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농촌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 구의 대상은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연중돌봄사업에 참여한 221개 초등학교였다. 해당 학 교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56092
2012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565-583(1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농촌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 구의 대상은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연중돌봄사업에 참여한 221개 초등학교였다. 해당 학 교에서 ...
이 연구는 농촌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 구의 대상은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연중돌봄사업에 참여한 221개 초등학교였다. 해당 학 교에서 성과평가를 위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 농촌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영향요인은 ‘교사의 경력’(r=.56), ‘학급당 학생 수’(r=.28), ‘학원 총 수’(r=.2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학교 교사 선발 시스템을 개선하여야 한다. 현행 교사선발 시스템은 시·도 지역별로 선발하여 배치하는 형태를 띠고 있으나 농촌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는 따로 선발하여, 그곳에서 지역이동 없이 장기간 머무르는 정책을 추 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들의 근무평정에서 농촌지역 근무 가산점제를 수정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셋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과부의 정책적 사업의 확대 필요성이 제기 된다. 넷째, 학교와 학원의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학원 강사를 학교의 방과 후 교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섯째, 농촌학교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을 확대하여 돌아오는 농촌학교를 만드는 방안을 들 수 있다. 도시의 아이들이 농촌학교 에 다닐 수 있도록 학교운영 시스템과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근, "한국의 사회변동과 교육" 문음사 2004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임현정,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V)"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이민수, "학생 1인당 교육비의 차이 요인 분석 : 경상남도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6
5 김양분,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6 아시아뉴스통신, "충북교육청 학생1인당 교육비 전국평균↑ 사회면"
7 하봉운, "지방분권시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167-194, 2005
8 성기선,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83-103, 2010
9 김성식, "수능 성적에 대한 지역 여건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53-75, 2010
10 서울신문, "소규모 학교 통폐합 ‘지지부진.12면"
1 김경근, "한국의 사회변동과 교육" 문음사 2004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임현정,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V)"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이민수, "학생 1인당 교육비의 차이 요인 분석 : 경상남도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6
5 김양분,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6 아시아뉴스통신, "충북교육청 학생1인당 교육비 전국평균↑ 사회면"
7 하봉운, "지방분권시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167-194, 2005
8 성기선,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83-103, 2010
9 김성식, "수능 성적에 대한 지역 여건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53-75, 2010
10 서울신문, "소규모 학교 통폐합 ‘지지부진.12면"
11 김영철, "서울시 지역 간 해소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3
12 임성택, "도시-농촌간 학력격차 통제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41 (41): 17-422, 2003
13 이두휴, "농어촌지역 학교의 교직문화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69-100, 2004
14 최준렬,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7
15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 자료집" 교육통계센터 2010
16 김병성, "교육과 사회" 학지사 2004
17 손준종, "교육공간으로서 강남(江南) 읽기: 교육정책에 주는 함의"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107-132, 2004
18 우연택, "교육격차 분석 및 교육복지 향상방안 연구 : 강원도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9
19 상경아, "고등학생의 수학 과외가 학업성취도, 태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42-58, 2005
20 Lyn, S., "The impact of teachers' learning on students' literacy achievement" 9 (9): 2006
21 Brookover, W., "School, social systems and students achievement: Schools can make a difference" Praeger 1979
22 Mortimore, P., "School matters: The Junior years" Open Books 1988
23 Brophy, J. E., "Research on the self-fulfilling prophecy and teacher expectations"
24 Bourdieu, P.,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Sage Publications 1977
25 Coleman, J. S., "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U. S. Government Office 1966
26 Rosenthal, R, "Pygmalion in the classroom"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9
27 Chubb, J.E., "Politics, markets, and America's schools" The Brookings Institution 1990
28 Whitley, J., "Modelling the Influence of Teacher Characteristics on Student Achievement for Canadian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25 (25): 88-97, 2010
29 Jencks, C. M., "Inequality: A reassessment of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ing in America" Basic Books 1972
30 Rutter, M., "Fifteen thousand hours: Secondary school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1 Rutter, M., "Fifteen thousand Hours: Secondary school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2 Soo-young, Byun, "Educational inequality in South Korea: The widening socioeconomic gap in student achievement" 17 : 155-182, 2010
33 Persell, C. H., "Education and inequality: The roots and results of stratification in America's schools" The Free Press 1977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초등 예비교사가 인식한 체육 교사교육자 모델링의 유형과 정체성 발달에의 효과
예비교사의 교사동기와 구성주의 교수신념이 학부모-교사 파트너쉽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7 | 2.37 | 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1 | 2.46 | 2.479 | 0.39 |