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정보환경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안보환경은 만성적인 무질서(Persistent disorder)와 무한 경쟁으로 인하여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비대칭적인 특성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의 정보환경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안보환경은 만성적인 무질서(Persistent disorder)와 무한 경쟁으로 인하여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비대칭적인 특성을...
우리의 정보환경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안보환경은 만성적인 무질서(Persistent disorder)와 무한 경쟁으로 인하여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비대칭적인 특성을 보이므로 무기체계 간의 상호운용성은 더욱 중요한 요소이며, 전술 에지(Tactical Edge)의 전투원에게 민첩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전쟁승패의 열쇠이다.
미 국방부(DoD)의 넷-중심 서비스 전략(NCSS)은 서비스 지향 접근으로써 작전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전투원과 의사 결정자를 위한 능력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본질적인 상호운용성(Intrinsic interoperability)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성공사례이다. 전술 에지는 “DIL”과 “SWaP”의 통신 및 시스템 가용성에 제약을 받는 정보환경이다. 전술 에지에서의 서비스 지향 접근법은 중앙에 집중된 장애 지점과 성능에 있어서 병목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고, 유니 캐스트 방식의 지점 간 연결로 인해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과도한 대역폭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
대다수의 미군 및 NATO의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 모델들은 GIG 데이터 서비스 요구사항(공유성, 이종 데이터 상호운용성, QoS, 민첩성)을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다. 하지만 인접한 노드 간 통신이 많은 전술 에지의 정보공유를 위하여 P2P(Peer to Peer) 기술을 적용한 모델은 부족하고, 데이터 서비스의 일부 요구사항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술 에지에서 정보공유의 실시간성 보장을 위한 DDS기반의 P2P 패턴을 적용하고, 이종 데이터 간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며, 풍부한 QoS 및 민첩한 체계 확장성 제공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군의 전술 에지 작전 수행에 필요한 전술데이터와 서비스를 정의하여 분류하고, 실시간 데이터의 발간 및 구독을 지원하는 OMG의 DDS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서비스의 토픽을 명세하며, 이종 데이터의 상호운용성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체계의 확장성을 위해서 신규시스템의 도메인 등록 방법 및 서비스 검색방법을 제시하고, 서비스의 품질 보장을 위한 QoS 정책의 세부 파라미터 값을 정의하여 제안한다.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의 타당성은 군 작전요원의 설문검증을 통해서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의 구조가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의 발간/구독 패턴, 이종 데이터의 상호운용성, 체계의 확장성은 시나리오 시연으로 제안한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기존 모델과 비교 평가를 통해서 전술 에지의 DIL 환경에서 제안한 모델이 가장 적합한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한국군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 모델”은 ① TEDS 참조 모델, ② TEDS 구조 모델, ③ 서비스 관리 정책으로 구성되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제안모델은 발간/구독 구조의 접근방식을 채택하여, 기존의 요청/응답 방식에 비해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의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제안모델은 이종 데이터 상호운용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동종 데이터 교환을 중심의 데이터교환에 비해 폭넓은 시맨틱 상호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제안모델의 서비스 관리 정책에 따라서 정책 토픽을 준수하여 체계 개발할 경우 민첩한 체계의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제안모델은 전술 에지의 DIL 환경에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풍부한 QoS 옵션을 제공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국방정보시스템 개발 및 획득 간에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 참조모델로서 제안모델을 활용하여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통일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현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SOA, What & How", 전병선, 와우북스, pp. 25~52, , 2008
2.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정현숙, Lecture notes, 국방과학 연구소, pp. 9~17, , 2013
3. "DDS 미들웨어 표준 기술 동향", 전형국,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간기술동향(1456), pp. 1~6, , 2010
4. NCO 효과분석모델 개발 방법론, 임남규,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47~59, , 2010
5. 민첩성 기반 지휘통제 참조모델 연구, 박병진, 임병윤, 이태공, 韓國防衛産業學會, 한국방위산업학 회 제21권 제1호, pp. 96~98, , 2014
6. "미래 지상군 기본전술제대 편성 연구", 노양규, 한국국방발전연 구원, pp. 29~34, , 2012
7. 한국군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 (TEDS) 모델, 임재성, 박범식,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 14. No. 3, pp. 251~262, , 2017
8. 국방 지휘통제체계(C4I) 발전추세 및 개발동향, 이호균, 한국방위산업진흥회, 국방과 기술 (429) , pp. 58~71, , 2014
9. 육군전술데이터링크(KVMF) 활용 및 발전 제언 (1), 박영배, 한국방위산업진흥회, 국방과 기술 383, pp. 44~49, , 2011
10. NCW 구현을 위한 한국군 GIG 구축 방향에 관한 연 구, 김혜령,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34.3, pp. 54~59, , 2008
1. "SOA, What & How", 전병선, 와우북스, pp. 25~52, , 2008
2.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정현숙, Lecture notes, 국방과학 연구소, pp. 9~17, , 2013
3. "DDS 미들웨어 표준 기술 동향", 전형국,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간기술동향(1456), pp. 1~6, , 2010
4. NCO 효과분석모델 개발 방법론, 임남규,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47~59, , 2010
5. 민첩성 기반 지휘통제 참조모델 연구, 박병진, 임병윤, 이태공, 韓國防衛産業學會, 한국방위산업학 회 제21권 제1호, pp. 96~98, , 2014
6. "미래 지상군 기본전술제대 편성 연구", 노양규, 한국국방발전연 구원, pp. 29~34, , 2012
7. 한국군 전술 에지 데이터 서비스 (TEDS) 모델, 임재성, 박범식,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 14. No. 3, pp. 251~262, , 2017
8. 국방 지휘통제체계(C4I) 발전추세 및 개발동향, 이호균, 한국방위산업진흥회, 국방과 기술 (429) , pp. 58~71, , 2014
9. 육군전술데이터링크(KVMF) 활용 및 발전 제언 (1), 박영배, 한국방위산업진흥회, 국방과 기술 383, pp. 44~49, , 2011
10. NCW 구현을 위한 한국군 GIG 구축 방향에 관한 연 구, 김혜령,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34.3, pp. 54~59, , 2008
11. 네트워크중심 창끝부대 데이터서비스 통합평가모델, 조봉익, 아주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pp. 25~64, , 2017
12. JMS 기반 KMTF 메시지 교환을 위한 메모리 소요량 산정 기법, 정은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5~22, , 2016
13. NC기반 상호운용성 시너지평가모델 개발 및 평가방법론에 관 한 연구, 손현식,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60~87, , 2012
14. “SEM 및 SNA를 이용한 6대 전장기능이 협동작전능력에 미치는 영 향 분석”, 배동수 등,, 한국경영공학회, 한국경영공학회지 17.2, pp. 93~107,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