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순발, "흔암리유형 형성과정 재검토" 호서고고학회 (1) : 79-93, 1999
2 배군열, "형산강 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3 김재윤,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정기, "한국수혈주거지고(2)" 한국고고학회 3 : 1974
5 윤무병, "한국사대계 上古" 삼진사 1973
6 황상일,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 38 (38): 490-504, 2003
7 김장석, "충청지역의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 유형" 한국상고사학회 51 (51): 43-77, 2006
8 안재호, "청동기시대 취락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9 김장석, "청동기시대 취락과 사회복합과정 연구에 대한 검토" 호서고고학회 (17) : 4-25, 2007
10 김승옥,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한국고고학회 (60) : 4-37, 2006
1 박순발, "흔암리유형 형성과정 재검토" 호서고고학회 (1) : 79-93, 1999
2 배군열, "형산강 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3 김재윤,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정기, "한국수혈주거지고(2)" 한국고고학회 3 : 1974
5 윤무병, "한국사대계 上古" 삼진사 1973
6 황상일,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 38 (38): 490-504, 2003
7 김장석, "충청지역의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 유형" 한국상고사학회 51 (51): 43-77, 2006
8 안재호, "청동기시대 취락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9 김장석, "청동기시대 취락과 사회복합과정 연구에 대한 검토" 호서고고학회 (17) : 4-25, 2007
10 김승옥,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한국고고학회 (60) : 4-37, 2006
11 이수홍, "청동기시대 주거생활 변화와 지역성의 사회적 의미 —영남지역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90) : 4-35, 2014
12 고일홍, "청동기시대 전기의 농경방식 재조명 –화전농경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7 (67): 25-44, 2010
13 황재훈,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연구 검토 -형식 편년과 유형론, 그리고 방사성탄소연대-" 중부고고학회 14 (14): 69-98, 2015
14 김권구, "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농경사회" 학연문화사 2005
15 박진우, "청동기시대 미호천유역 취락구조와 인구추정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16 이강승, "청동기시대 금강유역의 인구산출에 대한 연구" 한국고대학회 (40) : 43-68, 2014
17 김범철, "중서부지역 靑銅器時代 水稻 生産의 政治經濟 - 錦江 중하류역 松菊里型 聚落體系의 위계성과 稻作集約化 -" 한국고고학회 (58) : 40-65, 2006
18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조선고고학개요"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19 강봉원, "인구압력과 전쟁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신라를 중심으로 -" 신라문화연구소 (21) : 127-150, 2003
20 신숙정,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생업경제" 한국상고사학회 (35) : 2001
21 윤기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집터에 관한 연구 : 지역적 특성과 그 구조를 중심으로" 백산학회 1985
22 배덕환, "영남 남부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23 임병태, "역삼동주거지 발굴보고" 한국사학회 20 : 1968
24 성춘택, "수렵채집민의 광역교류네트워크와 한국 후기 구석기시대 점유밀도의 변동" 한국고고학회 (112) : 8-49, 2019
25 김장석, "송국리단계 저장시설의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고고학회 (67) : 4-39, 2008
26 안재호, "석오 윤용진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석오 윤용진 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6
27 김지찬,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인구변동과 취락의 변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28 박지영, "백제의 확장과 주변부 취락 재조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9 김장석, "방사성탄소연대 편중분포 원인규명을 위한 고고학과 핵물리학 융합연구" 2012
30 이기성, "무문토기시대 주거양식의 변화 : 충남지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1 황재훈,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의 상호작용과 문화변동 : 한반도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32 김장석, "남한지역 장란형토기의 등장과 확산" 중부고고학회 11 (11): 5-49, 2012
33 김범철, "금강 중,하류역 청동기시대 중기 취락분포유형 연구" 한국고고학회 57 : 99-124, 2005
34 황상일, "고대국가 사로국과 신라의 수도 경주의 입지에 미친 지형 특성" 한국지형학회 20 (20): 79-94, 2013
35 황상일, "고대 경주 지역의 홍수 가능성과 인간 활동" 대한지리학회 42 (42): 879-897, 2007
36 Brian M. Fagan, "고고학 세계로의 초대" 사회평론 2002
37 도영아, "경주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입지와 생업에 대한 검토" 한국문화사학회 (27) : 79-112, 2007
38 윤순옥, "경주 성건동 화분분석과 왕경지역 고환경변화" 대한지질학회 47 (47): 513-525, 2011
39 김현식,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과 출현배경-주거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54 (54): 49-80, 2006
40 김원용, "강릉 포남동 주거지문제 1, 2" 43 : 1969
41 정징원, "韓日交涉의 考古學-彌生時代編" 六興出版 1991
42 안재호, "韓國農耕社會의 成立" 한국고고학회 43 : 2000
43 안승모, "韓國南部地方新石器時代農耕硏究의 現狀과 課題, 韓‧日新石器時代의 農耕問題" 2005
44 김권구, "靑銅器時代사람들의 住居方式과 社會最小構成單位에 대한 考察" (15) : 2004
45 김범철, "湖西地域支石墓의시·공간적특징" 한국고고학회 (74) : 46-75, 2010
46 이창희,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적용상의 문제점-" 한국고고학회 68 : 2008
47 이창희,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II) –考古學的 活用과 適用事例–" 한국고고학회 (81) : 269-291, 2011
48 김범철, "忠南地域 松菊里文化의 生計經濟와 政治經濟-農業集約化 관련 설명모형을 통해 본 水稻作-" 호남고고학회 24 : 33-64, 2006
49 Williams, A. N., "The use of summed radiocarbon probability distributions in archaeology: a review of methods" 39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