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외 복합 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 공원형 식음 공유시설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2264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실내건축학과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5.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ark-type Multi-cultural Space : Focusing on Food and Beverage Space in Suburban Area

      • 형태사항

        viii, 95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성익
        국·영문초록수록
        참고문헌: 78장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4629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라이프스타일이 중요시되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여러 복합문화공간의 다양화로 인해 소비자들은 다른 상업시설과 달리 도심과 교외 모두 끊임없이 방문을 이어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만큼 소비자들은 한 공간에서 식음과 문화, 체험의 공간을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을 찾고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데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급격하게 많은 복합문화공간이 생겨남에도 불구하고 현재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에 반해 교외에 초점을 맞춘 교외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내용은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외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대해 사례분석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교외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현재 건물 기능을 유지 및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의 리노베이션을 통하여 공원과 공유되는 식음시설을 중심으로 교외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교외 복합문화공간의 사례조사 및 분석과, 공원형 식음 공유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공원형 식음 공유시설을 초점으로 소비자의 방문을 유도하여 사회 및 경제적 측면에서도 교외지역의 활성화 및 관광효과 창출 등의 기능과, 도심 뿐만 아니라 교외 및 베드타운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공원형 식음공유시설의 발전을 위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최근 라이프스타일이 중요시되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여러 복합문화공간의 다양화로 인해 소비자들은 다른 상업시설과 달리 도심과 교외 모두 끊임없이 방문을 이어나가고 있...

      최근 라이프스타일이 중요시되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여러 복합문화공간의 다양화로 인해 소비자들은 다른 상업시설과 달리 도심과 교외 모두 끊임없이 방문을 이어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만큼 소비자들은 한 공간에서 식음과 문화, 체험의 공간을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을 찾고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데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급격하게 많은 복합문화공간이 생겨남에도 불구하고 현재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에 반해 교외에 초점을 맞춘 교외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내용은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외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대해 사례분석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교외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현재 건물 기능을 유지 및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의 리노베이션을 통하여 공원과 공유되는 식음시설을 중심으로 교외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교외 복합문화공간의 사례조사 및 분석과, 공원형 식음 공유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공원형 식음 공유시설을 초점으로 소비자의 방문을 유도하여 사회 및 경제적 측면에서도 교외지역의 활성화 및 관광효과 창출 등의 기능과, 도심 뿐만 아니라 교외 및 베드타운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공원형 식음공유시설의 발전을 위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ecent importance of lifestyle, consumers continue to visit both urban and suburban areas, unlike other commercial facilitie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cultural complex spaces in places where many people gather. As such, it can be interpreted that consumers are investing their time in finding a space where they can solve food, culture and experience in one place and pursuing their lifestyles.

      However, despite the recent rapid rise of many cultural complex spaces, a prior study on the complex culture space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ctively, whereas the research on the complex cultural space focused on the suburb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located in the suburbs through case analysi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as a suburban composite cultural space with a focus 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shared with the park through the renovation of how to maintain the current building function and add new functions.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suburbs, and a theoretical study on the public food sharing facility in the park were reflected in the project.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ark-type food-sharing facilities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function of revitalizing the suburban areas and creating tourism effects in socio-economic terms, as well as urban areas.
      번역하기

      With the recent importance of lifestyle, consumers continue to visit both urban and suburban areas, unlike other commercial facilitie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cultural complex spaces in places where many people gather. As such, it can be interp...

      With the recent importance of lifestyle, consumers continue to visit both urban and suburban areas, unlike other commercial facilitie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cultural complex spaces in places where many people gather. As such, it can be interpreted that consumers are investing their time in finding a space where they can solve food, culture and experience in one place and pursuing their lifestyles.

      However, despite the recent rapid rise of many cultural complex spaces, a prior study on the complex culture space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ctively, whereas the research on the complex cultural space focused on the suburb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located in the suburbs through case analysi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as a suburban composite cultural space with a focus o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shared with the park through the renovation of how to maintain the current building function and add new functions.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suburbs, and a theoretical study on the public food sharing facility in the park were reflected in the project.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ark-type food-sharing facilities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function of revitalizing the suburban areas and creating tourism effects in socio-economic terms, as well as urban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3. 연구 흐름도 4
      • Ⅱ장. 교외 복합문화공간의 이론적 고찰 5
      • Ⅰ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3. 연구 흐름도 4
      • Ⅱ장. 교외 복합문화공간의 이론적 고찰 5
      • 1. 교외 복합문화기능의 이해 5
      • 1) 개념 및 정의 5
      • 2) 이용목적 분석 11
      • 3) 공간적 유형 13
      • 2. 사례 조사 및 분석 16
      • 1) 일산 마크트할레 17
      • 2) 일산 스타필드 PK마켓 18
      • 3) 일산 벨라시타 19
      • 3. 소결 20
      • Ⅲ장. 공원형 식음공유시설의 이론적 고찰 21
      • 1. 공원형 식음공유시설의 이해 21
      • 1) 개념 및 정의 21
      • 2) 공간적 유형 23
      • 2. 사례조사 25
      • 1) 선형: 연남동 연트럴파크 27
      • 2) 중앙형: Sharegreen Minami Aoyama 29
      • 3) 임시설치형 : 한강 밤도깨비 야시장 30
      • 3. 소결 32
      • Ⅳ장. 사례분석 33
      • 1. 사례선정 기준 및 방법 33
      • 1) Ostermalm Temporary Market Hall 34
      • 2) Time Out Market, Lisbon 35
      • 3) Malmo Saluhall 36
      • 4) Surly Brewing Co. 37
      • 5) Jack Daniel's Barrel House 38
      • 2. 소결 39
      • Ⅴ장. 설계 계획안 41
      • 1. 프로젝트 개요 41
      •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41
      • 2) 대상지 선정 및 분석 43
      • 2. 디자인 계획 46
      • 1) 디자인 컨셉 46
      • 2) 디자인 프로세스 47
      • 3) 프로그램 배치 48
      • 3. 공간 계획 51
      • 1) 배치도 51
      • 2) 평면도 52
      • 3) 입면도 54
      • 4) 단면도 56
      • 5) 외부 투시도 57
      • 6) 내부 투시도 63
      • 7) 마감재 계획 67
      • 8) 모형 사진 68
      • 9) 패널 이미지 75
      • Ⅵ장. 결론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