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협응성장애는 지적장애 아동을 비롯한 대다수 장애 아동에게 흔히 보이는 공존 장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의 고유 특성으로 파악돼 교육과 치료의 우선 순위에서 빠지기 쉽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발달협응성장애는 지적장애 아동을 비롯한 대다수 장애 아동에게 흔히 보이는 공존 장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의 고유 특성으로 파악돼 교육과 치료의 우선 순위에서 빠지기 쉽다. ...
발달협응성장애는 지적장애 아동을 비롯한 대다수 장애 아동에게 흔히 보이는 공존 장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의 고유 특성으로 파악돼 교육과 치료의 우선 순위에서 빠지기 쉽다.
하지만 발달협응성장애는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 행동 발달에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3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운동을 통한 협응성 중재를 주 2회기 60분씩 총 3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로 아동의 행동을 회기별로 관찰하고, 협응성 및 적응행동의 변화를 기록하고 아동별로 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가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과 적응행동에도 긍정적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운동을 통한 협응성 중재 프로그램에 고안된 동작(점프, 뒤로 걷기, 팔돌리기 등)과 교구(리본, 호스, 패달로)가 협
응성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또한 협응성 향상이 수업참여 및 수업방해 행동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주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일사례 연구로 일반화에 한계를 가지며, 앞으로도 장애
특성뿐만 아니라 발달협응성장애를 고려한 운동 교육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CD) is characterized by being detected its prevalenc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and may negatively affect on emotional behavior development of th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P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CD) is characterized by being detected its prevalenc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and may negatively affect on emotional
behavior development of th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Psychomotor using Coordination Intervention, which was designed to take
body motion(sergeant jump, back-walk, swing arm around, et al) and using teaching tools(pedelo, hose swing with sound, gym-ribbon, et al) for Thre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otor Coordination and adjustment Behaviors who participated in a total of 32 sessions running for 60
minutes twice a week.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and average and range was measured in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data were suggested optically with graph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Psychomotor using Coordination Intervention programs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motor coordination for th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otor.
Second, Psychomotor using Coordination Intervention programs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adjustment Behaviors for th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oto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진, "협응형태의 형성과 운동수행관계" 29-39, 1997
2 이중숙, "핸드볼 점프 슛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11 (11): 195-215, 2001
3 김선진, "표현 움직임의 형태와 숙련성에 따른 사지 협응의 변화" 한국체육학회 49 (49): 225-233, 2010
4 서연태, "페달로 트레이닝이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협응력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543-550, 2005
5 김윤태, "트램폴린을 이용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신체협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권 (8권): 141-154, 2006
6 이동우, "초등학생 학생들의 차기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14 (14): 25-34, 2008
7 김선진, "초등학생 학생들의 던지기 동작 협응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38 (38): 208-220, 1999
8 이동우, "초등학교 학생들의 협응 능력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8 (8): 58-68, 2003
9 전혜자, "지적 장애인 보행 시 하지관절의 3차원 움직임 변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4 (14): 263-282, 2010
10 박용천, "줄넘기운동이 경증자폐성장애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39-158, 2008
1 김선진, "협응형태의 형성과 운동수행관계" 29-39, 1997
2 이중숙, "핸드볼 점프 슛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11 (11): 195-215, 2001
3 김선진, "표현 움직임의 형태와 숙련성에 따른 사지 협응의 변화" 한국체육학회 49 (49): 225-233, 2010
4 서연태, "페달로 트레이닝이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협응력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543-550, 2005
5 김윤태, "트램폴린을 이용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신체협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권 (8권): 141-154, 2006
6 이동우, "초등학생 학생들의 차기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14 (14): 25-34, 2008
7 김선진, "초등학생 학생들의 던지기 동작 협응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38 (38): 208-220, 1999
8 이동우, "초등학교 학생들의 협응 능력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8 (8): 58-68, 2003
9 전혜자, "지적 장애인 보행 시 하지관절의 3차원 움직임 변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4 (14): 263-282, 2010
10 박용천, "줄넘기운동이 경증자폐성장애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39-158, 2008
11 김의수, "장애인 교육에서의 특수체육의 역할" 1998
12 김수진,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교육" 학지사 2004
13 김건희, "자폐를 가진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접근법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20, 2010
14 정동훈, "자세와 균형 조절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 11 (11): 23-36, 1999
15 송호준,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6 오연주, "유아의 주의집중과 운동능력관계 연구" 2 (2): 19-32, 2001
17 김선응, "유아기에 있어서 협응성이 기초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5 (5): 1-9, 1997
18 박찬희, "운동역학"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7
19 김선진, "운동발달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0 정봉해, "운동기술학습이 신체분절의 협응 형태에 미치는 영향" 11 (11): 77-90, 2000
21 최범규, "운동기술 획득에 따른 운동협응 형태의 변화와 발달적 특성" 12 (12): 39-55, 2001
22 송용관, "연습시간의 배분에 따른 양팔협응 패턴의 안정성과 학습의 효과" 한국체육학회 46 (46): 191-203, 2007
23 박윤관, "연습량과 연습시기간 시간간격에 따른 양팔협응 학습의 기억공고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173-618, 2008
24 윤완영, "야구 피칭동작의 기술습득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 및 협응형태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25 공마리아, "아동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자발성에 미치는 사례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14 (14): 43-56, 2007
26 정영숙, "아동의 발달장애 구조함수모형의 측정과 개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8 (18): 19-36, 2002
27 김선진, "아동의 눈-사지 협응과 물체조작 기술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5-31, 2003
28 한지혜, "심리운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능력 및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6 (6): 239-261, 2011
29 이숙정, "심리운동 이해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의 이론과 실천-"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5
30 조윤진, "시각정보의 존재여부에 따른 7~8세 발달성 협응장애아동의 정적자세 조절"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1325-1332, 2009
31 김선진, "스키 동작의 학습이 신체분절의 협응 구조에 미치는 영향" 37 (37): 133-144, 1998
32 배성제, "속도 변화에 따른 아동의 달리기 동작 특성"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103-112, 2011
33 김윤희, "부모갈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제신념과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343-362, 2003
34 이경옥, "보행 시 연령에 따른 하지 관절 내 운동학적 협응과 제어" 한국운동역학회 14 (14): 17-35, 2004
35 송호준,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71-197, 2009
36 최승오, "발달성협응력장애 학생의 심리운동적 특성과 체육교육론적 제언" 37 (37): 407-418, 1998
37 김은경, "반복적 를르베 동작 시 음악 템포에 따른 하지 분절들의 협응 동작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225-1235, 2011
38 허진영, "무용 전공과 경력이 평형성과 자동자세제어에 미치는 영향" 39 (39): 1072-1079, 2000
39 윤남식, "무용 Turn-out 수직점프의 하지내 분절협응과 수직지면반력 유형" 38 (38): 1006-1014, 1999
40 김용운, "몸통 운동의 제약이 최대 수직점프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19 (19): 27-36, 2009
41 송영혜, "또래집단 활동의 치료적 요인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233-253, 2006
42 윤희중, "달리기시 착지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24 : 149-184, 2001
43 고영규, "다이나믹 시스템 접근을 통한 각성과 운동수행 관계의 분석" 37 (37): 115-130, 1998
44 오성근, "다운증후군 아동의 트레드밀 보행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3834-3842, 2011
45 박평문, "놀이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운동능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38 (38): 946-956, 1999
46 김현경, "낙하동작의 협응과 제어에 대한 시각의 역할" 36 (36): 77-86, 1997
47 김기웅, "기술수준에 따른 신체분절간 협응특성 비교" 40 (40): 171-187, 2001
48 홍준표, "기능성 평가에 기반을 둔 치료적 중재가 문제행동의 수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1-17, 2005
49 김선경, "고무줄놀이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눈-발 협응 및 이동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0 김지연, "경사도와 속도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의 운동역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51 홍양자, "감각통합훈련이 교육가능 정신지체아동의 협응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49-155, 2003
52 Gabbard, C. P., "lifelong motor development" Allyn & Bacon 2000
53 Cantell, M. H., "Two distinct pathways for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Persistence and resolution" 17 : 413-431, 2003
54 Lee, D., "Topological relations between postural configuration and manual control performanc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ba-Champaign 1994
55 Piek, J. P., "The relationship between fine and gross motor ability, self-perceptions and self-wor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5 (25): 65-75, 2006
56 DuPaul, G. J.,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curricula : Now you see them, now you don't" 9 : 113-132, 1994
57 Newell, K. M., "The acquisition of coordination : preliminary analysis of learning to write" 8 : 17-32, 1989
58 Bernstein, N. A., "The Co-ordination and Regulation of Movements" Pergamon Press 1967
59 Kiphard, E. J., "Psychomotorik in Praxis und Theorie."
60 Wann, J. P., "Postural control and co-ordination disorder : The swinging room revisted" 17 : 491-513, 1998
61 Geuze, R. H., "Postural Control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Coordination Disorder" 12 (12): 183-196, 2005
62 Wollacott, M., "Neuromuscular contorl of posture in the infant and child: Is vision dominant?" 19 : 167-186, 1987
63 Henderson S. 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2"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2007
64 Wender, P., "Minimal brain dysfunction: An overview" 1978
65 Kiphard, E. J., "Korper Koordinations Test fur Kinder KTK." Weinheim 1974
66 Payne, G., "Human motor development : A lifespan approach" Mayfield Publishing Company 1999
67 Amanda K., "Guide to Dyspraxia and Developmantal Coordination Disorders" David Fulton Publish 2003
68 Cech, D., "Functional movement development across the life span" W. B. Saunders 1995
69 Kiphard, E. J., "Erziehung durch Bewegung" Buchhandlung 1973
70 Deconinck, F. K. A., "Difference in Gait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10 : 125-142, 2006
7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uthor 2000
7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uthor 1987
73 Rutter, M., "Developmental neuropsychiatry" Churchill Livingstone 1984
74 Visser, J.,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a review of research on subtypes and comorbidities" 22 : 479-493, 2003
75 Dewey, 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Association problems in attention, learn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21 : 905-918, 2002
76 Przysucha, E. P., "Control of stance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The role of visual information" 21 : 19-33, 2004
77 飯村敦子, "Clumsinessを呈する就学前児童の発達評価と支援に関する実証的研究" 多賀出版 2003
78 Geuze, R. H., "Clinical and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review and discussion" 20 (20): 7-47, 2001
79 Bowker, J. H., "Atlas of limb prosthetics" Mosby-Year Book 1992
80 Sheridan, S. M., "A contextualized framework for social skills assessment,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28 : 84-103, 1999
그룹홈 거주 자폐성장애 성인자녀가 일반가정에서 보이는 어머니와의 부정적 상호작용에 관한 참여관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6 | 1.46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