long hesitation time', 'more stuttering', 'word changes such as appellation', 'repetition of the same word' and 'increase of unnecessary phrase'. And described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progressive direction for follow-up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사 장면에서 용의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좀 더 빠르게 시간을 단축하여 거짓을 탐지하고자 화자가 핵심 사건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 전에 어떠한 언어적 특징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두 집단(진실, 거짓)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각 집단의 실험참가자는 대기실에서 미션지를 뽑고 실험실에 가서 자신의 집단을 확인 후 서류의 순서가 섞여 있는 봉투를 받아 지시문대로 서류를 정리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 때 거짓집단에게는 서류 안에 있는 ‘도장 샘플 시안’을 꺼내어 찢게 하여 면담에 가서 이 부분에 대해 거짓말을 하도록 지시하였다. 면담 질문은 구조화된 질문으로 진실집단은 관련 질문 5개, 무관련 질문 5개, 거짓집단은 거짓말 확인 여부 질문을 하나 더 추가하여 관련 질문 6개, 무관련 질문 5개로 구성되어 면담을 진행하였다. Brokaw의 위험과 Othello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각 집단 참가자의 무관련 질문(1번에서 4번) 답변을 기저선(base line)으로 하여 여기에서 나타난 언어적 특징의 빈도 값을 전체 문장수로 나누어 평균 기저선 값을 측정하였고, 핵심사건 전은 본 연구에서의 핵심 사건인 ‘도장 샘플 시안’을 찢은 내용 전까지에서 나타난 언어적 특징의 빈도 값을 전체 문장 수(5번에서 6번 질문답변)로 나누어 평균값을 측정하여 각 집단 내에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거짓집단에서는 언어적 특징들이 기저선과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실 집단에서는 말실수와 머뭇거림 빈도만이 기저선과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화자가 진술에서 거짓말 전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들은 머뭇거림 시간, 말 더듬, 호칭 등 단어의 변화, 동어 반복현상, 불필요한 어구가 증가하여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사 장면에서 용의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좀 더 빠르게 시간을 단축하여 거짓을 탐지하고자 화자가 핵심 사건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 전에 어떠한 언어적 특징이 나타나는지 살펴...

      본 연구는 수사 장면에서 용의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좀 더 빠르게 시간을 단축하여 거짓을 탐지하고자 화자가 핵심 사건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 전에 어떠한 언어적 특징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두 집단(진실, 거짓)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각 집단의 실험참가자는 대기실에서 미션지를 뽑고 실험실에 가서 자신의 집단을 확인 후 서류의 순서가 섞여 있는 봉투를 받아 지시문대로 서류를 정리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 때 거짓집단에게는 서류 안에 있는 ‘도장 샘플 시안’을 꺼내어 찢게 하여 면담에 가서 이 부분에 대해 거짓말을 하도록 지시하였다. 면담 질문은 구조화된 질문으로 진실집단은 관련 질문 5개, 무관련 질문 5개, 거짓집단은 거짓말 확인 여부 질문을 하나 더 추가하여 관련 질문 6개, 무관련 질문 5개로 구성되어 면담을 진행하였다. Brokaw의 위험과 Othello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각 집단 참가자의 무관련 질문(1번에서 4번) 답변을 기저선(base line)으로 하여 여기에서 나타난 언어적 특징의 빈도 값을 전체 문장수로 나누어 평균 기저선 값을 측정하였고, 핵심사건 전은 본 연구에서의 핵심 사건인 ‘도장 샘플 시안’을 찢은 내용 전까지에서 나타난 언어적 특징의 빈도 값을 전체 문장 수(5번에서 6번 질문답변)로 나누어 평균값을 측정하여 각 집단 내에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거짓집단에서는 언어적 특징들이 기저선과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실 집단에서는 말실수와 머뭇거림 빈도만이 기저선과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화자가 진술에서 거짓말 전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들은 머뭇거림 시간, 말 더듬, 호칭 등 단어의 변화, 동어 반복현상, 불필요한 어구가 증가하여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 제기 1
      • 제 2 절 연구 목적 5
      • 제 3 절 연구 문제 7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 제기 1
      • 제 2 절 연구 목적 5
      • 제 3 절 연구 문제 7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제 1 절 거짓말에 대한 정의 8
      • 제 2 절 거짓말의 유형 9
      • 제 3 절 거짓말의 심리 및 언어적 특징 11
      • 제 1 항 거짓말의 심리적 특징 11
      • 제 2 항 거짓말의 언어적 특징 16
      • 제 3 장 연구 방법 21
      • 제 1 절 실험참가자 21
      • 제 2 절 절 차 21
      • 제 3 절 채점방법 및 자료 분석 28
      • 제 4 장 결 과 32
      • 제 1 절 조작검증: 집단 별 실험상황 불안정서 차이 32
      • 제 2 절 진실집단과 거짓집단의 기저선과 핵심사건 전 간의 언어적 특징의 차이 33
      • 제 3 절 진실집단과 거짓집단 간의 핵심사건 전 언어적 특징 차이 36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39
      • 제 1 절 결론 및 논의 39
      • 제 2 절 제 언 43
      • 참고문헌 45
      • Abstract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