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연선,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193-224, 2018
2 Guattari F., "카오스모제" 동문선 2003
3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4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홍성하, "질적 연구와 현상학" 대동철학회 (19) : 10-225, 2002
6 Creswell, J. W., "질적 연구 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7 Deleuze G.,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8 정은옥, "유치원교사들의 교육대학원 경험에 관한 담론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 서지영,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22 (22): 229-250, 2002
10 고후순,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 : 289-326, 2002
1 이연선,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193-224, 2018
2 Guattari F., "카오스모제" 동문선 2003
3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4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홍성하, "질적 연구와 현상학" 대동철학회 (19) : 10-225, 2002
6 Creswell, J. W., "질적 연구 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7 Deleuze G.,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8 정은옥, "유치원교사들의 교육대학원 경험에 관한 담론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 서지영,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22 (22): 229-250, 2002
10 고후순,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 : 289-326, 2002
11 박봉환,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Q 방법론적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55-81, 2017
12 김민주, "유아교사의 이직경험 속에서 본 갈등의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3 최현미,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풍토,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323-343, 2009
14 홍예림, "유아교사의 복직이야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15 이경화, "유아교사론 : 유아교사-되기의 운동" 학지사 2018
16 권건일, "유아교사론" 양서원 2006
17 김희연, "어린이집 교사의 생애사 연구: 김교사 이야기"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25-63, 2013
18 Sellers,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창지사 2018
19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귀울이기" 창지사 2017
20 Pearson, K. A., "싹트는 생명" 산해 2005
21 이진경, "사회 구성체론과 사회 과학 방법론" 그린비 2008
22 우경애,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65-286, 2013
23 하지수, "사립유치원 교사의 퇴직과 복직 경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24 차주경, "사립유치원 교사의 이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5 이정우, "사건의 철학" 그린비 2011
26 이진희, "들뢰즈의 철학을 통한 프로젝트 다시 읽기: 욕망과 선의 ‘배치’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9 (29): 399-421, 2019
27 강선보, "들뢰즈의 철학에서 죽음과 배움의 관계: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6 (26): 87-102, 2013
28 최승현, "들뢰즈의 배움론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철학학회 39 (39): 193-209, 2017
29 Taguchi, H. L.,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창지사 2018
30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 운동과 실험" 살림터 2017
31 안유리, "대학원 생활을 병행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7-52, 2012
32 조광명,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3 윤민아, "공립유치원교사가 육아휴직 후 복직한 첫 학기에 경험하는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 교육연구원 32 (32): 127-160, 2016
34 염지숙, "경력 유아교사의 대학원 과정 경험: 이상과 현실의 간극 좁히기"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81-99, 2015
35 김태량, "결혼이주여성의 이혼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0) : 5-38, 2019
36 Spinoza, B., "Theologico-political treatise" Dover Publications 1951
37 Katz, J. J., "Semantic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38 Zembylas, M., "Risks and pleasures: a DeleuzoGuattarian pedagogy of desire in education" 33 (33): 331-347, 2007
39 St. Pierre, E. A., "Qualitative data analysis after coding" 20 (20): 715-719, 2014
40 Van der Ven, J. A., "Practical theology : from applied to empirical theology" 1 (1): 7-27, 1988
41 Brinkmann, S., "Humanism after posthumanism: or qualitative psychology after the “posts,”" 14 (14): 109-130, 2017
42 Pacini-Ketchabaw, V., "Encounters with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outledge 2016
43 김재춘, "Deleuze의 되기 · 생성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교육원리학회 15 (15): 1-38, 2010
44 윤은주, "Deleuze의 ‘단절’ 개념에 따른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 풀기: 후기 질적 연구를 적용하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361-384, 2019
45 Semetsky, I., "Deleuze, education and becoming" Brill Sense 2006
46 Moss, P., "Alternative narratives in early childhood : An introduction for srudents and practitioners" Routledge 2018
47 Lather, P., "(re)thinking ontology in (post)qualitative research" 16 : 125-131, 2016
48 Patton, M. Q., "(Patton과 함께하는 행복한 여행) 질적연구 및 평가방법론" 교육과학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