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량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고와 특목고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유형(일반고/특목고)에 따라 학교효과(삶의 질, 미래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를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의 수업참여라는 매개 변수를 포함한 구조방정식을 통해 밝힘으로써 일반고 교육력 강화를 위한 선행조건을 밝히고 자 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의「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4 주기 고등학교 데이 터(2012)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2,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21.0을 통해 기술통계를, Mplus 6.0을 통해 MIMIC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학교유형이 교사 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 및 미래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 석했다. 연구 결과,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삶의 질, 미 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는, 첫째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고, 학교유형이 학교효과 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하는 간접효과의 총합 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삶의 질과 미래역량 각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경로계수가 ‘학 교유형→교사사기 및 열의→교사지지→삶의 질’, ‘학교유형→교사사기 및 열의→교사지지→미 래역량’으로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와 교사지지 변수를 거쳐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 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유형이 미래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 였지만, 그 총효과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유형(일반고/특목고)에 따라 학교효과(삶의 질, 미래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를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의 수업참여라는 매개 변수...

      본 연구는 학교유형(일반고/특목고)에 따라 학교효과(삶의 질, 미래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 차이가 발생되는 경로를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의 수업참여라는 매개 변수를 포함한 구조방정식을 통해 밝힘으로써 일반고 교육력 강화를 위한 선행조건을 밝히고 자 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의「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4 주기 고등학교 데이 터(2012)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2,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21.0을 통해 기술통계를, Mplus 6.0을 통해 MIMIC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학교유형이 교사 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 및 미래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 석했다. 연구 결과,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삶의 질, 미 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는, 첫째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고, 학교유형이 학교효과 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수업참여를 매개하는 간접효과의 총합 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삶의 질과 미래역량 각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경로계수가 ‘학 교유형→교사사기 및 열의→교사지지→삶의 질’, ‘학교유형→교사사기 및 열의→교사지지→미 래역량’으로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와 교사지지 변수를 거쳐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 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유형이 미래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 였지만, 그 총효과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chool types(general or special-purposed) make different school effect(quality of school life, future capability) and if so, how the difference is made. Based on theories, the research model in which school type impacts on school effect(quality of school life, future capability) with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teacher's suppor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was settled. To practice this research, Data of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High Schools(2012)」conduc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results from MIM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that school types positively impact on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teacher's suppor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quality of school life, and future capability. However, direct effect from school type to quality of school life or future capability is lower than the sum of indirect ones. Second, inasmuch as the largest effect on quality of school life and future capability were 'school type→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teacher's support→quality of school life', 'school type→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teacher's support→future capability', we can find out teacher's effort is especially important to improve school effects. Finally, school types impact on quality of school life more than on future capabili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chool types(general or special-purposed) make different school effect(quality of school life, future capability) and if so, how the difference is made. Based on theories, the research model in which school type impacts on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chool types(general or special-purposed) make different school effect(quality of school life, future capability) and if so, how the difference is made. Based on theories, the research model in which school type impacts on school effect(quality of school life, future capability) with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teacher's suppor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was settled. To practice this research, Data of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High Schools(2012)」conduc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results from MIM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that school types positively impact on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teacher's support,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quality of school life, and future capability. However, direct effect from school type to quality of school life or future capability is lower than the sum of indirect ones. Second, inasmuch as the largest effect on quality of school life and future capability were 'school type→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teacher's support→quality of school life', 'school type→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teacher's support→future capability', we can find out teacher's effort is especially important to improve school effects. Finally, school types impact on quality of school life more than on future cap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근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 한국대학신문, "한국 학생들 학교행복감 세계 ‘꼴찌’"

      3 곽수란, "학업성취를 통한 학교효과 패널분석" 2008

      4 반상진,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지사 2011

      5 노원경, "학습부진 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교수학습환경이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011

      6 송경오, "학생의 행복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비교분석" 2010

      7 김선혜, "학급풍토지각과 자아개념, 진로선택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최 선, "학교의 직무환경이 교사의 소진 및 열의에 미치는 영향 : 자율적 동기를 매개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조석훈, "학교와 교육법" 교육과학사 2012

      10 허유정, "학교생활만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학교 내 지원적 관계의 완화(buffering)효과-일반학생과 비교를 통한 학습장애위험군 학생을 중심으로-" 2011

      1 이근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 한국대학신문, "한국 학생들 학교행복감 세계 ‘꼴찌’"

      3 곽수란, "학업성취를 통한 학교효과 패널분석" 2008

      4 반상진,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지사 2011

      5 노원경, "학습부진 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교수학습환경이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011

      6 송경오, "학생의 행복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비교분석" 2010

      7 김선혜, "학급풍토지각과 자아개념, 진로선택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최 선, "학교의 직무환경이 교사의 소진 및 열의에 미치는 영향 : 자율적 동기를 매개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조석훈, "학교와 교육법" 교육과학사 2012

      10 허유정, "학교생활만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학교 내 지원적 관계의 완화(buffering)효과-일반학생과 비교를 통한 학습장애위험군 학생을 중심으로-" 2011

      11 김준엽, "학교내 교육격차 추이분석 및 교육격차 완화에 효과적인 학교특성 탐색" 2013

      12 강상진, "평준화와 비평준화 지역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차이: 자아존중감이 가계소득 및 성적수준과 갖는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4 (44): 195-221, 2006

      13 강영혜, "특수목적고등학교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4 중도일보, "특목고 못지않은 특성화 교육… 일반고 '당당한 변신'"

      15 노현진,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김혜진,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지지와 학업성취도 및 교우관계와의 연관성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최은주,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2001

      18 송창숙, "초등학생의 성격 및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9 이대선, "초등학교장의 수퍼 리더십과 교사 사기와의 관계" 전주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0 김진옥, "초등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 사기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조명한, "청소년 삶의 질" 1994

      22 김옥, "진로지도 프로그램(CDP-H)이 전문계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3 윤용선,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차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4 김성식,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 효과의 탐색" 2007

      25 이상석, "중학교 교사의 사기 요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

      26 소경희, "주요국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연구" 교육부 2013

      27 설현수, "조방정식 모형에서 χ2 검증의 문제점 및 대안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16 (16): 140-161, 2003

      28 박용원, "자율형고등학교와 혁신고등학교의 조직풍토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 비교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0 (20): 107-127, 2013

      29 김위정, "자율형 공·사립 고등학교 효과 분석" 807-838, 2013

      30 임동원, "일반고에서 보는 고교 체제 개편-자율형 사립고를 중심으로" 2013

      31 한국일보, "일반고 학급당 학생 34명… 특목고 29명, 자율고 30명"

      32 황지원,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력격차 변화 추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3 박동서, "인사행정론(제4전정판)" 법문사 1997

      34 오석흥, "인사행정론" 박영사 1983

      35 강경완, "외국어고등학교 학교효과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6 윤성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현장 적용 방안" 49 : 2013

      37 崔洪林, "아동이 지각한 학급풍토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1995

      38 심미경, "아동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87

      39 김정아, "아동간의 또래 괴롭힘과 학급 풍토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2000

      40 아시아투데이, "부산 일반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화⋅다양화”"

      41 류성창, "미래역량 교육을 위한 효과적 교수학습 방법 탐구" 2013

      42 윤현진,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43 김위정, "대안적 평가를 위한 핵심역량 설정과 측정도구 개발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소 2014

      44 박도영, "다층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학교교육효과의 경향 분석 -고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345-377, 2011

      45 소경희,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27-50, 2010

      46 김남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 간 관계 :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47 이현숙,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학지사 2010

      48 김주환,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49 김학한, "교육혁신을 위한 새로운 중등교육체제와 법제도 개선방안" 2013

      50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14"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4

      51 조성희, "교원 업무 경감 및 학교 업무 효율화에 대한 연구" 2000

      52 김준호, "교사의 핵심역량이 학생의 학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53 김현주, "교사의 지지적 분위기와 시간 압력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4 안광미, "교사의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 지지 및 자기 위협을 중개변인으로 하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5 안광미, "교사의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 지지 및 자기 위협을 중개변인으로 하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6 이윤식, "교사발달을 저해하는 조직적, 개인적 변인에 관한 연구" 18 (18): 97-126, 2000

      57 옥도경, "교사 전문성과 교사 헌신이 학생 삶의 질(Quality of School Life)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58 차인숙, "교과목(국어, 영어, 수학)에 따라 학교 효과가 다른가?" 2010

      59 강명희, "고등학생의 미래핵심역량, 행동조절능력, 국어성취도 간의 관계" 교과교육연구소 16 (16): 1143-1166, 2012

      60 남나라, "고등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이 수업참여를 매개로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고와 외국어고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61 박삼철, "고등학교 학생들의 삶의 질(Quality of School Life)을 결정하는 학교변인들의 효과"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141-162, 2007

      62 홍윤녀, "고등학교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 일반고 및 특목고생 의식비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63 홍윤녀, "고등학교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 일반고 및 특목고생 의식비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64 강상진, "고교평준화 정책 효과의 실증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65 성기선, "고교체제 개편의 방향과 과제" 35 : 10-33, 2015

      66 김경식, "경쟁환경이 자아존중감, 비행에 미치는 영향" 2012

      67 Williams, T., "The quality of school life(ACER Monograph No.12)"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981

      68 Herzberg, F., "The motivation to work among Finnish supervisors" 18 (18): 393-402, 1965

      69 Schaufeli, W.,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 71-92, 2002

      70 Epstein, J. L.,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school life" 13 (13): 15-30, 1976

      71 Marks. H. M.,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37 (37): 153-184, 2000

      72 Tiffin, J., "Purdue pegboard: Examiner's manual"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1965

      73 Rex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n 2004

      74 Seligman, M. E. P., "Positive optimal human functioning" 55 (55): 5-14, 2000

      75 Smith, M. S., "On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andom House 230-342, 1972

      76 Leighton, J. R, "Manual of instruction for leighton flexometer" 1987

      77 Hauser, R. M., "High scholl effects on achievement" 1976

      78 Skinner, E. A., "Engagement and disaffection in the classroom: Part of a larger motivational dynamic?" 100 : 765-781, 2008

      79 Kang, M., "Developing an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 for new millennium learners" 43 (43): 157-170, 2010

      80 시기자, "2013년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